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뉴질랜드-저렴한 생활비'는 옛말

[364]'뉴질랜드-저렴한 생활비'는 옛말

0 개 5,206 KoreaTimes
뉴질랜드하면 저렴한 생활비가 이민 동기 가운데 하나가 되곤 했다. 많은 돈을 벌기는 힘들지만 생활비도 적게 들어 가기 때문에 적게 벌고 적게 쓸 수 있다는 선입견이 깊었다. 그러나 이제 그런 인식이 딱 들어맞지 않다는 사실은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인정할 것이다.

뉴질랜드 물가지수 한국보다 높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구매력을 기준으로 미국의 물가를 100이라고 할 때 뉴질랜드의 물가가 처음으로 한국과 미국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의 물가는 113으로 한국의 물가 95보다 높았다. 미국에서 100달러에 팔리는 물건이 한국에서는 95달러, 뉴질랜드에서는 113달러라는 뜻이다. 이 조사에서 이웃 호주는 118이었고 캐나다가 114, 영국 132, 일본 129 등으로 물가가 비쌌다.

OECD의 비교물가수준(CPL) 측정 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한국 호주 캐나다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멕시코 등과 함께 중위그룹으로 분류됐다. OECD가 제시한 물가수준별 그룹은 4개인데 CPL이 110 이상인 상위그룹에는 미국 일본 스위스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가 속했다.

물론 이 같은 조사 결과는 높은 뉴질랜드달러 가치로 인해 물가수준의 국가간 비교에 이용되는 공통화폐인 미달러 기준으로 뉴질랜드 물가가 크게 올랐다고 느낄 수 있는 착시현상에 따른 요인도 있겠으나 생필품 가격 상승과 금리인상이 뉴질랜드 가구의 생활비를 압박하고 있다는 사실은 묵과할 수 없다.


잇달은 금리인상으로 가계금융비용 급증

중앙은행은 올해만 금리를 네 차례 올려 사상 최고 수준인 8.25%로 조정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0% 안팎에 달할 정도로 높아져 가계의 체감 생활비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7월의 금리 인상으로 평균 수준의 대출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주당 평균 100달러 정도를 추가 지급해야 하게 됐다.

2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분기 대비 1% 상승, 중앙은행 예상치 0.7%를 웃돌았다. 물가 상승의 주범은 휘발유로 전분기 대비 8% 급등했으며 그 여파로 교통비가 2.4% 상승했다. 집값과 전기요금을 포함한 주택 및 공과금 항목은 1.3% 올랐다.

올들어 6월까지 닭고기 가격이 25.6% 상승했고 바나나 가격은 38% 급등했다. 이로써 6월말 기준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 상승했다. 지난 8년동안 물가상승률은 22%가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적 곤란 중산층으로 확대

크리스쳔어시스트버드제팅(Christian Assist Budgeting)의 켄 오젠(Ken Ogden)은“시중의 돈이 모기지 대출이자와 다른 부채 비용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며“경제적 어려움으로 찾아오는 고객이 작년에 비해 210% 늘었다”고 밝혔다.

오젠은“‘워킹포패밀리(Working for Families)’정책이 처음 시행됐을 때 문의전화가 뚝 끊겼으나 지금은 작년보다 더욱 바쁘다”며“현재 곤란을 당하는 계층은 저소득층만이 아니라 주택소유자들도 높은 모기지 이자를 갚기 위해 음식비와 전기요금 등을 지급하는데도 압박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웨스트팩의 경제학자 도우그 스틸(Doug Steel)은 생필품 가격 상승으로 사람들은 먼저 사치품 구매를 줄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틸은“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먹어야 하고 살 집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허리띠를 졸라 맬 것이고 사치품들이 먼저 구매 품목에서 제외될 것이다. 플라스마 TV 구입은 보류되고 신형 자동차 구입도 미뤄질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고정된 임금을 받는 저소득 가구가 가장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지적했으나 모두 나쁜 소식이 있는 것만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의류와 가구 비용은 떨어지고 있고 노동시장도 활성화돼 임금이 오르고 있다는 것이 그나마 희망섞인 소식이라는 것이다.

키위달러가치 하락으로 수입품 가격도 상승 우려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는 뉴질랜드는 물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이민 인구까지 제한, 지난해 보다 약 2,000명 가량 줄어든 4만5,000~5만명에 대해서만 올해 이민을 허가하기로 방침을 확정했다.

데이비드 컨리프(David Cunliffe) 이민장관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지 않기 위해 기술력이 높은 이민자 중심으로 이민을 허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동안 수입품 가격의 안전판 노릇을 했던 뉴질랜드 달러 가치도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유가를 비롯한 각종 공산품 가격이 오를 것으로 우려된다.

이렇게 되면 집값을 비롯해 물가가 크게 올라 힘들었던 시민들은 앞으로 기름과 전자제품 등 각종 수입품 가격마저 걱정해야 할 상황이 벌어지게 될 것이다.



심화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댓글 0 | 조회 4,530 | 2008.11.10
1980년대 뉴질랜드 경제가 개방되고 사회보장제도가 축소되면서 시작된 소득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부유층 상위 10%가 뉴질랜드 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을 … 더보기

롤러코스터 환율 고점 찍었나

댓글 0 | 조회 4,079 | 2008.10.28
이달 들어 환율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형성하면서 제2의 IMF 사태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이번… 더보기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6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5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28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6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22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916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9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4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33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807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8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4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6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6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12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64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9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8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6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6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83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97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4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