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0 개 4,916 KoreaTimes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감을 고하고 있다. 어렵게 세 번째 연임에 성공한 클락 총리가 내년 총선에서 4기 연속 집권의 역사적인 과업을 이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론조사 정당, 총리 지지도 모두 노동당 열세

  오는 13일은 3년마다 실시되는 뉴질랜드 지방선거일이다. 뉴질랜드의 지방선거는 정치색이 많이 배제돼 있으나 내년 실시되는 뉴질랜드 총선의 판도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지난달 발표된 페어팩스 미디어-닐센(Fairfax Media-Nielsen) 여론조사 결과는 제1야당 국민당의 지지율이 50%로 34%에 그친 노동당을 크게 앞서며 다른 정당의 도움없이 단독 집권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노동당에 위기 의식을 불러 왔다. 특히 총리 선호도에서 국민당의 존 키(John Key) 당수가 41%로 부동의 1위였던 헬렌 클락(Helen Clark) 총리의 34%보다 앞서 클락 총리의 입지를 위축시키고 있다.
  8년의 총리 재임 동안 클락 총리가 총리선호도 선두 자리를 내준 것은 키 당수가 처음이다.
  차기 집권 예상 정당에 대한 질문에 국민당 62%, 노동당 26%, '잘 모른다' 12%로 나타났고 노동당 지지자들의 40%도 국민당이라고 답해 노동당의 패배의식이 팽배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오랜 집권에 따른 누적된 피로감과 새로운 아이디어와 신선한 피가 요구되고 있는 노동당의 상황에서 클락 총리는 어느 때보다도 힘든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다.  

  클락 총리 재임기간 최대의 도전 직면

  클락 총리는 종종 그 자신을 제3의 인물로 언급했다. 상황이 좋지 않을 때면 "누군가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하곤 했다.
  상황이 좋아지면 스스로 '유능하고 인기있는 총리'라고 평가했다.
  총리로 재임하면서 스스로를 그같이 평가하는 경우는 흔한 일은 아니지만 클락 총리의 언급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지성과 솔직함, 지독한 자기 단련으로 뉴질랜드 정치 무대를 장악해온 클락 총리는 12월 10일이면 총리로 8년째를 맞게 된다.
  내년 10월 제3기 임기를 무사히 채우게 되면 클락 총리는 리차드 세돈(Richard Seddon), 윌리엄 매시(William Massey), 케이스 홀요아키(Keith Holyoake), 피터 프레이저(Peter Fraser)에 이어 뉴질랜드 역사상 다섯 번째로 긴 재임기간을 기록한 총리로 남게 된다.
  2004년 돈 브래쉬(Don Brash) 전 국민당 당수가 오레와(Orewa) 연설로 한때 노동당의 지지도를 앞서며 바람을 일으켰으나 클락 총리는 승부사 기질을 발휘하며 2005년 총선에서 박빙의 승부를 연출한 바 있다.

  지난 81년 정치 입문, 93년 당권 거머줘

  클락 총리의 인생 역정을 살펴 보자. 클락 총리는 해밀턴에서 농업을 하는 집안의 4녀 중 장녀로 태어나 오클랜드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뒤 모교에서 교수생활을 하다 지난 81년 마운트 알버트 선거구에서 노동당의 깃발을 들고 당선됨으로써 정계에 진출했다. 같은 해에 오클랜드 대학교수인 피터 데이비스(Peter Davis)와 결혼, 정치생활과 결혼생활을 동시에 시작함으로써 81년은 그녀의 인생 역정에서 가장 중요한 한 해로 기록될 만하다.
  그녀는 정계에 입문한 뒤 정치학자로서 닦은 이론과 현실감각을 살리며 노동당의 국제부문과 여성부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침으로써 일찌감치 당 내외에서 지도자감으로 주목받기 시작한다.
  노동당 내각에서 노동부장관, 주택부장관, 보건부장관, 부총리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지도력과 행정경험도 착실하게 쌓아 나간 클락 총리는 이 같은 정치적 입지를 바탕으로 93년 12월에는 드디어 노동당 당권을 거머쥐는 비범한 승부사의 기질도 보여 준다. 짐 볼저(Jim Bolger) 총리의 국민당 정부 집권 시절로 그녀 나이 불과 43세때 였다.
  그로부터 6년 뒤 클락 총리는 짐 볼저 총리로부터 총리직을 승계한 국민당의 제니 쉬플리(Jenny Shipley) 총리를 총선에서 쉽게 물리치고 뉴질랜드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해 정권을 잡은 여성 총리가 되는 영광을 맛봤다.

  정치적 성향은 중도 좌파

  정치적 성향이 중도 좌파로 분류되고 있는 클락 총리의 정책은 시장경제 시스템에 의해 모든 문제가 해결되도록 놔두면 사회정의가 구현되기 어렵다는 신념이 바탕에 깔려 있어 뉴질랜드가 사회주의로 가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클락 총리는 자기 신념에 투철하고 소신과 힘이 넘치는 평이한 연설이라는 정치적 자산을 가지고 있으나 반대파에 대한 포용력이 부족하고 모든 일에 일일이 개입하는 식의 미시 정치를 하고 있다는 달갑지 않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노동당 국회의원 주디스 티자드(Judith Tizard)는 핵 재앙이 있은 후 지구상에 남을 유일한 생물을 가정한다면 '바퀴벌레'와 '헬렌 클락'이라고 말한 정도로 클락 총리의 생존 기술은 정평이 나있다.
  클락 총리는 또한 다른 어떤 뉴질랜드 총리보다도 총리가 되기 위해 사생활을 포기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오랜 결혼생활에도 불구하고 슬하에 자녀가 없는 사실도 이 때문이라는 얘기가 많다.  

  총리 되기 위해 사생활 희생

  작년 발간된 '국회의원들 안내서(Guide to MPs)'라는 제목의 책에서는 클락 총리가 지배욕이 강하고 대인기술이 부족하며 '아주 총명하다기 보다는 그저 총명할 정도'라고 평가했고 키 당수에 대해선 '타이밍의 중요성을 아는 인물'이라고 호평했다. 이 저서는 정치인들을 오랫동안 옆에서 보아온 정치 컨설턴트와 로비스트들이 저술한 것으로 대중이 잘 아는 정치인들의 다른 면을 묘사해 화제가 됐었다.
  키 당수는 파고들 뚜렷한 약점이 없고 클락 총리와 같이 급진적 개혁보다는 중도 정치를 표방하고 있다.
키 당수는 클락 총리보다 젊고 기세는 그에게 기울고 있는 듯한 상황이다.
  언제나 노동당의 최강자였던 클락 총리가 과연 내년에도 홀로 노동당을 구할 수 있을지 관심가는 대목이지만 현재의 여론조사대로라면 그녀는 내년 말에 새로운 직업을 구해야 한다.
  클락 총리가 내년 총선에서 패배한다면 국회의원 뒷자리로 남아 있지는 않을 것이고 대학교수로 돌아가거나 유엔(UN)의 적당한 자리를 찾아갈 것이라는 대체적인 관측이다.

  클락 집권 경제지표는 안정적

  클락 총리는 여론을 따라 가기 위해 계속적으로 정부 조직을 개선했고 언론의 생리를 이해했으며 국내외 행사에 부지런히 얼굴을 내밀었다.
  한편 지난달 28일 발표된 헤럴드-디지폴(Herald - DigiPoll) 결과에 의하면 클락 총리의 선호도가 46.8%로 42.2%의 키 당수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당의 지지율도 8월 조사 때보다 2.8% 포인트 상승한 39.6%를 기록했으나 국민당의 지지율 44.8% 보다는 여전히 뒤졌다.
  만약 클락 총리의 시대가 내년에 끝난다면 그녀는 세금을 많이 걷고 지출 또한 많이 했던 총리로 기억될 것이다.
  클락 정부는 보건, 교육, 노후연금, 유아교육, 근로가정 등에 예산을 퍼부었다.
  클락 총리가 권력을 잡은 1999년 이후 경제 지표는 다음과 같은데 비교적 합격점에 가깝다는 평가이다.

■ 국내총생산(GDP) 1999년:0.5%, 2002년:3.5%, 2005년:4.2%, 2007년:2.2%  
■ 물가상승률  1999년:1.3%, 2002년:2.7%, 2004년:2.7%, 2007년:2.0%  
■ 실업률  1999년:6.8%, 2002년:5.2%, 2004년:3.9%, 2007년:3.6%  
■ 중앙은행 공식이자율  1999년:5.0%, 2002년:5.75%, 2004년:6.5%, 2007년:8.25%  
■ 정부수당 받는 근로연령 인구  2000년:365,272명, 2002년:343,264명, 2005명:291,958명  
■ 풀타임 세전 평균임금  2000년:36,186달러, 2002년:38,572달러, 2005년:42,920달러

심화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댓글 0 | 조회 4,530 | 2008.11.10
1980년대 뉴질랜드 경제가 개방되고 사회보장제도가 축소되면서 시작된 소득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부유층 상위 10%가 뉴질랜드 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을 … 더보기

롤러코스터 환율 고점 찍었나

댓글 0 | 조회 4,079 | 2008.10.28
이달 들어 환율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형성하면서 제2의 IMF 사태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이번… 더보기

달라진 소득세 얼마나 혜택받나

댓글 0 | 조회 3,836 | 2008.10.14
지난 1일부터 드디어 개인소득세 감면이 시행됐다.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이번 감세 시행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주당… 더보기

저금리시대로 가는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4,355 | 2008.09.22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연 8.0%에서 연 7.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5년 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뒤 이번에 다시 금리를… 더보기

정치 생명 위협받는 윈스턴 피터스

댓글 0 | 조회 4,129 | 2008.09.09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일삼으며 반이민정책의 선봉에 섰던 윈스턴 피터스 외무장관이 불법적정치헌금 문제로 장관직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 2005년 … 더보기

2008년 총선 변수

댓글 0 | 조회 3,177 | 2008.08.27
노동당의 승부수는 여기(?)지난달 실시된 헤럴드 디지폴 결과에 따르면 노동당과 국민당의 지지율은 각각 30.8%대 55.4%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 더보기

주택 '바겐세일'의 계절

댓글 0 | 조회 6,222 | 2008.08.13
헐값 매수 노리는 투자자들지난달 24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경기둔화에 따른 우려로 기준금리를 5년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8%로 내렸다. 올 하반기 안으로 추… 더보기

현재 헬렌 클락의 시대는 끝나는가

댓글 0 | 조회 4,917 | 2008.08.01
지난 8년동안 헬렌 클락(57세) 총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동의 뉴질랜드 선호총리 1위였다. 그러나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락 총리의 시대는 이제 마… 더보기

주택시장, 본격 조정 시작되나

댓글 0 | 조회 4,999 | 2008.08.01
주택 매매가 크게 한산해졌다. 집값은 아직 떨어지진 않고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시작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그 동안 집값 상승에 따… 더보기

일 중독(?) 뉴질랜드인

댓글 0 | 조회 4,294 | 2008.08.01
전자시대로 접어들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인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뉴질… 더보기

더욱 어려워진 '유학 후 이민'

댓글 0 | 조회 5,233 | 2008.08.01
뉴질랜드 이민부가 지난 9일 기술이민 정책을 변경했다. 26일부터 시행된 이번 변경으로 특히 많은 한국인 이민 희망자들이 선택하고 있는 '유학 후 이민'에 대한 … 더보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6,807 | 2008.08.01
뉴질랜드에서 집을 팔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동산 중개업체 수수료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엄청난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품을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649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354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046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466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4,913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064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529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069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456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606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583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3,998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224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