주택소유율 높아졌지만 내집 마련은 여전히…

주택소유율 높아졌지만 내집 마련은 여전히…

0 개 1,864 서현

6월 중순 통계국은 주택과 주거 현황에 대한 종합보고서인 ‘Housing in Aotearoa New Zealand: 2025’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공동주택이 단독주택보다 빠르게 늘면서 주거 밀도가 증가하고 주택 소유율은 전보다 올라갔지만 여전히 많은 가구는 주택을 구입할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정부 행정 통계 자료와 센서스 등 공식 정보를 종합해 2020년에 나온 보고서를 업데이트했는데,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측면을 포함해 국민 생활과 주거 문제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엿볼 수 있다. 


6128ebcf3680ccd6525b8ee9a1831f66_1750747349_5393.png
▲ 크라이스트처치 주택가 전경


<여전히 소득 증가를 앞선 주거 비용 증가>

 

지난 2024년 6월까지 한 해 동안 뉴질랜드 가구가 주거에 사용한 비용인 ‘평균 연간 주거 비용(average annual housing costs)’은 2020년 같은 조사의 통계와 비교해 31%나 올랐다.


이는 4년간 매년 8%씩 비용이 늘어난 셈인데, 그러나 같은 기간에 ‘평균 가처분 소득(average disposable income)’은 이보다 낮은 24% 상승에 그쳐, 주거비 부담이 이전보다 더 크게 가계 살림에 압박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024년 6월까지의 연간 기준으로 소득 대비 주거비 지출 비율을 보면,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전체 가구 중 45.9%는 연간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했다. 


특히, 마오리와 태평양계 중 주택 비소유 가구는 그중에서도 2/3가량이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 비용으로 썼는데, 마오리는 이 비율이 64.1%에 달했고 태평양계는 이보다 높은 69.9%나 됐다. 


반면 주택을 가진 가구는 이 비율이 26.6%로 집이 없는 가구보다 한결 낮았다. 


통계 담당자는, 2024년 6월 기준으로 무주택 가구는 약 4가구 중 1가구가 소득의 40% 이상을 주거비에 지출한 반면, 집을 가진 가구는 이 비율이 7가구 중 1가구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6128ebcf3680ccd6525b8ee9a1831f66_1750747387_7454.png
▲ 지역별 평균 가처분 소득과 주택 매매 중간가의 비율 변동(2020년 : 2024년)


<집 사려면 평균 14년 넘게 모아야> 


가구가 임대료를 내는지, 모기지를 안고 집을 소유하는지 아니면 완전히 소유하는지 등 이른바 ‘주택 보유 여부(tenure)’는 ‘주택 구매력(housing affordability)’ 측정 시에도 구매력의 차이를 보여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가계 가처분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 비용에 쓰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unaffordable)’으로 보며 40% 이상이면 ‘과중한 부담(overburden)’으로 간주한다. 


통계 담당자는, 과도한 주거비로 인한 재정적 부담은 가구가 필요에 맞는 주택을 구입할 여유가 없음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가정 경제와 가족의 복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집값이 아주 비싸다고 평가한 사람의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는 10점 만점에 평균 6.9점으로 집값이 아주 저렴하다고 평가한 사람의 만족도인 8.2점보다 한결 낮았다. 


2024년 6월 전국의 ‘주택 매매 중간가(median house sale price)’는 75만 3,500달러였으며, ‘가구 가처분 소득 중간(median household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은 연간 5만 1,597달러였다. 


이는 평균적인 소득을 올리는 가구가 중간 가격대 주택을 구입하려고 해도 만 14년이 넘게 가처분 소득 전액을 모아야만 한다는 현실을 보여주는 셈이다. 


두 부문의 비율을 보여주는 위의 도표를 보면, 16배에 가까웠던 2020년보다 2024년에는 비율이 대부분 지역에서 조금씩 낮아지기는 했지만, 동시에 무주택 가정에 있어서 주택 구매는 여전히 쉽지 않은 일이라는 점도 함께 보여준다.  


특히, 최대 인구가 모여 사는 오클랜드는 2020년에 19.9배였던 비율이 2024년에는 17.2배로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면서 주택 구입이 정말 어려운 지역이라는 사실을 통계로 입증했다. 


한편, 캔터베리는 2020년의 11.3배에서 비율이 2024년에는 13.1배로 오히려 높아진 모습인데, 이는 결국 4년 동안 이 지역 주민의 소득 증가에 비해 집값 상승률이 더 높았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도 있다. 


6128ebcf3680ccd6525b8ee9a1831f66_1750747429_6215.png
▲ 지역별 면적 km2당 개인 주택(private dwellings) 숫자(2023년)


<공동주택 증가 속 전국의 주거 밀도 상승> 


이번 자료에서는 전국의 ‘주거 밀도(housing density)’ 변화도 볼 수 있는데, 지난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주거 밀도가 상승했다.


위 지도에서는 2023년 센서스를 기준으로 ‘지방자치단체별(Territorial Authority, TA’s / Auckland local board, ALB)’로 km2당 평균 개인 주택 숫자를 밀도가 높은 곳부터 낮은 지역까지 모두 6가지 색상으로 나눠 보여준다. 


가장 진한 색상의 지역은 km2당 개인 주택이 1,000채 이상이며 그 이하는 400~999.9채, 15~399.9채, 5~14.9채, 2~4.9채, 그리고 2채 미만이다. 


그중 오클랜드 지역은 2013년부터 2023년 사이에 km2당 18.3채의 ‘개인 주택(private dwellings)’이 더 들어서 총 120.6채가 되고 증가율이 17.9%로 가장 컸으며, 넬슨이 12.1%, 웰링턴은 10.7%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각각 2위와 3위에 자리했다. 


오클랜드 각 지역구(ALB)의 주택 밀도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지만, 2013년과 2023년 사이에 기존의 주택 밀도가 높았던 지역을 포함해 모든 구역에서 주택 밀도가 올라갔다. 


한편, km2당 1,000채 이상으로 가장 주거 밀도가 높은 지역은 총 6곳이었는데, 와이테마타(Waitemata)와 앨버트-이든(Albert-Eden)과 데이번포트-타카푸나(Devonport-Takapuna) 등 6곳 모두가 오클랜드 지역에 있다. 


또한 해밀턴 시티와 타우랑가 시티는 400~999.9채 이상이었으며, 또 다른 대도시인 웰링턴 시티와 크라이스트처치 시티는 15~399.9채로 이보다 적었고, 거주 인구 자체가 적은 센트럴 오타고와 사우스랜드의 여러 지역은 2.0채 미만으로 전국에서 주거 밀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주거 밀도가 특히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이전보다 높아진 데는 신축하는 주택의 유형 변화가 영향을 미쳤는데, 이 기간에 전국적으로 공동주택이 10만 389채 늘어나면서 37.6%의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단독주택은 21만 4,707채로 18.0% 증가율에 그쳤다. 


이처럼 공동주택을 단독보다 더 많이 짓는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데, 2013년 이후 단독주택 건축허가 비중은 감소하지만 공동주택은 꾸준히 증가하면서 인구 증가와 함께 도시화에 따른 주거 밀도 상승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올해 1월까지의 연간 신규주택 건축허가를 보면, 전체 건축 허가 건수 중 47.2%는 단독주택, 그리고 42%는 타운하우스와 플랫, 유닛과 같은 공동주택이었다.


한편, 뉴질랜드 주택 5채 중 4채가량은 1960년대 이후에 지어졌으며 3분의 1 이상인 37.2%는 2000년 이후에 건축했다.  


6128ebcf3680ccd6525b8ee9a1831f66_1750747477_7835.png
▲ 민족별 주택 소유율 변동(기간: 2013~2023, 단위: %) 


<주택 소유율, 유럽계 58.6%, 아시안은 42.6%> 


‘개인 주택 소유율(individual home-ownership rates, 소유나 부분 소유 또는 가족 신탁 소유 포함)’은 2018년 64.5%에서 2023년 66.0%로 조금 높아졌다.


지역 중에서는 크라이스트처치 북쪽의 와이마카리리(Waimakariri) 디스트릭이 82.2%의 소유율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주택 소유율이 가장 높았다.  


60만 4,884의 전체 가구 중 약 3분의 1인 34%는 주택을 소유하지 않았거나 가족 신탁(family trust)으로도 갖고 있지 않았으며, 2023년 센서스 당시 임대주택 거주자는 153만 3,000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가에 거주하는 사람의 평균 거주 기간은 2018년의 10.4년에서 2023년에는 10.6년으로 늘었는데, 자가 주택이 아닌 경우에는 같은 기간에 4.5년에서 4.6년으로 늘었다. 


한편, 주택 소유율에서도 연령과 인종별로 차이가 확인됐는데, 개인 주택 소유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지며 그중에서도 75~79세가 78.5%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80세 이상부터는 자신의 소유가 아닌 요양시설에 거주하거나 또는 가족 소유의 집에 함께 거주하기 때문에 소유율이 감소하는 모습이다. 


지난 2018년 이후 25세 미만 및 75세 이상에서 주택 소유율이 상승했으며 그 외 모든 연령층에서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2013년부터 2023년 사이 18세 청소년의 ‘부모 동거 비율(living with their parents)’이 73.1%에서 79.4%로 증가했는데, 이는 적절한 주거 공간 부족과 함께 생활비 문제로 청년층이 부모에게서 독립하는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정황을 보여준다.


통계 담당자는 적절한 주택 공급에 대한 제약과 함께 경제적 여유 문제로 젊은이가 부모 품을 떠나 스스로 살 집을 마련하기까지는 앞으로도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인종별 주택 소유율에도 차이가 벌어졌는데, 유럽계는 소유율이 58.6%로 타민족보다 훨씬 높았고 아시아계는 42.6%, 그리고 마오리와 태평양계는 각각 30.4%와 19.9%의 소유율을 보였다. 


지난 2013년과 2018년, 그리고 2023년 등 세 단계로 민족별 주택 소유율의 변동을 보면, 마오리와 태평양계는 소폭 늘거나 오히려 주는 등 변동이 거의 없는 상황이며, 유럽계는 2013년 56.8%에서 2018년에는 57.9%, 그리고 2023년에는 58.6%로 꾸준하게 증가한 모습이다. 


2013년에 34.8%였던 아시아계의 주택 소유율은 2018년에는 39.9%로 크게 올라갔으며, 이후 2023년에도 42.6%를 기록하면서 10년 동안 10% 가까운 소유율 상승을 기록해 주요 민족 중 가장 주택 소유율 증가 폭이 컸다. 


6128ebcf3680ccd6525b8ee9a1831f66_1750747526_2711.png
▲ 히트 펌프  


<크게 늘어난 임대 주택의 히트 펌프 사용> 


겨울처럼 추운 계절에는 난방이 습기와 곰팡이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히트 펌프(heat pump)’와 ‘부착식 가스히터(fixed gas heater)’를 사용하는 주택에서 습기가 가장 적게 발생했다.


2018년 이후 자기 소유가 아닌 주택에서 히트 펌프 설치가 급증한 것은 정부가 제정해 2019년 7월부터 발효시킨 ‘Healthy homes standards’의 영향이 컸는데, 자가가 아닌 주택의 히트 펌프 설치 비율은 2018년에는 38.0%였다가 2023년에는 67.2%로 급증했다. 


담당자는 2023년까지는 자가가 아닌 주택에 설치한 히트 펌프 비율이 자가 주택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갔을 것으로 보면서, 특히 주택 임대 가구 중에서도 공공주택 임대 가구의  히트 펌프 사용이 2018년에는 26.9%에 불과했다가 2023년에는 74%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중에서도 공공주택 임대를 담당하는 ‘카잉가 오라(Kainga Ora)’ 임대주택의 경우에는 히트 펌프 사용 비율이 76.2%로 더 높았다.   


또한 개인이나 신탁(trust) 또는 기업 소유의 주택을 임대해 사는 가구에서도 히트 펌프 사용 비율이 2018년 38.9%에서 2023년에는 67.3%로 증가했다. 


한편, 2023년 센서스 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 비해 습기와 곰팡이의 영향을 받는 주택이 줄었는데, 이는 히트 펌프처럼 효율이 높은 난방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한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개선은 거주자의 보건과 복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남섬지국장 서 현

{google}

정년이 없는 나라

댓글 0 | 조회 1,831 | 8일전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65세를 넘긴 많은 뉴질랜드인들이 여전히 일하면서 일터에 회색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뉴질랜드처럼 정년이 없는 호주, 영국 등 비교 대상… 더보기

75세 이상 10명 중 한 명은 여전히 일한다

댓글 0 | 조회 1,354 | 9일전
이전보다 더욱 어린 나이부터 일을 시작하고 또한 더욱 늦은 나이까지 일하는 등 뉴질랜드인의 이른바 ‘근로 생애(working lives)’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더보기

뉴질랜드의 지하자원: 풍부한 잠재력과 경제적 가치, 그리고 환경적 딜레마

댓글 0 | 조회 1,184 | 10일전
뉴질랜드는 남반구의 태평양 남서쪽에 위치한 두 개의 주요 섬으로 구성된 국가로, 그 독특한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풍부하고 다양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 … 더보기

오클랜드 주택 감정가 하락이 매매에 미칠 파장

댓글 0 | 조회 3,940 | 2025.06.25
오클랜드 카운슬이 지난 9일 공개한 오클랜드 주거용 부동산의 자본가치(CV, Capital Value)가 3년 전에 비해 평균 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클… 더보기
Now

현재 주택소유율 높아졌지만 내집 마련은 여전히…

댓글 0 | 조회 1,865 | 2025.06.24
6월 중순 통계국은 주택과 주거 현황에 대한 종합보고서인 ‘Housing in Aotearoa New Zealand: 2025’을 공개했다.이에 따르면 공동주택이… 더보기

지금이 내 집 마련 최적기?

댓글 0 | 조회 2,990 | 2025.06.11
내 집을 장만할 계획이 있다면 지금 실행하라. 많은 전문가들이 생애 첫 집 구매자들에게 주는 조언이다.요즘 주택 구매 환경이 주택 구매자들에게 절호의 기회를 주고… 더보기

강아지 팔며 ‘iTunes 기프트 카드’ 원하면?

댓글 0 | 조회 1,182 | 2025.06.11
세상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일상생활 대부분을 스마트폰으로 하게 되자 디지털 환경을 악용한 갖가지 사기 사건도 덩달아 늘면서 안 그래도 팍팍한 우리 삶에 걱정거리가… 더보기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의 폭풍: 교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은 어디로?

댓글 0 | 조회 4,217 | 2025.05.30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거센 격동을 겪고 있다.정부의 새로운 주택 정책, 급변하는 금리, 경제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부동산 지형이 전면… 더보기

여성 노동계의 거센 반발 산 임금평등법 개정

댓글 0 | 조회 1,282 | 2025.05.28
지난 7일 국회에서 긴급 통과된 개정 임금평등법이 여성 노동계에 거센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여성 근로자 비율이 높은 사회복지, 보건, 교육 등과 같은 부문… 더보기

스마트폰 “함부로 버리거나 팔면…”

댓글 0 | 조회 1,679 | 2025.05.28
인류 문명이 21세기로 들어선 뒤 최고의 발명품으로 스마트폰을 꼽는 경우가 많다.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등장한 지 겨우 20여 년 만에 다… 더보기

해외투자 세제 개정해야

댓글 0 | 조회 1,823 | 2025.05.14
외국주식과 같은 해외투자에 대한 뉴질랜드 세제가 너무 복잡하고 시대에 뒤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높다. 국경을 넘는 투자가 용이해졌고 점차 보편화되면서 뉴질랜드 투자… 더보기

미국행보다 더 비싼 국내선 요금

댓글 0 | 조회 2,802 | 2025.05.13
최근 Air NZ의 국내선 항공요금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연일 터져 나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요 도시가 아닌 지역 노선에서 요금이 과도하다는… 더보기

노숙인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

댓글 0 | 조회 5,237 | 2025.04.23
최근 거리나 공원, 자동차 등에서 생활하는 노숙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그러나 정부는 비상주택에 지내고 있는 사람들이 줄었다며 관련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 더보기

서머타임, 앞으로도 유지할까?

댓글 0 | 조회 4,740 | 2025.04.23
지난 4월 6일(일) 새벽에 ‘서머타임(Summer time, ST)’ 적용이 끝나면서 시계가 한 시간 전의 ‘표준시’로 돌아갔다.매년 서머타임이 시작되거나 끝날… 더보기

AI 시대가 온다: 일자리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1,871 | 2025.04.22
1. AI 시대의 도래와 현재 기술 발전 현황 (2023~2025)인공지능(AI)이 더 이상 공상과학 속 미래 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의 중심 화두가 되었다. 특… 더보기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4,574 | 2025.04.09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2,830 | 2025.04.08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1,219 | 2025.04.08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2,399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2,098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5,603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2,018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766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3,132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4,000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