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되는 학생대출금 체납 단속

강화되는 학생대출금 체납 단속

0 개 6,121 서현

a43e4fda4f6f63c64ab70804f4a796da_1532423781_6929.jpg
 

그동안 역대 뉴질랜드 정부들로 하여금 

계속 골치를 앓게 만든 이슈 중 하나는 

지금도 여전히 막대한 금액이 체납된 

‘학생대출금 (student loan)’ 문제이다.

 

이 중 특히 외국에 장기간 거주하면서 연락조차 제대로 안 되는 이른바 ‘악성 체납자(defaulting borrowers)’문제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국가적 두통거리이다. 이번 호에서는 금액 역시 갈수록 늘어나면서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는 학생대출금과 함께 더불어 자녀부양비 체납 현황도 일부 소개한다. 

 

< 하루 10달러 버는 캄보디아의 키위 남성>  

지난 6월 국내 한 언론에는, 현재 캄보디아에 사는 사이먼 (Simon)이라는 이름의 30세 뉴질랜드 남성이 학생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아 ‘Student Loan Scheme Act’를 어긴 혐의로 체포됐다는 소식이 실렸다. 

 

그는 지난날 국내에서 대학에 적을 두고 있던 6년 동안 정부로부터 빌렸던 약 4만달러의 학생대출금과 이후 발생한 이자 등을 상환하지 않았다.  6년 전 캄보디아로 떠났던 그는 현재 현지 해변의 한 바에서 일하며 하루 10 NZ달러를 버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에 따르면 그는 지금까지 학자금을 단 1센트도 갚지 않았으며 단지 부모가 이자 연체에 대한 ‘과태료(penalty interest)’를 조금이라도 낮추려고 아주 조금씩 상환하던 중이었다. 

 

체포된 그는 “나는 대출금을 갚고 싶으며 빚을 피해 도망가는 사람들 중 하나도 아니고 만약 복권이라도 당첨되면 일시에 모두 갚을 것이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현 수입이나 지금까지 해온 행태로 볼 때 향후 그가 정상적으로 빚을 갚아 나가리라고는 믿기 어려운 게 우리가 처한 솔직한 현실이다.  

 

<해외 거주 9만명 이상, 12억달러 체납>   

사실 위에서 사례로 든 사이먼은 현재 해외에 체류하면서 학생대출금 상환에 문제를 야기한 9만명 이상의 키위들 중 한 명일 뿐이다. 

 

지난 2016년 기준으로 작성된 관련 통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들쳐보면, 대출자 중 모두 11만 2390명이 당시 해외에 거주 중이었으며 이 중 대략 70%는 호주에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상환해야 할 금액은 총 32억 5,000만 달러였는데, 이들 중 70% 이상이 상환에 제대로 응하지 않으면서 12억 달러가 넘는 대출금이 악성 체납금으로 쌓인 상황이었다. 

 

반면 이 당시 국내 거주자들이 지고 있던 학생대출금 중 문제가 된 금액은 1억달러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달 초 언론에 공개된 국세청(Inland Revenue, IRD)의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금년 6월 1일 현재 금액 기준으로 상위 10명이 가진 학생대출금 총 체납액만 무려 407만 9,599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최소한 37만달러가 넘는 이들 체납자들 10명은 짐작한 대로 현재 모두 외국에 있는데, IRD에서는 이들이 대학에서 배웠던 전공이 무엇인지는 따로 공개하지 않았다. 

 

또한 이 중 가장 최고액 체납자의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이들의 개별 신원도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는 연령도 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체납액 규모가 이 정도라면 향후 특별한 상황이 전개되지 않는 한 지금까지도 ‘나몰라라’해왔던 이들로부터 대출금을 돌려받기는 불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a43e4fda4f6f63c64ab70804f4a796da_1532424457_0256.jpg
 

<소재조차 모르는 악성 체납자들>  

지난 2016년 중반부터 뉴질랜드 국세청은 호주 국세청(Australian Tax Office)과 협조해 호주에 거주 중인 대출금 체납자들의 소재를 파악 중이다. 이후 이들에게는 전화와 이메일, 편지 등을 통해 상환을 압박하고 있으며 때로는 추심업체까지 동원한다.

 

IRD에 따르면 2017년 6월 30일까지 2년 동안 모두 1만 3,000 명의 호주 거주 체납자들을 추적했는데, 이들 중 20%가량만이 IRD에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체납자가 호주 아닌 다른 나라에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소재조차 파악 안 되고, 또 소재를 안다고 해도 별다른 압박 방법도 없음은 IRD 역시 인정하는 현실이다. 

 

한편 체납자들이 국내 입국 후 출국시 이들을 체포하기도 했는데, 그러나 그동안 국내 언론에 떠들썩하게 전해진 것과는 달리 실제 현장에서의 체포 사례는 극히 적었다.   

 

 IRD 자료에 따르면 2017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해당자들에 대해 모두 5건의 체포영장이 발부된 가운데 실제 체포로까지 이어진 경우는 겨우 2차례에 불과했다. 

 

또한 그 이후 금년 4월 30일까지 10개월 동안에도 달랑 한 건만 체포영장이 발급됐는데 이 역시 채무자가 IRD에 협조하면서 실제 체포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통상 법원에서 영장이 발부된 후 체포가 실제되면 일단 여권이 압수된 상황에서 일부 금액을 납부하고 향후 납부 계획서를 IRD에 제출한 뒤 풀려나 출국하게 된다. 

 

a43e4fda4f6f63c64ab70804f4a796da_1532424409_3764.jpeg

<학생대출금 체납자는 범죄자?>  

실제로 지난 2016년 1월에 오클랜드 국제공항에서 체포됐던 나토코토루 푸나(Ngatokotoru Puna, 42)는 이런 절차를 모두 밟은 후에야 출국이 허용됐다. 

 

쿡 아일랜즈(Cook Islands) 출신으로 헨리 푸나(Henry Puna) 쿡 아일랜즈 총리의 조카이기도 했던 그는 20여년 전 오클랜드대학에서 ‘문학사(Bachelor of Arts)’학위를 받기까지 학자금을 대출받으면서 공부했다. 

 

당시 총 4만 달러를 빌렸던 그는 뉴질랜드를 떠나 2004년부터 줄곧 쿡 아일랜즈의 라로통가(Rarotonga)에 거주하면서 교육 부문에서 일했다. 그러나 그는 대출금을 전혀 안 갚는 바람에 체포 당시에는 빌린 원금 4만달러에 이자와 체납금까지 더해져 밀린 금액이 모두 13만 달러로 크게 늘어난 상황이었다.   

 

당시 컨퍼런스 참석차 오클랜드를 찾았던 푸나가 체포되자 라로통가에 있던 그의 아내는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 IRD가 상환 독촉 편지를 엉뚱한 주소로 보내 제대로 전달받지 못했다고 항변했다. 푸나는 체포되던 날이 인생 최악의 날이었다면서, 처음에는 분실한 여권 대신 받은 임시여권 때문에 출국심사가 지체된 것으로 생각했으며, 경찰관이 학생대출금 혐의로 체포한다고 말했을 때 농담인줄 알았다고 말했다. 

 

인생 처음으로 유치장에 7시간 붙잡혀 있었던 그는 자신은 범죄자가 아니라면서, 자기의 실수는 학생대출금을 상환해야 하는 수준의 연봉을 받기 시작한 5년 전에 IRD와 접촉하지 않았던 것뿐이라고 말했다. 

 

며칠 뒤 마누카우 지방법원에 출두했던 그는 죽는 날까지 IRD에 갚아야 할 빚이 있다는 점을 인정했는데, 그러나 법정 밖 인터뷰에서는 자신이 IRD에 시범으로 걸린 것 같으며 마치 범죄자처럼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다른 이들은 이런 일을 겪지 않기 바란다고 말한 그는 결국 부모로부터 5,000달러를 급히 빌려 납부하고 상환 계획서를 IRD에 제출한 뒤 여권을 돌려받고 출국할 수 있었다. 

 

a43e4fda4f6f63c64ab70804f4a796da_1532424655_9763.jpg
 

<새롭게 등장한 용어 '학생대출금 난민'>  

당시 푸나의 체포는 국민당 정부가 2014년 3월, 해외에 체류 중인 대출금 악성 체납자가 입국하면 출국시키지 않고 체포할 수 있도록 새 법률을 도입하면서 이뤄진 첫 번째 구금 사례였다. 

 

새 법률에서는 또한 여권 발급시 주관부서인 내무부(De partment of Internal Affairs)와 IRD간 정보 공유도 가능하고 법원을 통해 여권이나 항공권까지도 압류할 수 있는데, 이 법은 당시 여야 간의 공감 속에 별다른 이견없이 도입됐다. 

 

이는 악성 체납자들을 형사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당시 분위기는 이 문제가 뉴질랜드 정부 입장에서도 빨리 풀어나가야 할 큰 숙제거리였다는 사실을 잘 보여 준다. 

 

한편 당시 푸나 사건은 국내외 각종 언론들에도 크게 보도된 가운데 특히 국외에 머물던 체납자들 사이에서는 즉각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소식을 전해 듣자마자 해외 거주 체납자들로부터 걸려온 전화와 이메일 문의가 IRD에 쏟아졌으며 이 중 대다수는 호주에서 집중됐다. 

 

이는 결국 IRD 입장에서는 푸나의 사례를 통해 값으로 따지기 어려운 대단한 홍보 효과를 얻은 셈이 됐으며, 실제로 이 사건 이후 해외 체납자들의 상환액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한편 일부에서는 체포의 두려움으로 국내에 남아 있는 가족과 친척, 지인들의 결혼이나 장례식 등 경조사에 참석도 못하게 됐다면서, 이른바 ‘학생대출금 난민(student loan refugees)’이라는 새로운 용어까지 지면에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실제 체포된 사례는 단 몇 건에 불과하며 IRD와 고등교육부 등 관련 기관들도 이는 어쩔 수 없을 때 행해지는 최후 수단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학생대출금은 나중에 또 다른 이들을 위해 쓰이는 재원인 만큼 당연히 상환해야 한다면서, 만약 채무자가 형편이 어려우면 IRD와의논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 이 같은 정부의 압박 이후 대출금 상환은 전보다는 꽤 늘어났는데, 그러나 기존 학생들에게 지급하기 위한 재원 역시 많이 필요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체납자들에 대한 압박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8년 현재 뉴질랜드 정부의 학생대출금 총액은 150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a43e4fda4f6f63c64ab70804f4a796da_1532424620_7687.jpg
 

<공항에서 체포된 자녀양육비 체납자들>  

한편 이번 사건을 보도한 기사에는 또한 ‘자녀양육비 채무(child support debt)’에 대한 기사도 함께 실려 눈길을 끌었다. 지난 1991년 도입된 ‘자녀양육법(Child Support Act)’은 부부가 이혼하는 경우 미성년 자녀들에게 문제가 없도록 부양 책임을 부모가 지는 한편 이를 정부가 지원하도록 만든 법률이다.  

 

이 법에 의해 IRD는 양육비를 산정하고 또 급여 공제 등을 통해 지급을 강제할 수도 있는데, 만약 정해진 대로 지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부가 대신 지급한 후 책임있는 부모에게서 이를 받아내게 된다.  

 

이 역시 해외로 나간 뒤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IRD 통계에 따르면 이들로 인해 현재 7억5,000만달러의 자녀양육비 채무가 쌓였고 이 중 7,660만달러가 원금, 그리고 이보다 훨씬 많은 6억 7,270만달러가 연체 이자와 벌금이다.  

 

2016년 7월부터 작년 6월말까지 1년 동안 자녀양육비 채무를 진 해외 거주 부모 중 입국했던 23명에게 체포영장이 발부됐으며, 이 중 13명은 공항에서 출국 전 일부를 납부하거나 상환 계획을 제출했다. 그러나 10명은 결국 체포를 면치 못했는데, 이들로부터 모 두 174만 달러의 자녀양육비 채무가 걷혔다. 

 

또한 작년 4월부터 금년 3월말 사이에는 모두 27명에게 영장이 발부되고 이 중 13명이 체포됐는데, 27명 중 남자가 26 명이었고 50세 이상이 6명이었으며 또 몇몇은 한 가족이 아닌 다수 가족에 대한 양육비 채무가 걸려 있었다. 이들 27명이 IRD에 갚아야 할 부채는 총 390만 달러였으며 이 중 17만달러가 즉시 징수되었고 매년 7만달러씩의 납부 계획이 제출됐다.  

 

한편 2017년 6월 현재 IRD가 받아야 할 자녀양육비 빚은 총 27억달러나 되는데, 이 중 21억달러가 연체 이자와 벌금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7.4% 감소한 것으로 이 같은 전년 대비 감소는 20년 만에 처음이며 금년 4월 말 다시 23억 6,000만 달러로 줄었으며 이 중 연체 이자 등이 18억 달러로 공개됐다.

 

남섬지국장 서 현 

공화국 전환, 이번에도 물 건너 가나

댓글 0 | 조회 3,344 | 2022.10.11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서거 이후 기존 영국 연방 국가들 사이에서 공화국으로의 전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영국의 국왕을 국가 수반으로 하고 있는 영국 연방… 더보기

일상 되찾았다지만... 허무한 한 청년의 죽음

댓글 0 | 조회 5,865 | 2022.09.28
9월 12일(월) 자정부터 뉴질랜드에서 ‘코비드19 경보 신호등 시스템(traffic light system)’이 폐지돼 2020년 3월부터 시작된 팬데믹의 각종… 더보기

점점 살기 나빠지는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10,181 | 2022.09.28
날로 늘어나는 강력 범죄, 매일 도로 작업이 벌어지지만 나아지지 않는 교통 상황, 끝없는 공사로 문닫는 상점들과 활기 잃은 CBD.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도시인 … 더보기

NZ “기후변화 속 도로망 관리에 비상”

댓글 0 | 조회 2,403 | 2022.09.14
뉴질랜드 전국은 9만 4000여 km에 달하는 도로로 연결됐으며 그중 국도 길이는 10%가 조금 넘고 나머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지방도로이다.최근 홍수를… 더보기

복지국가 뉴질랜드의 빈곤에 관한 부끄러운 민낯

댓글 0 | 조회 8,566 | 2022.09.13
뉴질랜드는 복지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다. 복지 선진국에서 국민은 적어도 먹고 주거하는 기본적인 생활을 걱정하지 않아도 돼야 하지만 뉴질랜드의 실상은 그렇지 않다.… 더보기

이민자가 살기 힘든 나라

댓글 0 | 조회 11,346 | 2022.08.24
뉴질랜드는 많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민 대상국 중 하나로 꼽혀 왔다. 하지만 최근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가 ‘외국인이 살기 나쁜 나라’ 2위에 올랐… 더보기

물린 게 잘못, 아니면 개 주인의 책임?

댓글 0 | 조회 3,822 | 2022.08.23
뉴질랜드인은 총인구와 맞먹는 460만 마리의 각종 반려동물을 키우며 그중 개체 수가 절대적으로 많은 물고기를 제외하면 고양이가 110만 마리로 으뜸인 가운데 20… 더보기

물가 비상! 가정도 국가도 전전긍긍

댓글 0 | 조회 6,021 | 2022.08.10
물가상승률이 32년 만에 최고로 치솟아 국민 살림살이가 한층 빡빡해진 것은 물론 기업이나 단체, 나아가 지방정부를 포함한 국가기관에도 한마디로 비상이 걸렸다.현재… 더보기

마비 직전의 의료 서비스

댓글 0 | 조회 4,465 | 2022.08.09
뉴질랜드가 심각한 의료 위기를 겪고 있다. 지금 의료 서비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겨울철 질환, 의료 인력 부족 등으로 극심한 압박을 받고 … 더보기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벅찬 내 집 마련의 현실

댓글 0 | 조회 8,569 | 2022.07.27
뉴질랜드에서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 간에 생애 첫 집 구입이 어느 쪽이 더 어려웠는지에 대한 오래된 논쟁이 있었다. 이에 대한 결론은 세계 제2차 대전 이… 더보기

펄펄 끓는 지구, 사라지는 NZ 빙하

댓글 0 | 조회 5,301 | 2022.07.26
지구가 펄펄 끓는다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여름을 맞아 북반구가 유럽을 중심으로 그야말로 뜨겁게 달아올랐다.스페인과 프랑스에서는 연이은 대형 산불로 주민이 대피하고… 더보기

“위기를 기회로 바꾼다” 연어 양식장

댓글 0 | 조회 5,429 | 2022.07.13
지난여름 유례없이 뉴질랜드 주변 바다의 수온이 치솟으면서 말버러의 연어 양식장에서는 1200톤이 넘는 연어가 떼죽음을 당했고 양식장은 막대한 손해를 봤다.배경에는… 더보기

501조 추방자들

댓글 0 | 조회 5,781 | 2022.07.12
요즘 강력 범죄가 늘면서 그 원인 가운데 하나로 호주에서 강제 추방된 뉴질랜드 국적 범죄자들이 거론된다. 호주 이민법 501조에 따라 추방됐기 때문에 흔히 ‘50… 더보기

사상 최저의 실업률에도 불안정한 고용에 힘든 사람들

댓글 0 | 조회 5,629 | 2022.06.29
뉴질랜드의 공식 실업률은 3.2%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고용시장이 구직자 우위이기 때문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거나 이직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조언한… 더보기

2043년, 오클랜드 최대 인종은 ‘아시안’

댓글 0 | 조회 6,636 | 2022.06.28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3년 3월 400만 명을 처음 넘어섰던 뉴질랜드 인구는 16년 뒤인 2019년 9월에 다시 506만 명에 도달한 후 올 3월 기준… 더보기

울타리로 ‘Mt. Cook’을 지킨다

댓글 0 | 조회 2,529 | 2022.06.15
6월 초 국내 언론에는 ‘아오라키/마운트 쿡(Aoraki/Mt Cook) 국립공원’을 지키기 위해 총길이가 55km에 달하는 울타리(fence) 건설이 논의 중이… 더보기

마이너스 수익의 키위세이버 속출

댓글 0 | 조회 6,152 | 2022.06.14
올해 들어 주식시장이 침체하면서 대부분의 키위세이버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 영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키위세이버 가입자들은 지난 2009년 세계금융위… 더보기

천정부지 물가, 고통받는 가계

댓글 0 | 조회 6,963 | 2022.05.25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30여 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상승으로 많은 가정들은 씀씀이를 줄이고 있지만 저소득층에겐 기본적인 생활도 벅찬 현실이다. 물가 급등세는 앞… 더보기

스치듯 바다 위 나는 ‘Seaglider’

댓글 0 | 조회 2,727 | 2022.05.24
최근 뉴질랜드 기업인 ‘오션 플라이어(Regent)’는 ‘시글라이더(seaglider)’라는 생소한 이름의 운송 수단을 도입해 2025년부터 운행에 나선다고 발표… 더보기

국경 개방 후 이민정책

댓글 0 | 조회 8,037 | 2022.05.11
코로나19 규제가 서서히 풀리면서 그 동안 수면 아래 있었던 이민이 다시 정치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닫혔던 국경이 점차 열리면서 지금까지 해외로 나… 더보기

집값 폭등이 부추긴 이혼 , 하지만 건수는…

댓글 0 | 조회 6,622 | 2022.05.10
2년이 넘게 지구촌 가족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은 팬데믹이 일상은 물론 인생 중대사인 결혼과 이혼에 대한 뉴질랜드의 풍속도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팬데믹이 시작… 더보기

집값 급등 우려가 집값 급락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543 | 2022.04.28
팬데믹 이후 지난 2년 동안 집값이 급등하면서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상대적 소외감과 두려움의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증후군이 기… 더보기

금값 오르자 몰려드는 황금 사냥꾼들

댓글 0 | 조회 4,495 | 2022.04.28
귀중한 금속인 금을 숭상했던 인간은 오래전부터 금맥을 찾아다녔고 1800년대 들어서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이른바 ‘골드 러시(Gold Rush)’가 벌어져… 더보기

뉴질랜드에도 고용보험이 필요한가

댓글 0 | 조회 3,936 | 2022.04.13
한국에는 있고 뉴질랜드에는 없는 제도 가운데 하나가 고용보험이다.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더보기

올화이츠 “꿈은 다시 이뤄진다”

댓글 0 | 조회 2,918 | 2022.04.12
2년 넘게 이어지는 코로나 19 팬데믹 중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세계의 이목이 쏠리면서 연일 푸틴 대통령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그런 중에도 올 11월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