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0 개 5,518 서현

21bf6afa08f8cd5e9d054694c9e82fb3_1573592650_0393.jpg

한낮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가면서 계절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이 즈음이면 

매년 뉴질랜드 언론들에 등장하는 뉴스가 하나 있다. 

정원작업에 나설 때 ‘레지오넬라증 질병(Legionnaires disease)’을 조심하라는 

뉴스가 바로 그것이다. 

 

본지에도 이와 관련된 기사가 실리면 많은 독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이곤 하는데 이번 호에서는 이름도 독특한 ‘레지오넬라증 질병’을 소개한다.  

 

독특한 이름이 탄생한 배경은? 

 

‘레지오넬라증 질병’은 한국에서는 흔히 ‘재향군인병’ 이라고도 불린다. 이처럼 특이한 이름으로 불리게 된 데는 사연이 깊다.   

 

우선 단어 앞 부분의 ‘레지온(legion)’ 이라는 부분은 라틴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군대’ 또는 ‘군단’, ‘집단’ 등을 뜻하는데 특히 옛날 이른바 ‘로마 군단’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우리가 영화 등을 통해 많이 접했던 프랑스의 ‘외인부대’를 영어로는  ‘The Foreign Legion’ 이라고 하며, 1802년에 나폴레옹이 처음으로 제정해 지금까지 이어지는 프랑스 최고의 훈장 명칭인 ‘레지옹 도뇌르(Order de la legion d’honneur)’역시 여기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한편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자국의 ‘재향군인회’를 ‘The British or American Legion’ 이라고 표기하며 ‘리저네어(legionnaire)’는 ‘재향군인회 회원’을 의미한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재향군인을 ‘베테랑(veteran)’으로 달리 표기해 ‘대한민국재향군인회’의 정식 영어 명칭은 ‘Korea Veterans Association’이다. 

 

그런데 레지오넬라증 질병이 이처럼 독특한 이름을 갖게 된 배경에는 ‘미국재향군인회’가 개최한 한 행사가 자리하고 있다. 

 

원인 모를 질병으로 쓰러진 노병들 

 

지금으로부터 40년도 더 전인 지난 1976년 7월 21일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벨뷰 스트래퍼드(Bellevue-Stratford) 호텔’ 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행사는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해 독립 선언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 재향군인회 총회(convention)’였다. 

 

회원과 가족 등 모두 4400명이 넘는 대규모 인원이 참석해 행사가 성대하게 치러지던 중 뜻밖에도 참가자 여러 명이 고열과 기침 증상을 보이면서 폐렴으로 잇달아 쓰러지는 사건이 벌어졌다. 

 

주최 측이나 의료진은 처음에는 나이가 많은 제대군인들이 장거리 여행으로 무리해 폐렴에 걸린 것으로 추정했지만 환자들 중에는 30대와 함께 호텔 직원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행사를 마치고 귀가한 이들 중에서도 환자가 속출하기 시작하더니 총회가 개막했던 때부터 2주가 지난 시간에는 149명이 같은 증상으로 앓기 시작했다.  

 

결국 최종적으로는 모두 211명의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 중 16%가 넘는 34명이나 되는 환자가 사망하는 사태로까지 커졌다. 

 

그러나 이미 재향군인들이 광대한 지역으로 흩어진 이후 앓아눕다 보니 보건 당국은 처음에는 당시 사태가 집단 발병이라고 인식조차 하지 못했다.    

 

나중에서야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조사에 나섰지만 집단 발병이라는 사실만 확인된 상태에서 폐렴을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때문이었는지는 밝혀내지 못하고 있었다. 

 

21bf6afa08f8cd5e9d054694c9e82fb3_1573592784_8945.jpg
▲ 벨뷰 스트래퍼드(Bellevue-Stratford) 호텔 전경

집단 발병 반년 만에야 발견된 박테리아

 

보건 당국은 환자들에게서 얻은 가검물에서도 특별한 병원균을 찾아내지 못했는데, 환자들의 가검물이 든 배양접시에는 일단 ‘재향군인병’ 이라는 라벨이 붙여졌다.

 

당시 연구자들은 독감을 의심해 바이러스를 찾아내려 애썼는데, 그러나 결국 집단 발병 후 반년가량이나 지난 1977년 1월에서야 병원의 에어컨 냉각수에서 찾아낸 병원균의 정체가 파악되면서 그 원인이 밝혀졌다. 

 

당시 미국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는 이 병원균이 매우 특이한 박테리아(세균)이며 또한 특이한 배양 환경에서만 자라는 균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세균은 호텔이나 대형 건물의 에어컨 시설이나 이에 딸린 냉각수탑 안의 냉각수, 또는 수도꼭지 등에 흔히 있던 균이었고 물분자 형태로 공기 중을 떠돌다 사람이 들이마시면 폐로 들어가 폐렴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20%에 이르기도 했는데 재향군인들의 모임이 있은 몇 년 뒤에 해당 병원균의 이름이 공식적으로 ‘레지오넬라 뉴모필라(Legionella pneumophila)’로 정해졌다. 

 

명칭 중 ‘레지오넬라(Legionella)’는 미국재향군인협회 ‘American Legion’ 중에서, 그리고 뒷부분은‘공기 또는 폐’를 뜻하는 ‘뉴모(pneumo)’와 ‘좋아한다’는 의미의 ‘필라(phila)’가 합성된 것이다.

 

이후 지금까지 이어진 연구 결과 ‘레지오넬라증 질병’은 50개의 균이 속해 있는 ‘레지오넬라균속(Legionella spp.)’에 속한 세균종들이 일으키는 감염병을 의미하게 됐다. 

 

이 감염병들 중 대부분이 앞서 언급된 ‘레지오넬라 뉴모필라(Legionella pneumophila)’ 병원균이 일으키는데 레지오넬라증 질병은 ‘폐렴형’과 ‘독감형’ 으로 나뉜다. 

 

그중 ‘독감형’은 ‘폰티악 열(Pontiac fever)’로 그리고 ‘폐렴형’은 ‘재향군인병(Legionnaire’s disease)’으로 각각 알려져 있다. 

 

21bf6afa08f8cd5e9d054694c9e82fb3_1573592895_9993.jpg
▲ 최초로 레지오넬라 병원균을 분리해낸 CDC의 조지 고만(George Gorman)과 짐 필리(Dr. Jim Feeley) 박사

재향군인병보다 먼저 나타났던 '폰티악 열' 

 

‘폰티악’은 미국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 근교의 도시인데, 이곳에는 제너럴모터스(GM) 자동차 공장이 있으며 GM의 유명 브랜드 중 하나인 ‘폰티악’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그런데 재향군인 모임에서 환자가 발생하기 8년 전인 1968년에 이 도시의 한 건물에서 일하던 100명의 사람들 중 95명이 갑자기 원인불명의 고열, 설사, 구토, 가슴 통증을 앓기 시작했다.  

 

집단 발병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모른 채 일단 ‘폰티악 열’로만 불리던 이 병 역시 나중에 레지오넬라 병원균이 발견된 후 당시 환자들의 혈액을 조사한 끝에 그 정체를 밝혀낼 수 있었다. 

 

당시 폰티악 열의 환자들은 같은 건물의 에어컨을 통해 나온 공기를 마셨던 사람들이었는데, 다행히도 환자들은 독감처럼 병을 앓고 지나갔다. 

 

이는 레지오넬라 뉴모필라균에 감염되었더라도 종류에 따라 독감처럼 한바탕 앓고 지나갈 수도 있지만 재향군인들처럼 심각한 폐렴으로 번져 사망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폰티악 열은 호흡 곤란, 기침 증상보다는 두통, 근육통, 구토 등의 증상이 많은 반면 폐렴형은 폰티악 열에 비해 호흡 곤란과 기침 등의 증상이 심하고 치사율도 훨씬 높다. 

 

위의 사례처럼 레지오넬라증 질병은 대부분 다른 나라에서도 에어컨 냉각수탑과 같은 공용건물의 공기 조절 장치 등을 통해 집단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1984년 7월에 서울 고려대병원에서 중환자 및 중환자실 근무 의료진 26명 중 23명에게 집단 폐렴이 발생하면서 알려졌는데,  금년 상반기에만 176명이 발병하는 등 매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각국의 보건 당국들은 특히 여름이 될 무렵이면 에어컨 냉각수탑 등에 대해 엄격한 규정을 적용해 관리에 나서곤 한다. 

 

그러나 이 균은 수영장을 포함한 스파나 가습기, 호흡기 질병 치료기나 샤워기와 수도꼭지는 물론 실내에 놓인 장식용 분수와 심지어는 차량 유리창을 닦는 워셔액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흔하다.  

 

흙에서도 번식하는 병원균 

 

그런데 레지오넬라 박테리아가 하천이나 호수, 냉각수탑 등 자연이나 인공을 가리지 않고 물이 있는 곳에서 많이 서식하기는 하지만 뉴질랜드에서는 흙과 관련된 곳에도 많다는 점이 특히 문제이다. 

 

그러다보니 정원작업 시 흔히 사용하는 이른바 ‘포팅 믹스(potting mix)’나 ‘퇴비(compost)’ 봉투 안에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왕성하게 번식하다가 공기를 통해 사람에게 옮겨진다. 

 

작년 9월에 크라이스트처치에서는 가든 센터에서 근무 중이던 41세의 한 남성이 레지오넬라증 질병으로 16일 동안이나 혼수상태(coma)에 빠진 적도 있었다. 

 

그는 센터에서 일하기 시작한 지 3주 만에 발병했는데, 처음에는 독감 증세(flu-like symptoms)로 아프기 시작했지만 발병 4일째 호흡 곤란으로 혼수상태에 빠지면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생명유지 장치가 있는 오클랜드 병원으로 옮겨져야 했다.    

 

유지장치를 제거하면 죽을 수도 있었던 그는 ‘집중치료실(intensive care unit, ICU)’ 에서 항생제를 투여받으면서 사경을 헤맨 끝에 회복됐는데, 그러나 이후 여러 달에 걸쳐 버우드(Burwood) 병원에서 재활치료까지 받아야만 했었다. 

 

그는 오물이나 헛간 등을 치우는 작업을 하면서 마스크나 장갑 등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는데 의사들은 그 때 레지오넬라 균에 의해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사건은 산업안전 담당 기관인 ‘워크세이프(WorkSafe) ’에도 통보가 됐으며, 기관 측에서는 이후 관련 사업장에서 직원들에게 안전장비를 지급하고 교육도 시키도록 조치했다.  

 

21bf6afa08f8cd5e9d054694c9e82fb3_1573593015_1236.jpg
▲ 레지오넬라 뉴모필라균

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한편 지난 6월에 나온 연구 결과를 인용한 국내 언론들은, 뉴질랜드가 해당 질병의 발병률에서 세계 최고로 나타나 이른바 ‘세계의 레지오넬라 수도(Legionnaires’ capital of the world)’가 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오타고 대학에서 진행했던 당시 연구는 레지오넬라증 질병과 관련돼 국가적으로 실시된 첫 번째 연구였는데, 이에 따르면 기존 폐렴 환자들 중 레지오넬라 균에 의한 발병 사례가 종전까지 알려졌던 것에 비해 3배나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데이비드 머독(David Murdoch) 교수에 따르면, 2015년 5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전국의 20개 병원에 입원했던 폐렴 환자들 중 238명의 폐에서 레지오넬라 균이 발견됐다. 

 

발병률은 인구 10만명당 5.4명으로 세계 최고를 기록했는데, 특히 이들 병균 중 63%가 토양에서 발견되는 ‘레지오넬라 롱비채 변종(Legionella longbeachae strain)’이었다. 

 

이는 결국 흙과 관련된 작업을 하던 중 다수가 감염됐음을 뜻하며 뉴질랜드에서 발병률이 높은 이유 역시 짐작할 수 있게 하는 통계이다. 

 

또한 이들 환자들 중 65세 이상이 60%였고 진단을 받은 지 90일 안에 15명이 사망했으며 38명은 회복하기는 했으나 집중치료실 치료를 받아아만 했고 입원 환자들 중 2/3가 겨울과 봄철에 발병했다. 

 

한편 폐렴 환자들 중 더 많은 숫자가 레지오넬라로 인해 발병했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진 가운데 지역별 통계도 종전과는 조금 달리 나왔다. 

 

베이 오브 플렌티 보건위원회 산하 지역에서 인구 10만명당 8명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크스 베이와 와이테마타가 6~8명였던 반면에 종전까지 가장 높았던 것으로 추정되던 캔터베리는 이들 지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미국 질병통제관리본부 통계를 보면 2015년 미국에서 연간 5000명의 환자가 발생해 대부분 병원 치료로 회복됐지만 1/10가량이 사망했는데, 2000년에서 2014년 사이에 환자가 4배 증가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환자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21bf6afa08f8cd5e9d054694c9e82fb3_1573593083_1924.jpg
▲ 레지오넬라증 질병의 증상

독감 증세와 유사한 레지오넬라 

 

레지오넬라증 질병은 대체로 초기 증상이 숨이 가빠지고 마른 기침과 함께 39~40.5C에 이르는 고열과 오한이 나며 두통과 근육통, 설사 등이 동반돼 독감(인플루엔자) 증상과 매우 흡사하다. 

 

이런 까닭으로 발병 초기에 폐 깊숙한 부위에 잠복한 박테리아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함으로써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자주 있으며 특히 폰티악 열의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  

 

더욱이 이 질병은 ‘파상풍(Tetanus)’ 이나 독감처럼 미리 백신을 접종해 대처할 수도 없는데, 50세 이상이나 흡연자, 만성폐질환자, 암환자 및 면역억제요법 중인 사람, 그리고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보건 전문가들은 정원에서 포팅 믹스나 퇴비 작업을 할 때는, 실내가 아닌 환기가 잘 되는 밖에서 하며 봉투는 조심스럽게 개봉하고 장갑과 마스크를 이용하고 또한 퇴비나 포팅 믹스 혼합물을 살포한 다음에는 물을 충분히 뿌려주고 작업 후에는 손을 철저히 씻도록 당부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업을 한 후에 만약 플루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진에게 만났을 때 자신이 했던 일을 상세히 알려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남섬지국장 서 현 

최적의 은퇴 연령은?

댓글 0 | 조회 6,953 | 2022.03.23
많은 젊은이들은 65세가 되기 휠씬 전에 은퇴를 꿈꾼다. 하지만 사람들은 흰머리가 나기 시작하면 노령연금 수급연령을 넘어서도 일을 하고 싶거나, 할 필요를 인식하… 더보기

침략당한 우크라이나의 아픈 과거

댓글 0 | 조회 3,247 | 2022.03.22
우크라이나(Ukraine)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으로 두 나라 군인들은 물론 어린이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이 대거 희생되는 비참한 전쟁터 모습과 이웃 국가로 피난하는 … 더보기

법 시행과 함께 다가온 주택시장 하강

댓글 0 | 조회 10,288 | 2022.03.09
작년 12월 이후 외견상 사소한 이유로 주택대출 신청이 거부됐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알려지고 있다. 반려견에 대한 지출이 너무 커서, 외식 빈도가 높아서, 국내 여… 더보기

갈수록 커지는 NZ의 ‘자산 불평등’

댓글 0 | 조회 6,144 | 2022.03.08
지난 6년간 뉴질랜드 ‘가계(가구, households)’의 ‘순자산(net worth)’이 증가했지만 부가 한쪽으로 편중된 모습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 조사 … 더보기

팬데믹 2년, 끝나지 않은 전쟁

댓글 0 | 조회 4,336 | 2022.02.23
오는 28일은 뉴질랜드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2주년이 되는 날이다. 꼬박 2년이 지났는데도 코로나19의 기세는 꺾이지 … 더보기

전 세계에 밀려오는 인플레이션 공포

댓글 0 | 조회 5,997 | 2022.02.22
오미크론 변이 확산되는 가운데 먹거리를 비롯한 생활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서 서민들은 물론 중산층을 포함한 국민들의 한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주유소에서는 치솟는… 더보기

뉴질랜드의 높은 건축비용

댓글 0 | 조회 7,458 | 2022.02.10
건축비용이 지붕을 뚫고 있다. 오랫동안 토지 가격이 신축 주택 가격 상승의 주범으로 인식돼 왔지만 이제 급등한 건축비용이 그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건축업계는 … 더보기

한적한 해변에 흩어진 지폐들

댓글 0 | 조회 6,359 | 2022.02.09
지난 1월 초 노스 캔터베리의 한 한적한 마을의 해변을 찾았던 주민들은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큰 행운(?)을 만난 것처럼 보였다.그것은 해변의 모래사장과 바위 … 더보기

경쟁국들에 뒤쳐지고 있는 유학업

댓글 0 | 조회 5,285 | 2022.01.27
팬데믹 이전 뉴질랜드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53억달러를 기여했던 유학업이 2년 간의 국경 통제로 인한 침체에서 올해 벗어날 수 있을까?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더보기

“전 세계가 깜짝!” 통가 해저화산 대폭발

댓글 0 | 조회 5,462 | 2022.01.27
해저화산의 대규모 폭발로 지구촌 식구들이 깜짝 놀란 가운데 뉴질랜드의 이웃 국가이자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인 통가가 국가적인 큰 시련에 봉착했다.폭발 후 6일이 … 더보기

순탄치 않을 경제 회복의 길

댓글 0 | 조회 6,039 | 2022.01.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2022년 경제도 불확실성이 걷히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에 비교적 잘 버텨온 것으로 평가받고 … 더보기

자외선 차단제 제대로 고르자

댓글 0 | 조회 4,825 | 2022.01.11
새해 벽두부터 오클랜드를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폭염 경보가 발령되는 등 뜨거운 여름이 이어지고 있다.작열하는 태양 아래 ‘자외선 차단제(Sunscreen)’는 국…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1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998 | 2021.12.22
■ 아메리카스 컵 우승, 다음 대회 뉴질랜드 개최 여부는 불확실3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오클랜드에서 열린 제36회 아메리카스 컵(America’s Cup) 요트… 더보기

올 한 해 인터넷에서 찾아본 것은?

댓글 0 | 조회 2,505 | 2021.12.21
매년 해가 바뀔 무렵 흔히 쓰던 ‘다사다난(多事多難)’이라는 상투적인 표현으로는 도저히 다 담지도 못할 정도로 힘들고 사건도 많았으며 혹독했던 2021년 한 해도… 더보기

위험한 부채 증가 속도

댓글 0 | 조회 6,797 | 2021.12.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경제 근간을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던 방향으로 바꿔 놓았다. 그 변화는 국가 총부채에 투영된다. 팬… 더보기

감칠맛 ‘다시마’에 이런 기능이…

댓글 0 | 조회 4,391 | 2021.12.07
지난 11월에 지구촌 식구들은 영국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Glasgow)에서 열렸던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계기로 각국 정부와 … 더보기

오클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공동주택 건축 가능해질 듯

댓글 0 | 조회 10,761 | 2021.11.24
내년 8월부터 오클랜드, 해밀턴,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등 대도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3층 높이의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 더보기

봉쇄 풀린다! 떠나자 여름 즐기러

댓글 0 | 조회 6,168 | 2021.11.23
본격적인 여름 휴가 시즌을 앞두고 다음 달 중순부터 3개월 이상 계속된 오클랜드의 봉쇄 조치가 풀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당사자인 오클랜드 주민들은 물론 전국의 … 더보기

‘원오프’ 영주권 승인과 그 배경

댓글 0 | 조회 10,722 | 2021.11.10
정부의 새로운 원오프(one-off) 거주비자 시행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신청이 시작된다. 이민부는 신청자격을 갖춘 비자 소지자들에게 연락할 것이라고 밝힌 바 … 더보기

바이러스 “오클랜드 인구까지 줄였다”

댓글 0 | 조회 7,531 | 2021.11.09
세계를 휩쓰는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오클랜드 인구까지 감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지구촌 식구들의 일상생활은 물론 바이러스는 정치… 더보기

상승 기조로 돌아선 금리

댓글 0 | 조회 5,729 | 2021.10.28
기준금리가 지난 6일 사상 최저치인 0.25%에서 0.5%로 0.25%포인트 인상됐다.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2014년 7월 이후 약 7년여 만이다. 경제 전문가… 더보기

빨간불 켜진 인플레이션

댓글 0 | 조회 8,488 | 2021.10.27
국내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는 뉴스가 언론에 여러 차례 등장하던 끝에 결국 1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에 도달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이달 초 7년 만에 처음으로… 더보기

오염으로 몸살 앓는 강과 개울들

댓글 0 | 조회 4,829 | 2021.10.13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2~3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뉴질랜드의 강물과 개울들이 시간이 갈수록 수질이 악화돼 물놀이를 즐기기에 부적당한 곳들이 이전보다 늘어났다… 더보기

코로나 대응과 국경 개방

댓글 0 | 조회 8,435 | 2021.10.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국경 봉쇄로 코로나19를 통제한 뉴질랜드가 최근 계속해서 발생하는 델타 변이로 국경 봉쇄가 더욱 장기화하는 … 더보기

인류 최후의 피난처 NZ?

댓글 0 | 조회 15,865 | 2021.08.25
지난 7월 말 영국의 언론들을 비롯한 뉴질랜드와 한국 등 세계 각국의 언론에는 세계 문명이 붕괴할 때 최적의 생존지를 선정한 연구 결과가 보도되면서 사람들의 눈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