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0 개 4,913 KoreaTimes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교민 경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유학시장의 향후 전망과 대응책에 대해 알아본다.

  유학 대상 국가 다변화

  지금 한국 유학시장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대상 국가의 다변화이다.

  과거 한국 유학생들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5개 국가에 집중됐으나 몇 년 전부터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 등으로 다양해졌고 이러한 추세는 점점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 뉴질랜드가 단지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이고 5개 주요 유학 대상국 중 학비가 저렴하다는 이유 만으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이미 지났다.

  작년 높은 환율 이외에 뚜렷한 이유없이 한국 유학생의 뉴질랜드 행렬이 활기를 찾지 못한 배경도 이러한 유학 대상 국가 다변화 때문이라고 유학업계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는 더 이상 '저렴한 학비'가 장점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한국에 있는 유학알선업체 ㈜ABC뉴질랜드의 김지훈 이사는 "뉴질랜드는 학비 자체도 많이 올랐고 환율도 높아 학비와 생활비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저렴하다고 말할 수 없다"면서 "어학연수 비용과 공립학교 학비의 경우 뉴질랜드가 호주보다도 오히려 비싸다"고 말했다.

  한국 신정부 영어정책에 뉴질랜드 관심

  한국 유학생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오클랜드 일선 학교들은 25일 출범한 이명박 신정부의영어 교육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2일자 뉴질랜드헤럴드는 'Korean plan shakes NZ education sector(한국의 계획이 뉴질랜드 교육계를 흔든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국 신정부가 영어 공교육 강화방침을 밝히면서 뉴질랜드의 각 급 교육기관과 유학알선업체들이 크게 걱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 이민자 출신인 링컨 탄(Lincoln Tan)이 작성한 이 기사 보도 내용에 따르면 뉴질랜드에 유학하는 중국 학생들의 숫자가 급감하면서 한국 유학생들이 그 동안 뉴질랜드 유학시장의 주요 수입원이 돼 왔으나 신정부 발표로 이 같은 기조가 바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오클랜드 노스쇼어에 있는 벨몬트(Belmont) 초등학교의 브루스 커닝햄(Bruce Cunningham) 교장은 한국 정부의 공교육 방침이 뉴질랜드 교육기관들에게는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노스쇼어 지역에 있는 학교들에 재학하고 있는 유학생들의 대다수는 한국 학생들로 우리는 자체적으로 조성하는 학교 운영기금을 주로 그들에게 의존해오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영어 공교육 방침으로 유학생 감소 우려

  벨몬트 초등학교의 경우 학비를 내는 유학생들의 숫자는 2003년 29명이었으나 올해는 단 2명의 한국 학생들뿐이다.

  커닝햄 교장은 "우리 학교가 유학생들로부터 벌어들인 수입은 지난 2006년 11만4,000달러였으나 지난해는 6만6,000달러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로부터 받는 예산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좋든 싫든 우리는 유학생들이 내는 학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노스쇼어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인 타카푸나 그래머(Takapuna Grammar)는 유학생들이 전체 등록 학생의 9%에 해당하는 130명이 재학하고 있고, 랑이토토 칼리지(Rangitoto College)는 187명의 유학생들이 적을 두고 있다.

  한국의 한 유학알선업체 대표는 한국 유학생들의 숫자가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뉴질랜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한국인들은 뉴질랜드 보다는 미국, 캐나다, 호주를 더 선호하고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한국 교육 환경의 변화로 더 많은 학생들이 한국을 떠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미 당국에서는 외국에 유학가려는 학생들에게는 시험을 보게 하고 인터뷰를 하는 등 까다롭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질랜드내 각 급 학교에 유학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들의 숫자는 1만5,000여명으로 집계되고 있고 한국 유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나라는 미국으로 지난해 칼리지와 대학에 6만2,400명이 등록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기사는 보도했다.

  신정부 정책 유학시장에 긍정적 기대감 높아

  그러나 이러한 기사의 기조와는 달리 한국의 유학알선업체들은 대체로 신정부의 영어 공교육 정책으로 유학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ABC뉴질랜드 김 이사는 "영어 교육과 영어 회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결국 유학생이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실제로 작년에 다소 감소한 뉴질랜드 유학생이 올해 들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현행 규정상 불법인 초ㆍ중학생의 조기유학도 사실상 사문화된 것이나 다름없는 규정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이를 개정해 초ㆍ중학생의 자비 조기유학을 중장기적으로 자율화한다는 방침으로 있어 유학시장에 유리한 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도 높다.

  특히 신정부는 4조원의 예산을 들여 2만3,000여명의 영어 교사를 채용할 계획으로 있으나 현실적으로 당장 영어로 수업할 수 있는 교사를 그렇게 많이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어 회화의 중요성은 부각될 것이고 TESOL 등 국내외 영어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실제 서울에서는 TESOL을 준비하는 학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질랜드 유학산업 경쟁력 확보가 관건

  따라서 영어교육 강화 방침은 유학시장에 부정적인 영향 보다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문제는 뉴질랜드의 유학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한국인 유학생 뿐 아니라 외국 유학생을 얼마나 흡수하는가 하는 것이다.

  뉴질랜드는 이런 점에서 외국 학생들을 돌보는 체계가 미흡하고 고등학교 이상 단계에서는 경쟁 국가들보다 수준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뉴질랜드가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TESOL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을 기울인다면 뉴질랜드 유학시장의 전망이 어둡지만은 않다는 지적이다.

  ■  연도별 한국인 유학생수

연      도        2003년도         2004년도         2005년도         2006년도         2007년도
유학생수        159,903명        187,683명        192,254명        190,364명        217,959명

  ■  주요 국가별 유학생 현황

구      분        2006년도        비율(%)        2007년도        비율(%)
미      국        57,940명          30.4            59,022명          27.1
중      국        29,102명          15.3            42,269명          19.4
영      국        18,845명           9.9            18,300명           8.4
호      주        16,856명           8.9            16,591명           7.6
일      본        15,158명           8.0            19,056명           8.7
캐  나 다        12,570명           6.6            12,795명           5.9
필  리 핀         9,500명           5.0            14,400명            6.6
뉴질랜드         8,882명           4.7             8,707명            4.0
기      타       21,511명          11.2            26,819명          12.3
합      계      190,364명        100.0           217,959명        100.0

심화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댓글 0 | 조회 4,530 | 2008.11.10
1980년대 뉴질랜드 경제가 개방되고 사회보장제도가 축소되면서 시작된 소득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부유층 상위 10%가 뉴질랜드 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을 … 더보기

롤러코스터 환율 고점 찍었나

댓글 0 | 조회 4,079 | 2008.10.28
이달 들어 환율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형성하면서 제2의 IMF 사태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이번… 더보기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6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5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30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7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22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917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9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4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33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807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9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6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6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6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현재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14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64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9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9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6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6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84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98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5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