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감면 발표, 그후

세금 감면 발표, 그후

0 개 3,997 KoreaTimes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과 노동당의 지지도에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 유권자들은 여전히 세부담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뉴질랜드인 1인당 세부담 1만2천달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시장환율로 환산한 2005년 기준 뉴질랜드의 1인당 세부담은 1만191미국달러로 회원국 평균 1만2,316달러보다 적었으나 한국의 4,196달러에 비해서는 2.9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특히 뉴질랜드는 노동당이 집권한 이듬해인 2000년 이후 5년간 1인당 세부담이 2.18배 늘어나 체코(2.34배), 헝가리(2.29배), 슬로바키아(2.24배)에 이어 세 부담 증가속도가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세부담은 OECD 기준에 따른 것으로 소득세, 법인세, 소비세, 재산세 등은 물론 국민연금과 의료보험료 등 사회보장기여금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뉴질랜드는 1인당 세부담에 비해 전체 세수규모는 2005년 기준 418억달러로 30개 회원국중 24번째에 그쳤다.

10월부터 개인소득세 감면

뉴질랜드의 높은 세부담은 항상 뉴질랜드 국민의 불만이었고 지난 2005년 총선 이후 정국의 최대 이슈로 부각했지만 노동당은 1999년 집권 이후 단 한차례도 감세를 실시하지 않다가 지난해 법인세율을30%로 인하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지난달22일 마이클 쿨렌(Michael Cullen) 재무장관은 미루고 미루던 개인소득세 감면이 포함된 2008/09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했다.

올해로 아홉 번째를 맞는 쿨렌 장관의 예산안은 현재의 노동당 지지율로 볼 때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를 상황이다.

총선을 앞두고 개인 및 가정의 세금 감면에 초점을 맞춘 이번 예산안은 오는 10월 1일부터 모든 근로자의 소득세를 주당 적게는 11.92달러에서 많게는28.08달러까지 감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표 참조)

이는 노동당이 재집권할 경우 2011년에 21.73달러에서 55.19달러로 점차 확대된다.

세금 감면은 최저 개인소득세율 인하와 과세소득 지표 인상을 통해 이뤄진다.

10월 1일부터 연봉 1만4,000달러까지는 12.5%의 최저 소득세율이 새로 적용된다.

현행은 9,500달러 이하의 소득에는 15%의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39%의 최고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소득 기준은 현행 연봉 6만달러에서 7만달러 초과로 상향 조정되고 2011년에는 8만달러로 추가 상향된다.

33%의 소득세율이 적용되는 과세소득 기준은 현행 3만8,001~6만달러에서 4만1~7만달러로 높아지며, 21%의 세율의 경우 현행 9,501~3만8,000달러에서 1만4,001~4만달러로 변경된다.

세금감면 발표후 시중금리 상승

특히 10월 1일부터‘워킹포패밀리(Working for Families)’지급 확대로 가구당 주간 최대 50달러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자녀를 둔 가정의 혜택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예산안에 따르면 오는 10월부터 3년 동안 총 106억달러의 개인소득세를 감면하고 11억달러를 ‘워킹포패밀리’ 정책으로 근로자 가구에 추가 지원한다.

쿨렌 장관은 “이번 예산안은 공정하고 고유가 및 식품비 상승 등으로 압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것이지만 금리 인상을 유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당 존 키(John Key) 당수는 “세금 삭감 규모가 너무 작고 너무 늦었다”고 비평했다.

그러나 지난달 23일 국회를 통과한 이 예산안은 내년 국내총생산(GDP)의 2.3%에 해당하는 세금 감면과 새로운 정부지출을 담고 있어 ‘극히 자극적’이라는 시장의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 쿨렌 장관이 세금 감면을 발표한 이후 시중 이자율은 급속히 상승했다.

ANZ과 내셔널 뱅크는 지난달 28일 1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을 9.4%에서 9.8%로, 6개월 고정 모기지 이자율은 9.95%로 올렸으며, 키위뱅크는2년 고정 모기지를 9.19%로 인상했다. 내셔널 뱅크의 6개월 정기예금 이자율도 8.5%로 올랐다.

경제전문가들은 예상보다 큰 규모로 이루어진 세금 감면 발표로 물가상승의 우려가 심화되면서 그동안 예상해온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미뤄지거나 시행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4% 이상 오를 것을 우려하고 있는 중앙은행은 12월까지 기준금리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동당 지지율 만회 실패

노동당 지지율 만회의 마지막 기회로 여겨졌던 세금감면 예산은 유권자의 호응을 얻는데도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다.

헤럴드 디지폴 결과 국민당과 노동당, 양대 정당의 격차는 예산 발표전 15.2%에서 발표후 15.9% 포인트로 오히려 벌어졌다.

국민당은 여전히 독자 정부를 구성할 수 있는 지지율을 보였고 키 당수는 총리 선호도에서 헬렌 클락(Helen Clark) 총리를 앞섰다.

이번 조사에서 고유가 등 경제 문제가 감세를 제치고 유권자들이 뽑은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심화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댓글 0 | 조회 4,530 | 2008.11.10
1980년대 뉴질랜드 경제가 개방되고 사회보장제도가 축소되면서 시작된 소득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부유층 상위 10%가 뉴질랜드 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을 … 더보기

롤러코스터 환율 고점 찍었나

댓글 0 | 조회 4,079 | 2008.10.28
이달 들어 환율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형성하면서 제2의 IMF 사태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이번… 더보기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6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5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29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7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22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916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9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4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33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807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9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4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6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6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13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64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9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9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6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6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83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현재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98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4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