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0 개 5,452 KoreaTimes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돼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뉴질랜드는 이제 집 장만이 쉽지 않은 곳으로 확인됐다. 임금은 오르고 집값은 떨어진다고 하지만 선진국 최고의 금리는 주택 구매력을 사상 최악으로 몰아 넣고 있다.

이자율 상승으로 주택구매력 사상 최악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의 최근 월간 주택 구매력 보고서에 따르면 생애 첫 주택 구입에 나서는 사람들의 구매력이 사상 가장 낮았다.

특히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넬슨, 오타고 등의 지역에서는 고정 모기지 이율 상승으로 주택 구매력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소득을 가지는 사람이 중간가격의 집을 구입하는데 지불하는 모기지에 대한 비율은 작년 12월 81.9%로 11월 83.5%보다 약간 줄었으나 오클랜드(101.4%)와 와이카토(83%)는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2년 고정 모기지 이율은 작년 12월 9.35%에서 지난 2월 9.56%로 오름세를 이어 갔다.

따라서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지 않는 한 내 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중간가격의 주택에 대한 모기지를 지불하기 위해 가구당 중간소득의 2.1배가 요구된다. 즉 가구당 세후 주당 소득이 1,373달러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1년 전에 1.8배였고 5년 전에는 1.1배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고금리의 영향을 감안하지 않는다고 해도 내 집 장만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세 후 중간소득을 10년 동안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5년 전에 이는 6년 6개월이었다.

집값은 지난 10개월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구매력과는 거리가 먼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여기에다 금리는 오르고 올해도 상승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 집 마련의 위기는 지난 5년 동안에 걸쳐 특히 심해졌지만 대책이 마련돼 정상화되기 까지는 적어도 10년 이상의 세월이 걸리고, 만약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이 상황은 뿌리깊은 사회 문제로 남게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저가주택 공급 홉손빌 프로젝트

노동당 정부는 주택 구매력 위기를 풀기 위한 한가지 대책으로 500채의 저렴한 주택을 공급한다는 홉손빌(Hobsonville)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올 10월 착공 예정인 홉손빌 프로젝트는 이 지역에 건설되는 3,000채의 주택 중 500채는 평균가격 35만 달러로 무주택 가구에 저렴하게 공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당은 이마저도 90% 대출, 2년 고정 이자율 9.35%, 30년 상환을 가정할 때 매년 3만1,356달러의 모기지를 갚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부부 합산소득이 7만 달러가 돼야 하는데 이는 현재의 가구당 평균소득 6만8,000달러보다 많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중 내 집 마련 가장 어려워

한편 미국 부동산 조사업체 웬델 콕스(Wendell Cox) 컨설팅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 영어권 6개국 227개 도시를 대상으로 2007년 9월 현재 주택구매력을 조사한 보고서(Demographia)에 따르면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가계소득으로 내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이 뉴질랜드가 18년 6개월로 가장 길었다.

이어 호주(17년 9개월), 영국(14년 1개월), 아일랜드(9년 6개월), 미국(8년 3개월), 캐나다(7년 9개월) 순이었다.

뉴질랜드 전체적으로는 호주와 마찬가지로 연간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평균 6.3배에 달해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캐나다가 가장 낮은 3.1배이고 미국 3.6배, 아일랜드 4.7배, 영국 5.5배로 조사됐다.

연간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배율로 나타내는 주택구매력은 배율이 3 이하이면 양호, 3.1∼ 4.0은 다소 낮음, 4.1∼5.0은 매우 낮음, 5.1 이상은 극도로 낮음으로 분류되고 있다.

하반기 시행 예정 '분할소유제도' 주목

뉴질랜드에서 내집 마련이 가장 힘든 도시는 7.5배를 기록한 타우랑가로 227개 대상 도시 중에서는 20위에 올랐다.

오클랜드는 연간소득 6만5,000달러, 주택가격 44만5,000달러로 평균 6.8배에 달래 31위를 차지했다.

크라이스트처치는 6.6배(소득 4만9,400달러, 주택가격 32만8,000달러)로 34위에 올랐고 해밀톤과 웰링턴은 각각 6.3배(소득 5만6,400달러, 주택가격 35만6,800달러)와 6.1배(소득 6만1,200달러, 주택가격 37만3,700달러)로 34위와 36위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뉴질랜드는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높은 국가이자 이자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 조사됐다"면서 "이처럼 뉴질랜드의 주택구매력이 열악해진 이유 가운데 하나는 주택 개발업자들의 활동을 제약하고 있는 각종 법령이다"고 지적했다.

뉴질랜드부동산협회 머레이 클레랜드(Murray Cleland) 회장은 사람들이 집을 지을 섹션을 절실하게 필요로 할 때 각 지역 카운슬이 불필요하게 택지 공급을 제한했다고 비난했다.

정부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매년 1만8,000채의 주택이 부족하고 렌트로 살고 있는 가구의 70%는 그들이 살고 있는 도시의 가장 싼 하위 25% 가격대의 집 구입에 들어가는 모기지 상환 능력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력으로는 내 집 마련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가운데 헬렌 클락(Helen Clark) 총리가 서민들의 집 장만을 돕기 위해 하반기 시행 예정으로 발표한 '분할소유제도(Shared Equity Scheme)'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3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3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23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1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18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903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7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1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30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794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6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1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0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3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09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58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4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4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현재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3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2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79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89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1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

렌트 VS 내집마련

댓글 0 | 조회 6,102 | 2008.08.05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정부의 주택마련 보조정책이 시행되고 내년부터 주택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 더보기

주택시장의 막강세력 베이비붐 세대

댓글 0 | 조회 4,087 | 2008.08.05
지난달 주택시장 지표는 여전한 침체를 나타내며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택시장의 불황은 주된 매수 주체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심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