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0 개 8,599 KoreaTimes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역이민자들은 왜 귀국을 선택했는지, 또 무슨 고민을 가지고 있는지 거의 6년간 오클랜드에서 살다가 2006년 9월 귀국해 현재 경기도 용인시에서 학원을 운영하고 있는 김성기(42세)씨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뉴질랜드 이민

김성기씨의 친형이 뉴질랜드에 이민와서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뉴질랜드에 대해 알게 되었고 친형의 도움으로 뉴질랜드 이민을 선택했다고 한다.

아내와 이혼했던 김씨는 아들 진우(11)와 단 둘이 2001년 1월 오클랜드에 도착했다.

아들의 교육 환경도 뉴질랜드가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뉴질랜드 생활

처음에는 학생비자로 뉴질랜드에 체류했던 김씨는 얼마 지나지 않아 형이 운영하던 쵸코렛 가게를 인수해 귀국할 때까지 5년여를 운영하였다.

그는 쵸코렛 가게를 운영하는 동안 장기사업비자를 신청했으나 뉴질랜드에서 평생 살지 않을 거란 생각에 영주권 신청을 포기했다고 한다.

2006년 9월 귀국하기 전까지 한번도 한국에 다녀가지 않고 사업에 매진하였다.

아들은 뉴질랜드 초등학교 생활에 무난하게 적응했고 한국학교에도 다니면서 한국어 교육을 받았다.

뉴질랜드에서 좋았던 점

우선 자연 환경이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한국에 돌아와서 아들이 초등학교 등교 첫날“한국의 초등학교 운동장은 왜 잔디가 없고 온통 흙바닥이예요?”라고 물어 봤던 것을 김씨는 기억한다고 했다.

그는 또 뉴질랜드 사회가 비교적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뉴질랜드에서 좋지 않은 기억

보이지 않는 인종차별이 엄연하게 존재한다고 김씨는 털어 놓았다.

음식점 같은 곳에서 키위 종업원들이 손님을 맞을 때, 주유소에서 줄을 설 때, 심지어 비즈니스에서 납품업체들이 키위를 상대할 때와 그를 대할 때의 태도가 다르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고 한다.

옆집에 사는 키위가 큰소리로 파티를 할 때 그는 이해해 주었지만 반대로 그가 작은 모임이라도 가질라치면 옆집 키위는 종종 항의를 해 왔단다.

역이민 동기

사람들은 현지생활 부적응, 취업, 취학, 노령 등으로 역이민을 고민하지만 김씨의 직접적인 역이민 동기는 신병 치료였다.

심장 수술을 받아야 했는데 뉴질랜드에서는 장기의 대기 기간도 문제지만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이 엄청났기 때문에 한국내 치료를 생각하게 됐고 역이민으로 이어졌다는 것.
2006년 9월에 귀국해 2007년 2월에 수술을 받은 김씨는 현재 건강한 상태라고 한다.

귀국후 생활

김씨는 한국내 주민등록이 말소되지 않고 뉴질랜드 영주권 등이 없었기 때문에 복잡한 수속없이 주민등록과 운전면허, 의료보험, 국민연금 등을 갱신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뉴질랜드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로서 한국내 주민등록이 말소된 사람들이 한국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관장하는 '재외국민국내거소신고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이는 주민등록증을 갈음하는 재외국민의 신분증으로 앞의 여섯 자리 숫자는 주민등록증 번호와 같으나 뒤의 일곱 자리 숫자가 다르다.

김씨는 귀국후 사업만 구상했었기 때문에 취업은 알아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5~6년 만에 만난 친구들은 예전보다 여유가 없고 각박해 진 것 같았죠. 모두들 자기 살아갈 일에 여유가 없어 보였어요.”

김씨는 지인의 소개로 우연하게 지금의 맨투맨학원을 2007년 9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역이민후 어려웠던 부분 가운데 하나는 아들 진우의 학업문제.

뉴질랜드에서 무난하게 학교에 적응했던 아들은 귀국 후 학교 교감의 권유에 따라 나이에 비해 한 학년 낮추어 진학했다.

처음에는 아이가 문화적 차이 때문에 갈등도 심했다고 한다.

“여기 아이들은 부딪혀도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아요. 화장실에 다녀 와도 손을 씻지도 않아요”라며 아이는 뉴질랜드와 다른 상황에 끊임없는 의문을 표시했다.

국어 실력이 뒤쳐지니 사회, 국사, 과학 등의 과목을 어려워했고 심지어 수학과 영어도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다 보니 힘들어 했다.

김씨는 처음엔 학원을 보내지 않으려고 했는데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학원을 보내지 않고서는 어렵겠다고 판단했다.

귀국 후 1년 반 정도 지난 진우는 현재 또래 아이 국어 수준의 80% 정도까지 따라갔다고 김씨는 말했다.

향후 계획

진우는 지금도 가끔 공부하기가 힘들거나 학교 숙제가 많을 때 뉴질랜드로 돌아가고 싶다고 한다.

그러나 김씨는 뉴질랜드에 미련도 없고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한국과 뉴질랜드 중 어느 나라가 더 좋으냐는 질문을 가끔 받습니다. 그러면 나는 ‘지금 내가 살기 좋은 곳이 좋은 나라입니다’라고 대답하죠.”

█  재외동포 한국내 거소신고 현황 (2008년 2월 현재, 단위:명)

국가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뉴질랜드     독일     기타        합계
재외국민        28,046  11,721     7,718    1,894       3,824         521     4,205      57,929
외국적동포     25,178   5,821       366     2,093        776           542     1,351      36,127
합계              53,224  17,542     8,084    3,987       4,600       1,063     5,556      94,056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3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2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23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0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16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899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6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0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25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788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5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1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0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1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05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56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1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2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0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현재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0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78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83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1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

렌트 VS 내집마련

댓글 0 | 조회 6,101 | 2008.08.05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정부의 주택마련 보조정책이 시행되고 내년부터 주택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 더보기

주택시장의 막강세력 베이비붐 세대

댓글 0 | 조회 4,084 | 2008.08.05
지난달 주택시장 지표는 여전한 침체를 나타내며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택시장의 불황은 주된 매수 주체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심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