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2011년은 럭비월드컵의 해

뉴질랜드의 2011년은 럭비월드컵의 해

0 개 5,907 NZ코리아포스트
올해 뉴질랜드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행사가 있다. 그 하나는 아직 정확한 일정은 결정되지않았지만 11월말 이후에 실시될 가능성이 높은 총선이고 다른 하나는 9월 9일부터 10월 23일까지 열리는 '2011 럭비 월드컵'이다.

특히 몇 년을 준비해 온 럭비 월드컵에 대한 뉴질랜드인들의 관심과 기대는 벌써부터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인의 70.4%가 이번 럭비 월드컵에서 뉴질랜드 럭비 국가대표팀 ‘올 블랙스’가 우승할 것이라고 답해 우승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도 높은 상황이다.

럭비는 한국 교민들에겐 아직 즐기기 어려운 종목이지만 뉴질랜드의 국기(國技)라 할 만큼 뉴질랜드인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스포츠이며 뉴질랜드인의 정서에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고 유명한 올 블랙스 선수들은 아이들의 롤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럭비와 4년마다 열리는 럭비 경기의 최대 행사인 럭비 월드컵을 이해하는 것은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뉴질랜드 원년 이후 첫 우승 노린다

럭비 월드컵은 1987년부터 국제럭비평의회의 주관 하에 4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인의 럭비 대회이다.

우승팀에게는 럭비 스쿨에서 처음 럭비를 고안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을 기리기 위한 윌리엄 웹 엘리스 컵(William Webb Ellis Cup)이 주어진다.

그 동안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각각 2회 우승하고 뉴질랜드와 잉글랜드가 한 번씩 우승했다.

1회 럭비 월드컵 우승 이후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던 럭비 강국 뉴질랜드는 홈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 거는 기대가 크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인들은 ‘올 블랙스’의 가장 강력한 우승 경쟁국으로 호주를 꼽았다.

█ 역대 럭비 월드컵 결과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3위

 4위

 1987년

 호주,뉴질랜드

뉴질랜드 

프랑스 

웨일스 

호주 

 1991년

 영국,아일랜드,프랑스

호주 

잉글랜드 

뉴질랜드 

스코틀랜드 

 1995년

 남아공

남아공 

뉴질랜드 

프랑스 

잉글랜드 

 1999년

 웨일스

호주 

프랑스 

남아공 

뉴질랜드 

 2003년

 호주

잉글랜드 

호주 

뉴질랜드 

프랑스 

 2007년

 프랑스

남아공 

잉글랜드 

아르헨티나 

프랑스 


20개팀 4개 조로 나뉘어 풀리그 예선

럭비 월드컵은 이전 대회 8강 진출팀과 대륙별 예선을 거친 12개팀 등 모두 20팀이 진출하여 한 조에 다섯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풀리그로 조별 예선을 진행하고, 각 조 1, 2위 팀이 8강전에 진출한다. 승리팀은 4점을 획득하고 무승부시에는 두 팀이 각각 2점을 얻게 된다.

이번 럭비 월드컵에 프랑스, 통가, 캐나다, 일본과 함께 A조에 편성된 뉴질랜드는 오는 9월 9일 오클랜드 에덴 파크(Eden Park) 경기장에서 통가와 개막전을 갖는다.

█ 2011 럭비 월드컵 조 편성
 A조 뉴질랜드, 프랑스, 통가, 캐나다, 일본
 B조 아르헨티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조지아, 루마니아
 C조 호주, 아일랜드, 이탈리아, 러시아, 미국
 D조 남아프리카공화국, 웨일스, 피지, 사모아, 나미비아

경제효과 12억 달러 이상 기대

럭비 월드컵은 FIFA 월드컵과 하계 올림픽에 이은 세계에서 가장 큰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로서 매 대회마다 수십억 명의 시청자를 텔레비전 앞에 불러모으고 있다.

인구 400만 명의 뉴질랜드가 이런 세계 규모의 대회를 개최하기엔 너무 작다는 반대의 목소리도 있었다.

숙박시설이 충분하지 않고 교통도 불편하며 현대적인 대형 경기장도 부족하다는 여론이 높았다.

그러나 뉴질랜드는 럭비가 다른 어떤 것도 견줄 수 없는 국가적 스포츠이고 나라 자체가 ‘400만 명의 스타디움’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지난 2005년 럭비 월드컵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전국 13개 주요 도시에서 총 48개 경기가 열리는 이번 럭비 월드컵으로 뉴질랜드가 얻는 직접적인 경제효과는 약 12억5,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대회로 전 세계에서 약 7만 명의 관광객이 뉴질랜드에 입국하고 이들이 쓰는 돈만 해도 5억3,000만 달러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 관중 수는 150만 명 가량이 될 것으로 보여 이로 인한 입장권 수입만 해도 2억6,500만 달러에 이른다.

또한 국내총생산이 5억3,400만 달러 늘어나며 1억1,700만 달러의 국세 수입이 파생되는 등 전체적인 경제 파급효과는 총 55억8,000만 달러에 이르게 된다.

뉴질랜드는 이번 월드컵을 계기로 국제적인 위상이 오르고 경기 부양 효과를 포함해 관광 및 무역 증진 또한 기대하고 있다

축구경기 규칙 위반행위가 현대럭비 효시

럭비의 유래는 경기 규칙을 위반한 학생으로부터 시작됐다.

1823년 영국의 럭비(Rugby)라는 이름의 고등학교에서 축구 경기를 하던 윌리암 웹 엘리스는 경기에 열중한 나머지 자신에게 굴러온 공을 잡아 들고 상대편을 향해 돌진하게 됐다.

이때 상대편 학생들은 엘리스를 잡으려고 덤벼들었고, 엘리스는 이들을 피하며 상대편 진영으로 뛰어들었다.

결국 우연히 경기 규칙을 무시하게 된 이 사건이 현대 럭비의 효시가 된 것이다.

따라서 럭비 종주국도 축구와 마찬가지로 영국이지만 종주국에서는 인기가 시들해졌고 오히려 뉴질랜드에서는 크리켓과 함께 사랑을 듬뿍 받는 스포츠가 됐다.

참고로 럭비의 규칙을 간단히 살펴 보면 한 팀에 15명이 뛰고 경기 시간은 전후반 각 40분씩 80분이다. 패스는 항상 뒤로 하며 득점은 상대방 인골에 공을 찍으면 트라이라 하여 5점, 트라이 후 플레이스킥 또는 드롭킥으로 공이 크로스바를 넘으면 골이 되어 2점, 상대팀의 반칙으로 인한 페널티킥에 의한 골은 3점, 이 밖의 드롭킥에 의한 골은 3점으로 정해져 있다. 럭비의 기본대형으로는 스크럼(scrum)과 라인아웃(lineout)이 있는데, 스크럼은 같은 팀 선수들이 서로 팔을 낀 상태에서 1열에 3명, 2열에 4명, 3열에 1명으로 된 3열의 형태로 상대팀을 앞으로 미는 대형이다. 또한 몰(maul)과 럭(ruck)이라는 대형은 경기 도중 공이 일시적으로 저지되었을 때 일어난다. 상대가 공을 가지고 있을 때는 이를 태클하거나 밀칠 수 있으며, 태클된 공을 제외하고는 지상에 있는 공을 덮쳐 끌어안듯이 넘어질 수도 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NSIDE] 새싹이 움트는 곳, 새움터

댓글 0 | 조회 4,335 | 2011.02.22
"정신 건강의 문제는 숨길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정신 건강을 문제로 바라보는 편견과 시각을 우리들의 머릿속에서 지우고 개선해야 합니다.”복잡하고 다양, 다각화되… 더보기

집 살 때인가, 팔 때인가

댓글 0 | 조회 6,276 | 2011.02.08
지난해 주택가격은 0.9% 하락하면서 2009년 이후 가시화된 주택시장 회생을 둔화시켰다. 경기회복 속도도 예상보다 더디면서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는 주택시장이… 더보기

[INSIDE] 우리 생에 최고의 순간으로 나아가는 순간

댓글 0 | 조회 4,593 | 2011.02.08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아줌마들과 은퇴한 선수들이 대한민국이라는 이름 아래 다시 뭉쳐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불굴의 의지와 투혼으로 세계최고의 명승부를 펼쳤던 우… 더보기

현재 뉴질랜드의 2011년은 럭비월드컵의 해

댓글 0 | 조회 5,908 | 2011.01.25
올해 뉴질랜드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행사가 있다. 그 하나는 아직 정확한 일정은 결정되지않았지만 11월말 이후에 실시될 가능성이 높은 총선이고 다른 하나는 9월 … 더보기

[INSIDE]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방법

댓글 0 | 조회 4,878 | 2011.01.25
다양한 민족이 모여 있는 이 곳 뉴질랜드. 뉴질랜드에는 3만 여명의 한인 동포들이 살고 있으며,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뉴질랜드로 건너오고, 한국으로 돌아가기도 한… 더보기

교민의 수입과 재산에 대한 小考

댓글 0 | 조회 8,379 | 2011.01.13
뉴질랜드 교민의 평균 수입이나 재산은 어느 정도일까. 아마 모르긴 몰라도 많은 교민들은 한국에서와 같은 생활을 누리지 못할 것으로 본다. 본지 442호에 일부 소… 더보기

[INSIDE] 봉사와 나눔의 2011년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5,581 | 2011.01.13
연말 연시가 되면, 사람들은 한 해를 되돌아 보며 지난 1년을 마무리 하고, 다가오는 새해의 다짐을 한다. 새해가 되면서 자신이 바꾸어 나가야 할 모습, 앞으로 … 더보기

10대 뉴스로 되돌아본 뉴질랜드 2010

댓글 0 | 조회 3,536 | 2010.12.21
다사다난(多事多難)이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니었던 뉴질랜드의 2010년을 본지가 선정한 10대 뉴스를 통해 정리했다.█ 주택시장 회생 둔화지난해 초 저점을 찍은… 더보기

[INSIDE] 가르침을 전하고, 더 큰 배움을 얻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 - …

댓글 0 | 조회 5,285 | 2010.12.21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 한국의 사회생활을 직접 체험해 보고 ‘정’이 담긴 한국인의 구수한 정서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 홍하나양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기… 더보기

오클랜드의 한국인 고용주와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6,827 | 2010.12.07
매시 대학의 카리나 미어스(Carina Meares)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최근 오클랜드에 사는 한인 이민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김치 네트워크: 오클랜드의 한인… 더보기

[INSIDE] 한 - 뉴 영상산업 교류의 역사

댓글 0 | 조회 5,205 | 2010.12.07
우리가 가보지 못한 곳, 우리가 태어나기 전 시대의 모습, 직접 우리의 눈을 통해 직접 보지 못한 곳과 시대, 경험해 보지 못하였던 것들을 우리는 과연 어떻게 상… 더보기

뉴질랜드 교육 ‘세계 최고’

댓글 0 | 조회 7,980 | 2010.11.23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정치경제연구소인 레가툼(Legatum) 연구소는 2007년부터 매년 이맘때쯤 국가별 ‘번영 지수(Prosperity Index)’ 보고서를… 더보기

[INSIDE] 60년전의 어린 천사들을 위해 온 리틀 엔젤스

댓글 0 | 조회 5,973 | 2010.11.23
흥부전, 은혜 갚은 개 이야기 등 우리 나라의 전래동화 속이나 세계의 여러 동화 속에는 보은에 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뿐만 아니라 은혜와 보은에 관한 이야… 더보기

뉴질랜드의 ‘호빗’ 구하기

댓글 0 | 조회 6,107 | 2010.11.09
영화 ‘호빗’은 뉴질랜드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호빗’의 뉴질랜드 촬영을 위해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총리까지 나서 미국의 거대 영화사와 협상을 벌였다. 결국 ‘… 더보기

[INSIDE] 유학생들의 뉴질랜드는?.

댓글 0 | 조회 5,896 | 2010.11.09
지구가 좁아졌다는 것을 다시 느끼고 있다. 1980~90년대만 해도 ‘서울로 유학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국내의 지방에서 도시로 공부길에 오르는 것이 어렵고 멀… 더보기

글로벌 환율전쟁 속 NZ달러의 향방은?

댓글 0 | 조회 7,312 | 2010.10.30
뉴질랜드 달러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며 경제회복의 변수가 되고 있다. 또한 800원대의 고환율도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다. 지지부진한 경제상황에서도 강… 더보기

[INSIDE] 돕는다는 것은...<크라이스트처치 지진복구를 위한 먹거리 장터>

댓글 0 | 조회 3,870 | 2010.11.09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곳 뉴질랜드는 약 2500만년 전부터 현재까지 태평양 지각판과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지각판이 충돌하고 있는 경계에 걸터앉아 지형 발달을 해왔다… 더보기

무리한 교통 벌금, 어떻게 물리치나

댓글 0 | 조회 7,778 | 2010.10.12
뉴질랜드에서 교통 범칙금 부과는 원활한 교통 소통이나 교통 안전보다는 당국이 현금 수입을 목적으로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은 … 더보기

[INSIDE] 뉴질랜드 한류의 시작

댓글 0 | 조회 7,548 | 2010.11.09
영어로만 잔뜩 이야기하는 뉴질랜드 TV의 채널을 돌리다가 익숙한 옷과 낯이 익은 얼굴, 낯이 익은 장면 스쳐간다. 비행기로 10시간 이상 걸리는 머나먼 이 곳 뉴… 더보기

[INSIDE] 한국의 문화를 함께 공유해보는 시간

댓글 0 | 조회 3,405 | 2010.11.09
한국을 포함한 120개국 이상이 모여 있는 나라 뉴질랜드. 이 곳에는 마오리를 포함 남태평양의 폴리네시안, 아시아인 등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뉴질랜드 전체 인구 … 더보기

공화국으로 가는 길

댓글 0 | 조회 5,472 | 2010.09.29
영국의 국왕을 국가 수반으로 하고 있는 입헌군주국 뉴질랜드가 공화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최근 높아지고 있다. 공화국 전환에 대한 주장은 새로운 것은 아니… 더보기

같은 세율, 다른 인상률

댓글 0 | 조회 7,036 | 2010.09.14
부가가치세(GST, Goods and Services Tax) 인상이 불과 보름 앞으로 다가 왔다. 부가가치세는 대부분의 상품과 용역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그 … 더보기

[INSIDE]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주는 아름다운 선율

댓글 0 | 조회 6,113 | 2010.11.09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얼마나 자주 불가능을 이야기 할까? 불가능이란 단어는 점점 더 사람을 고뇌하고 지치게 만들고 포기라는 단어를 만들어 내며, 불가능 속에 잦은… 더보기

오클랜드, 통합의 새 시대 연다

댓글 0 | 조회 6,384 | 2010.08.24
오는 11월 1일은 오클랜드 역사의 이정표가 되는 날이다. 이 날은 현재 오클랜드를 구성하고 있는 오클랜드 시티, 노스쇼어 시티, 마누카우 시티, 와이타케레 시티… 더보기

[INSIDE] 대한민국 해군 순항훈련전단, 보은의 순방길

댓글 0 | 조회 4,041 | 2010.08.24
“필승” 우렁찬 경례 구호 소리와 함께 대한민국 해군 순항훈련전단(전단장 해군준장 이병권)이 오클랜드에 도착했다. 양만춘함과 화천함 총 2척의 군함에 정복을 입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