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던 총리 전격 퇴진, 새 총리에 크리스 힙킨스

아던 총리 전격 퇴진, 새 총리에 크리스 힙킨스

0 개 3,341 서현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신임 총리가 2023년 1월 25일(수) 선서식을 마치고 제41대 뉴질랜드 총리로 정식 취임했다. 


이보다 앞서 1월 19일(목)에 저신다 아던 총리가 전격적으로 사임 의사를 밝혔으며 채 한 주가 안 돼 새로운 총리가 탄생했다. 


신임 총리는 팬데믹 초기부터 ‘코비드19 대응부’ 장관을 역임해 국민들에게는 이미 낯이 익은 인물이다. 


이번 호에서는 아던 전 총리의 집권 당시 상황과 재직 중 활동, 그리고 사임 발표까지의 과정을 소개하는 한편 힙킨스 총리와 카멜 세풀로니(Carmel Sepuloni) 부총리의 선임 과정과 개인적 소개와 더불어 뉴질랜드 정가 모습을 독자들에게 전한다.


705a55bcdd86663cc4b72ba4438cb8b8_1675122181_9448.jpg
▲ 선서식 후 신디 키로 총독(중앙)과 함께 한 신임 총리(우)와 부총리


<연료 탱크가 비었다는 아던 전 총리>


설날을 며칠 앞둔 지난 1월 19일(목) 오전에 열린 ‘노동당 의원 총회(Labour party’s caucus meeting)’에서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전격적인 사임 의사를 발표했다. 


아던 총리는, 사임 이유는 ‘간단하다(simple)’면서 “자신에게는 더 이상 직무 수행 탱크가 충분하지 않다는 걸 알고 있다.(I know that I no longer have enough in the tank to do it justice)”라고 자신의 현재 상황을 표현했다. 


또한 “자신도 인간이며 정치인도 인간이다.(I am human, politicians are human)”라면서, 이제 올해 학교에 갈 딸의 손을 잡고 학교에 가고 싶다고 말하고 사직 발표 자리에 함께 있었던 파트너인 클락 게이퍼드(Clark Gayford)에게 이제 결혼하자는 말을 던지기도 했다. 


이는 아던 총리가 코비드19 팬데믹 기간을 포함해 그동안 5년 6개월 여에 걸쳐 당 대표와 총리직을 수행해오는 과정에서 몇 차례 살해 위협을 포함해 과중한 업무로 인해 크게 시달렸음을 보여준다. 


또한 아던 총리는 올해 10월 14일(토)로 예정된 총선에도 나서지 않겠다고 말해 정계를 완전히 떠나겠다는 입장을 보였는데, 아던 총리와 함께 그랜트 로버트슨(Grant Robertson) 부총리도 함께 사임했다. 


이에 따라 노동당은 오는 10월 총선까지 약 10개월간 당을 이끌고 선거운동도 지휘해야 할 당 대표이자 총리를 새로 뽑아야 하는 입장이 됐다. 


한편 이런 상황은 지난 2016년 12월에 당시 국민당 대표이자 총리로 대중적인 인기 속에 세 차례나 연임하며 국정을 이끌던 존 키(John Key) 전 총리의 급작스러운 사직 광경을 떠오르게 한다. 


당시에도 키 전 총리는 자신을 직업 정치인으로 생각한 적이 없으며 가족과 함께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총리직을 사임하고 정계를 떠난다고 발표했었다. 


당시에도 총선은 약 9개월 정도 남은 상황이었으며 빌 잉글리시(Bill English) 부총리가 총리직을 인수해 당을 이끌었지만, 당시 혜성처럼 등장해 엄청난 돌풍을 일으켰던 아던의 노동당과 총선에서 접전을 펼친 끝에 막판에 뉴질랜드 제일당과 연합에 성공한 노동당 연립정부에 9년 만에 정권을 넘겨준 바 있다. 


705a55bcdd86663cc4b72ba4438cb8b8_1675122219_4314.jpg
▲ 고별 연설 중인 저신다 아던 전 총리


<혜성처럼 등장해 역대 최고 지지율 기록했던 아던>


1980년생인 아던 총리는 28세이던 지난 2008년 노동당 비례대표로 처음 국회의원이 된 뒤 세 차례 비례대표 의원으로 재임하던 중 37세였던 2017년에 오클랜드의 마운트 앨버트(Mt. Albert) 선거구 보궐선거를 통해 처음 지역구 의원이 됐다. 


그후 총선을 겨우 7주 남겨둔 그해 8월에 노동당 역사상 가장 젊은 당 대표로 전격적으로 선출됐으며 10년 만에 여론조사에서 국민당을 처음으로 앞서는 등 뉴질랜드 정계에 그야말로 초대형 태풍을 불러온 끝에 종전보다 19석이나 의석을 늘린 46석을 획득하면서 선거에서 승리자가 됐다. 


비록 56석을 얻은 국민당보다는 의석이 적었지만 당시 전통적 우당인 녹색당(8석)과 함께 9석으로 캐스팅 보트를 쥔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의 뉴질랜드 제일당과 지루했던 협상에 성공하면서 뉴질랜드 역사상 두 번째로 젊은 총리(취임 당시 37세 92일, 최연소는 1856년 37세 40일의 나이로 취임했던 에드워드 스태퍼드<Edward Stafford>)로 취임했다. 


또한 당시에는 세계 최연소 정부 수반으로서 세계 언론을 통해 널리 소개되면서 큰 뉴스거리가 되기도 했는데, 이후에도 총리 재임 중인 2018년 6월에 딸을 낳고 출산휴가를 다녀왔으며 3개월 된 딸을 안고 유엔 총회에 참석하는 등 화제를 몰고 다니는 인물이 됐다. 



한편 아던 총리는 2019년 3월에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테러라는 국가적인 위기가 발생했을 당시에도 ‘우리 모두는 하나’라면서 국민 화합을 이끌었고 또한 과감한 총기 규제 법률을 도입했다. 


이와 함께 2020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코비드 19 팬데믹 사태에서는 초기에 국경을 닫는 등 단호하고 강력한 봉쇄 정책으로 감염 확산을 막아 국민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다. 


그 결과 그해 10월에 실시된 총선에서는 120석의 전체 국회의석 중 65석이라는 압도적인 의석을 차지하면서 1996년에 ‘혼합비례대표제(MMP)’가 도입된 이래 항상 연합정부를 구성해왔던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노동당만의 단독 정부를 수립하는 역사적인 사건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하지만 팬데믹 장기화로 경찰국가 논쟁까지 일어나는 가운데 작년 2월에는 백신 접종 의무화 반대 그룹이 국회의사당 정원에서 23일에 걸쳐 장기간 격렬한 폭력 시위를 벌였다가 경찰에 의해 강제 진압되기도 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면서 국내외적으로 발생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서민들의 삶이 고달파진 가운데 지금은 노동당과 아던 자신에 대한 지지율이 크게 떨어지며 야당에 밀리는 모습이다. 


작년 12월 초의 ‘1News Kantar Public Poll’을 보면 노동당은 종전 같은 조사보다 1%p 떨어진 33% 지지율을 기록해 1%p가 오히려 오른 38%의 국민당에 뒤쳐졌으며, 총리감 후보에서도 아던은 전보다 1%p가 내려가 총리 취임 전인 2017년 8월 이후 처음으로 30%선 아래인 29%를 기록했는데, 한창 지지율이 높았을 때는 60%에 달한 적도 있었다. 


705a55bcdd86663cc4b72ba4438cb8b8_1675122257_3822.jpg
▲ 파트너, 딸과 함께 유엔 총회장에 앉은 아던 전 총리


<사흘 만에 선출된 신임 총리> 


아던 총리의 전격적인 사임 발표는 즉각 언론을 통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 알려졌으며 특히 외신들은 ‘자신은 인간이며 정치인도 인간이다’라는 발언과 함께 파트너에게 ‘이제 우리 결혼하자’고 던졌던 아던의 말을 가십성으로 전해 더욱 큰 화제가 됐다. 


한편 노동당은 곧바로 1월 22일(일) 열린 전당대회를 통해 후임 당 대표와 총리 선임을 논의해 별다른 이견 없이 당시 경찰부와 교육부를 맡고 있던 크리스 힙킨스 장관을 단독 후보로 선임하고 이를 당일 언론에 발표했다. 


이에 따라 힙킨스 신임 총리는 카멜 세풀로니 의원을 신임 부총리로 지명했으며 두 사람은 1월 25일(수) 오전에 웰링턴 총독 관저(Government House)에 도착해 각료들이 배석한 가운데 신디 키로(Dame Cindy Kiro) 총독 앞에서 선서식을 가졌다. 


제41대 총리로서의 공식 업무를 이날부터 시작한 힙킨스 총리는 당일 오후 3시 30분에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열었으며 이 자리에서 그는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정부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일부 정책 및 집행을 재평가하고 정부 지출을 평상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다음 주에는 새로 구성될 내각 명단을 발표하겠다고 말했으며 취임 이튿날에는 오클랜드에서 경제계 인사들과 만났다. 


705a55bcdd86663cc4b72ba4438cb8b8_1675122291_9667.jpg ▲ 선서식에서 대화하는 총독과 신임 총리 및 부총리


<새 총리 “대학 때 시위로 구금 경력도…”> 


본명이 ‘크리스토퍼 존 힙킨스(Christopher John Hipkins)’이며 현재 44세(1978년생)인 신임 총리는 북섬 남부 헛 밸리(Hutt Valley)에서 태어나 ‘워털루(Waterloo) 프라이머리’와 ‘헛 인터미디어트 스쿨’을 졸업했으며, 이후 ‘헛 밸리 메모리얼 컬리지(나중에 Petone College로 바뀜)’를 거쳐 웰링턴의 빅토리아대학에서 ‘정치학과 범죄학(politics and criminology)’을 전공했다. 


1학년 재학 중이던 1997년, 300여 명의 학생이 국회로 행진해 당시 대학과 학생을 기업으로 보려 한다면서 ‘Tertiary Review Green Bill’에 대한 항의 시위를 벌이는 과정에서 그를 포함한 일부가 경찰에 체포돼 알몸 수색까지 당했다. 


이 사건은 이후 법정 싸움으로 번졌고 12년이 지난 2009년에서야 법원에서, 당시 학생들이 평화적 시위를 벌였음에도 경찰이 과잉 진압했다는 결론과 함께 41명에게 20만 달러 이상을 보상하도록 판결이 내려졌다. 


보상금은 대부분 변호사 비용으로 쓰였고 나머지는 국제사면위원와 같은 자선단체에 기부됐는데, 그는 이런 과정을 통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밝혔으며 그는 이후 2000년과 2001년 ‘학생회장(president of the student association)’을 역임했다. 


대학 졸업 후 ‘산업훈련협회(Industry Training Federation)’와 ‘토드 에너지(Todd Energy)’에서 근무하다가 트레버 맬러드(Trevor Colin Mallard) 전 국회의장과 헬렌 클락 전 총리 사무실 등 국회에서 일했다. 


그러던 중 지난 2008년 총선에서 웰링턴 북쪽의 ‘리뮤타카(Rimutaka, 2020년에 Remutaka로 개명)’ 지역구에서 노동당 후보로 나서 처음 당선되면서 29세의 젊은 정치인으로 등장했다. 


이후 2020년 총선까지 같은 지역구에서 4차례 연속 당선되면서 5선 의원이 됐는데, 특히 2020년 총선에서는 68.5%가 넘는 높은 지지율을 받아 노동당에서는 아던 총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격차로 차점자를 이기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첫 등원 당시 야당이었던 노동당에서 주로 교육 분야에서 일한 그는 지난 2017년 총선에서 노동당이 승리한 후 교육부와 함께 원내 대표직 등을 수행했다. 


특히 2020년 3월부터 코비드19 팬데믹이 시작되고 그해 7월 데이비드 클락(David Clark) 보건부 장관이 봉쇄 지침 위반 논란 끝에 사임한 뒤 후임 임시 보건부 장관이 됐으며, 이후에는 정식으로 ‘코비드19 대응부(COVID-19 response)’를 맡아 자주 언론 브리핑에 등장해 애슐리 브룸필드(Ashley Bloomfield) 보건국장과 함께 국민들에게 크게 주목을 받는 인물이 됐다. 


공공서비스부(Public Service) 장관이기도 했던 그는 2명의 자녀를 두었고 부인인 제이드(Jade)와는 지난 2020년에 결혼식을 올렸지만 현재는 별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705a55bcdd86663cc4b72ba4438cb8b8_1675122329_4003.jpg
▲ 2018년 결혼식의 카멜 세풀로니 부총리(당시 국회의원) 커플 


<통가계 첫 국회의원이었던 세풀로니, 태평양계 첫 부총리로>


카멜 진 세풀로니(Carmel Jean Sepuloni) 부총리는 1977년 타라나키 지방의 와이타라(Waitara)에서 통가 출신으로서 지난 1964년에 사모아에서 뉴질랜드로 이민을 왔던 부친과 지역 농촌 출신의 유럽계 모친 사이에서 태어났다. 


뉴플리머스(New Plymouth) 걸스 하이스쿨을 졸업하고 오클랜드 교육대학과 오클랜드대학 및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했으며, 정계 입문 전에는 사모아에서 1년간 교사로 있는 등 주로 교육 분야와 태평양계 보건 프로젝트 관리자 등으로 일했다. 


지난 2008년에 노동당 비례대표로 당선되면서 통가계 후손으로서는 첫 번째 국회의원이 됐는데, 2011년 총선에서는 오클랜드 와이타케레(Waitakere) 지역구에서 현직이었던 폴라 베넷(Paula Bennett) 국민당 의원에게 11표 차이로 앞섰다가 재검표 결과 9표 차로 고배를 마시기도 했다. 



이후 2014년부터는 오클랜드의 켈스턴(Kelston) 지역구에서 지금까지 3차례 연속 당선됐으며, 노동당 집권 후인 2017년부터 지금까지 줄곧 ‘사회개발부(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MSD)’ 장관을 맡았고 2020년 7월부터는 ACC 장관도 겸직했다. 


이번에 힙킨스 총리에 의해 부총리로 발탁되면서 태평양 제도 출신으로서는 첫 번째 부총리이자 또한 여성으로는 3번째 부총리가 됐는데, 힙킨스는 자신이 총리로 지명될 당시 가장 먼저 세풀로니를 부총리로 떠올렸다고 말하기도 했다. 


2018년 11월에 피지 출신의 시인이자 작가, 음악가인 대런 카말리(Daren Kamali)와 피지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 현재 슬하에 2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남섬지국장 서 현

어떤 커튼과 블라인드가 보온에 좋을까?

댓글 0 | 조회 3,849 | 2023.04.12
아침과 밤 기온이 차츰 내려가면서 계절이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살다보면 매년 겨울이 되면 집 안을 어떻게 따뜻하게 만들지를 자주 고민에 빠… 더보기

침체한 주택시장 반영하는 매매 급감

댓글 0 | 조회 5,110 | 2023.04.12
주택시장의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주택시장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인 주택 매매량이 4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주택가격의 하락세도 계속되면서 평균… 더보기

팬데믹이 교육에 미친 긴 영향

댓글 0 | 조회 2,638 | 2023.03.28
정부가 지난달 학생들의 무단결석을 줄이기 위해 출석 사무관들을 추가 배치하는 등 7,400만달러를 투입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규칙적으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절반을 … 더보기

“대의를 위해 기꺼이…” 우크라이나에서 전사한 마오리

댓글 0 | 조회 2,428 | 2023.03.28
작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 넘도록 이어지면서 엄청난 피해가 나고 있다.서방권을 중심으로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를 원조하는 가운데 외… 더보기

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댓글 0 | 조회 8,559 | 2023.03.15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와 2월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내었고 많은 주택들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내 주었다. 특히 뉴질랜드 최대 도… 더보기

하늘에 강물이 흐른다?

댓글 0 | 조회 3,970 | 2023.03.14
뉴질랜드가 대형 기상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보통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로 2월에 절정에 달하는데, 올해는 시작하자마자 ‘사이클론… 더보기

인기없는 정책들 버리고 생활비 위기에 올인하는 신임 총리

댓글 0 | 조회 5,734 | 2023.03.01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신임 총리가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전 총리 시절 노동당 정부가 추진하던 논란많은 정책들을 폐기하거나 … 더보기

사망 10% 넘게 늘고 10대 출산은 절반으로…

댓글 0 | 조회 3,228 | 2023.02.28
지난주 뉴질랜드 통계국은 작년도 국내 인구 동향과 관련된 통계를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12월 말 현재 국내 인구는 남자가 255만 6100명, 그리고 여자가 25… 더보기

총리 사임과 다가올 총선

댓글 0 | 조회 2,812 | 2023.02.15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지난달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하고 10월에 열리는 총선에도 불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아던 총리의 후임으로 크리스 힙… 더보기

점점 작아지는 집, 북섬은 건축허가 감소

댓글 0 | 조회 6,202 | 2023.02.14
2000년대 들어 한때 더 큰 집을 짓던 경향이 나타났던 뉴질랜드에서 2010년대 이후부터는 새로 짓는 집의 크기가 갈수록 작아지고 있다.여기에는 1인가구를 비롯… 더보기

물가 잡으려 의도적으로 불황 일으키려는 중앙은행

댓글 0 | 조회 7,292 | 2023.02.01
중앙은행은 최근 물가 안정을 위해 의도적인 경기후퇴를 일으키려 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급격한 금리 인상에 나섰던 중앙은행이 경기… 더보기
Now

현재 아던 총리 전격 퇴진, 새 총리에 크리스 힙킨스

댓글 0 | 조회 3,342 | 2023.01.31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신임 총리가 2023년 1월 25일(수) 선서식을 마치고 제41대 뉴질랜드 총리로 정식 취임했다.이보다 앞서 1월 19일… 더보기

이민부의 고질적인 심사 적체

댓글 0 | 조회 6,224 | 2023.01.18
정부는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업종에 대한 이민 문호를 확대했다. 이에 따라 간호사와 조산사를 포함한 10개 직업을 ‘이민 그린 리스트’에 포함하고 버스 … 더보기

너무도 슬펐던 크리스마스의 기적

댓글 0 | 조회 3,667 | 2023.01.17
한 해가 바뀌기 직전이었던 지난 2022년 12월 30일(금).전 세계 언론에는 호주 서부에서 발생한 안타까우면서도 기적을 본 듯한 교통사고 소식이 일제히 실렸다…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2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67 | 2022.12.21
■ 인플레 대란2022년은 인플레이션이 한해 내내 괴롭힌 힘든 시기였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영향 등으로 연초부터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3달러 이상으로… 더보기

고요하고 거룩한 평화의 크리스마스

댓글 0 | 조회 1,757 | 2022.12.20
2020년 초반부터 시작된 코비드-19 팬데믹이 여전히 인류의 삶을 불편하게 했던 가운데 또 한 해가 시나브로 저물고 있다.올해 역시 갖가지 크고 작은 뉴스가 T… 더보기

얼어붙은 주택시장 … 집값 11년 만에 연간 하락

댓글 0 | 조회 7,758 | 2022.12.07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집값이 1년전 가격보다도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연간 기준으로 떨어진 것은 2011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집값 … 더보기

팬데믹 안 끝나고 새 파동 오는 중, 연말 더욱 조심해야

댓글 0 | 조회 3,346 | 2022.12.06
올해 마지막 달이 되면서 다사다난했던 또 한 해가 저물고 있다.TV에서는 ‘FIFA 축구 월드컵’ 중계가 한창이지만 연말의 긴 휴가 시즌을 앞두고 가슴 설레는 이… 더보기

가축 ‘트림세’ 부과에 뿔난 농민들

댓글 0 | 조회 3,106 | 2022.11.22
뉴질랜드는 전체 인구보다 많은 약 2,600만마리의 양과 1,000만마리의 소를 키우는 축산 선진국이다. 그런데 정부가 오는 2025년부터 가축의 트림 등 농축산… 더보기

대도시 인구가 줄고 있다

댓글 0 | 조회 4,030 | 2022.11.21
코비드-19 팬데믹으로 뉴질랜드의 전체 인구 증가율이 2년째 크게 낮아진 가운데 국내 각 지역 간에도 인구가 이동하면서 오클랜드를 포함한 일부 도시 지역의 인구가… 더보기

재개되는 이민 부문과 검토중인 기술이민

댓글 0 | 조회 6,498 | 2022.11.09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기술이민과 부모초청이민이 다시 열린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이민자 수를 제한하지 않는 새로운 이민 부문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같… 더보기

‘꿈의 직업’에 몰린 전 세계 지원자들

댓글 0 | 조회 5,085 | 2022.11.09
지구상에서도 가장 외딴 지역의 일자리 하나를 놓고 처음에는 거의 없었던 지원자가 구인 대상 지역을 넓히자 전 세계 각지에서 무려 1300명이 넘는 이들이 대거 이… 더보기

요동치는 금융시장

댓글 0 | 조회 4,305 | 2022.10.26
팬데믹의 긴 터널을 빠져 나오는 길목에서 시장에 악재만 산적하고 있다. 물가는 치솟고 금리는 상승하며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는 떨어지고 주가는 폭락했다. 국제 금융… 더보기

북섬 스키장은 기후 재난의 첫 희생물?

댓글 0 | 조회 2,173 | 2022.10.26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이슈는 이제는 인류의 발등에 떨어진 뜨거운 불이자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엄청난 재앙으로 다가왔다.기후 변화는 규모도 훨씬 강해지고… 더보기

발등의 불이 된 해수면 상승

댓글 0 | 조회 4,240 | 2022.10.12
기후 변화와 함께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며 특히 섬나라인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큰 위기를 부를 국가적 문제인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해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