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민자도 NZ의 귀중한 자산

역이민자도 NZ의 귀중한 자산

0 개 5,140 JJW


뉴질랜드는 거주한지 2년이 지난 영주권자에게 영구 영주권이 주어지는 몇 안 되는 나라중 하나이다. 영주권 스티커에 ‘영구(Indefinite)’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영구 영주권은 뜻 그대로 외국에 나가 살더라도 언제든지 뉴질랜드로 돌아와 무한정 살 수 있는 권리이다. 뉴질랜드에 영원히 살라는 영구 영주권 제도는 역설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가는 영주권자들을 양산해 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취업, 교육, 가정형편 등으로 필요한 시기에 본국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영주권자들의 마음 한 켠에는 뉴질랜드의 여운이 남게 된다. 언젠가는 여기에 다시 돌아올 수 있다고! 
 
경제력 높은 나라 출신의 역이민자 많아
역이민자는 몸은 뉴질랜드에 없지만 이민자와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와 끊을 수 없는 인연을 가지고 있는 뉴질랜드의 귀중한 자산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언제든지 이곳 뉴질랜드에 다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 나쁜 기억이 많든지, 좋은 기억이 많든지 간에 뉴질랜드 소식에 귀를 기울일 것이고 이왕이면 뉴질랜드가 발전하기를 바라고 뉴질랜드가 참가하는 스포츠 경기에서는 뉴질랜드 쪽으로 마음이 갈 것이다.

많은 이민자들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뉴질랜드를 떠난다.

이민부 자료에 따르면 2004년과 2011년 사이 영주권을 획득해 뉴질랜드에 거주한 29만6,258명중 13.7%인 4만692명이 현재 해외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역이민자들을 국적별로 보면 영국과 중국이 각각 1만1,171명과 8,257명으로 가장 많다. 

이는 이들 나라의 영주권자 절대 숫자가 단연 많기 때문이다.

비율 면에서 가장 높은 나라는 27%의 미국으로 2,479명의 미국인 영주권자들이 뉴질랜드를 떠났다.

대만(26%, 265명) 싱가포르(25%, 349명) 캐나다(25%, 762명) 네덜란드(21%, 549명) 등도 영주권자 대비 역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나라들이다.

중국의 이 비율은 20%로, 결국 중국인 영주권자 5명 가운데 1명은 중국 등으로 돌아가서 살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에 역이민자 비율이 낮은 나라들에는 미얀마(2%, 31명) 피지(3%, 607명) 통가(3%, 211명) 등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의 경우 2004년부터 2011년 사이 영주권을 받은 미얀마인 1,632명 가운데 고작 31명만이 본국으로 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약 750명에 주어지는 난민 쿼터 영주권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미얀마 이민자들은 여기서 잘 적응해서가 아니라 본국에 가도 아무 것도 없기 때문에 뉴질랜드에 남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얀마에서 아동 군인이었던 헤인 민 아웅(Hein Min Aung)은 “대부분의 미얀마 이민자들은 본국에 남아 있는 것이 없어 돌아가고 싶어도 갈 수 없다”며 “여기서도 적응하기 쉽지 않고 언어장벽에 맞닥뜨리지만 잠잘 지붕은 있고 자식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다”고 털어 놓았다.
 
그는 미얀마에서 정치적 자유가 높아진다면 더욱 많은 미얀마 이민자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역이민자 경제’ 연구 절실 
한국의 최근 뉴질랜드 이민 동향은 역이민자가 줄고 있는 추세이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영구 또는 1년 이상 장기거주 목적으로 출국한 한국인은 4월말 기준 연간 2011년 2,207명, 2012년 2,005명, 2013년 1,605명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한국인 이민자 유입은 2011년 1,889명, 2012년 1,616명, 2013년 1,672명으로 미미하지만 회복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

이 수치에는 12개월 이상 한국에서 살다가 뉴질랜드로 돌아온 영주권자도 포함돼 있다.

역이민자들은 비록 몸은 뉴질랜드에 없더라도 뉴질랜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매시 대학의 헨리 청(Henry Chung) 교수는 역이민자들이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가치는 수 천만 달러가 될 수 있고 ‘역이민자 경제’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매년 신규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가 19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역이민자들의 경제 기여도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 교수는 대부분의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보다 경제력이 높은 나라 출신들로, 저임금과 높은 세금, 기회 부족 등이 뉴질랜드를 떠나는 요인들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신규 이민자들은 고국으로부터 사업 아이디어를 가져와 차별화 전략으로 아시안 슈퍼마켓 등을 시작하고 아시아로부터 상품을 수입합니다. 마찬가지로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에 인맥을 두고 뉴질랜드식 사업 컨셉트와 제품을 본국으로 가져갈 것입니다.”

청 교수는 대만의 선선(Suncern) 회사를 이 같은 예로 들었다.

대만의 역이민자들이 세운 이 회사는 뉴질랜드로부터 제품을 수입해 대만에서 판매하는 사업을 한다.

청 교수는 “이는 뉴질랜드와 역이민자 모두 좋은 윈-윈 상황이다. 이들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와 제품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을 뿐아니라 본국의 사업환경에도 정통하기 때문에 사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전했다.
 
NZ 연계사업, 역이민자와 NZ 모두 윈-윈 
청 교수는 역이민자들의 상당수가 사업이민 부문에서 영주권을 받았고 여전히 뉴질랜드와 연계된 사업을 하고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청 교수는 “그들은 뉴질랜드의 자산이고 역이민자 경제를 이해하는 것은 많은 사업과 투자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09년 4월 이후 투자이민 부문에서 영주권을 받은 건수는 185건이고 이들의 투자액은 5억2,000만 달러에 달한다.

심사과정을 거의 마치고 영주권 승인을 앞두고 있는 176건의 투자액은 4억8,000만 달러에 육박하고, 210건, 3억9,500만 달러의 투자이민 신청이 심사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싱가포르로 돌아간 이민자 켄 마(Ken Mar)는 여전히 뉴질랜드를 제1의 고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외아들인 그는 뉴질랜드의 기후에 적응할 수 없었던 연로한 부모를 모시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갔으나 부모가 죽은 후에는 뉴질랜드에 돌아올 계획이라고 얘기한다.

뉴질랜드에 있는 동안 박제술을 배운 그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박제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뉴질랜드박제협회 회원이기도 한 그는 모든 원재료를 뉴질랜드에서 대고 있고 아직도 뉴질랜드에 상당 규모의 투자액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 신규 중국인 이민자에 관한 오클랜드 대학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중국인들은 뉴질랜드 이민을 호주와 같은 다른 서구 국가들로 가기 위한 디딤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민 패턴 유동적으로 변화
해외에 살고 있는 뉴질랜드인들은 이제 60만 명이 넘고 있다.

이들의 25%는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들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매시 대학의 폴 스푼리(Paul Spoonly) 교수는 “이민 패턴이 더욱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이민자가 한 나라에서 영원히 남기를 기대하는 일은 비현실적이다”라고 주장했다.
 
스푼리 교수는 이어 “뉴질랜드는 높은 교육과 경제력을 가진 이민자를 뽑고 있는데, 이러한 사람들이 극히 유동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들은 뉴질랜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더 좋은 기회가 있는 곳으로 떠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오클랜드, City of Snail

댓글 0 | 조회 3,373 | 2013.07.23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은 일상생활이 돼버렸다. 출퇴근 시간 모토웨이의 정체는 매일 반복되고 있다. 심지어 10년 안에 온종일 교통 정체가 될 거라는 우울한 전망도 … 더보기

‘세무 조사’ 고삐죄는 IRD

댓글 0 | 조회 6,401 | 2013.07.23
뉴질랜드 총선은 3년마다 치러지는데, 전통적으로 총선 실시연도에는 아무래도 표를 의식한 정치인들의 유권자 눈치보기 탓에 세금징수에 강공 드라이버를 걸 수 없다 보… 더보기

외국인의 주택투자 천국 NZ

댓글 0 | 조회 5,391 | 2013.07.09
주택시장의 열기가 한겨울에도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오클랜드에서는 감정가보다 평균 20% 높게 주택들이 매매되고 있다. 여기에 외국인들이 뉴질랜드 주택들을 대거 … 더보기

건설업계 대박

댓글 0 | 조회 3,100 | 2013.07.09
100억달러 AKL 경전철 사업과 지진취약 건물 NBS본격시행 올 상반기 뉴질랜드 초대형 건설사인 메인질(Mainzeal) 건설(주)의 파산으로 의기소침했던 건설… 더보기
Now

현재 역이민자도 NZ의 귀중한 자산

댓글 0 | 조회 5,141 | 2013.06.25
뉴질랜드는 거주한지 2년이 지난 영주권자에게 영구 영주권이 주어지는 몇 안 되는 나라중 하나이다. 영주권 스티커에 ‘영구(Indefinite)&rsqu…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동향 - 아파트, 오피스 빌딩, 목장을 중심으로

댓글 1 | 조회 3,469 | 2013.06.25
- 비거주 외국기업의 뉴질랜드 부동산구매에 15% 세금 부과중 최근, 오클랜드 주택가격의 폭등으로 평균 소득대비 렌트비 부담율이나 주택융자금(Mortgage) 상… 더보기

높아지는 대학 문턱

댓글 0 | 조회 3,507 | 2013.06.11
교육부는 내년부터 대학 입학 요건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교육부는 2017년까지 18세 학생의 85%가 NCEA 레벨2 과정을 수료하는 것을 … 더보기

당신은 얼마나 행복하십니까?

댓글 1 | 조회 4,467 | 2013.06.11
뉴질랜드 ‘삶의 질’ 36개국중 11위, 한국은 27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 발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더보기

집값 상승은 현재진행형

댓글 0 | 조회 3,814 | 2013.05.28
집값 상승의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지만 아직 끝이 아니고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슬… 더보기

한눈에 보는 ‘2013 NZ정부 예산안’

댓글 0 | 조회 4,126 | 2013.05.28
뉴질랜드의 ‘곳간지기’ 재무부(Ministry of Finance)가 2013 예산안(2013/2014)을 지난해보다 42억달러가량 늘어난 … 더보기

幸福은 U字형

댓글 0 | 조회 2,394 | 2013.05.14
본지의 지령 500호를 맞아 이번 호에서는 복잡한 세상사를 잠시 잊고 행복에 대해 얘기해 보자. 일생 중 40대 중반에 행복감 최저 혹시 40대 중반 독자 여러분… 더보기

고용주와 근로자의 최소한의 권리와 의무

댓글 0 | 조회 6,482 | 2013.05.14
뉴질랜드의 모든 고용계약을 관할하는 ‘고용관계법(Employment Relations Act 2000)’, 직장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 더보기

유학와서 이민으로

댓글 0 | 조회 4,073 | 2013.04.23
뉴질랜드 이민의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영주권을 승인받은 사람들 가운데 유학생 출신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뉴질랜드 유학생 숫자가 점점 줄… 더보기

뉴질랜드, 세계 13번째로 ‘동성결혼 합법화’

댓글 0 | 조회 5,577 | 2013.04.23
“남성과 여성의 결합” 이라는 ‘결혼’의 정의가 바뀌게 됐다.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Same-Sex Marriage L… 더보기

최저임금과 생활임금

댓글 0 | 조회 4,392 | 2013.04.09
지난 1일부터 성인 최저임금이 시간당 13.50달러에서 13.75달러로 인상됐다. 노동계와 야당은 생계비를 무시한 ‘최저’ 인상이라고 비난했… 더보기

도심지 ‘소형 고층아파트’ 각광받는 시대 예고

댓글 0 | 조회 3,506 | 2013.04.09
30년 후 오클랜드시의 미래청사진..…‘도심지 고층화, 도시주변부 편입’ ‘세계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the wor… 더보기

제3의 학교

댓글 0 | 조회 2,720 | 2013.03.26
교육부는 지난해 문제의 연속이었다. 시행된 지 2년 밖에 안된 ‘내셔날 스탠다드(National Standards)’ 제도의 학교별 결과를 … 더보기

[자연재해] 가뭄에 타고, 지진에 흔들리는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5,360 | 2013.03.26
자연재해 앞에 인간은 너무나 나약한 존재일 수 밖에 없는가? 최근, 더 더워지고, 더 건조해지는뉴질랜드의 기후변화 앞에 ‘물 부족 국가’로서… 더보기

오클랜드의 스카이라인이 바뀐다

댓글 0 | 조회 3,805 | 2013.03.12
오클랜드에 앞으로 더욱 많은 고층 주거용 건물들이 들어설 전망이다. 불어나는 오클랜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예견됐던 일이지만 지난달 오클랜드 카운슬이 승인한 통합… 더보기

NZ 노동당 3대 경제공약

댓글 0 | 조회 2,520 | 2013.03.12
저비용 주택10만호 건설 / 양도소득세 도입 / 최저임금 시간당 $15로 인상 뉴질랜드 야당인 노동당이 달라지고 있다. 전당대회에서 당내 쿠데타위기를 무사히 넘기… 더보기

환율은 시장에 맡겨야

댓글 0 | 조회 3,151 | 2013.02.26
제조업계가 최근 정부에 고환율이 계속된다면 뉴질랜드를 떠날 수 밖에 없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환율 상승을 막기 위해 정부가 외환시장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주문이… 더보기

NZ 인쇄매체 공룡들의 몰락이 주는 교훈

댓글 0 | 조회 2,828 | 2013.02.26
오프라인으로 발행되는 종이매체는 이제 종말을 고할 것인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로 인해 2-3년전부터 붉은색으로 물든 회계결산 수치가 발표된 이래, 뉴질랜드 … 더보기

호주에 가면 더 잘 살까?

댓글 0 | 조회 7,784 | 2013.02.12
올해는 뉴질랜드와 호주간 경제교류의 토대가 된 자유무역협정(CER)을 체결한지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협정을 맺은 이후 양국의 왕래는 더욱 활발해졌고 키위와 오… 더보기

뉴질랜드 vs 한국의 세법상 ‘거주자’와 ‘비거주자’

댓글 0 | 조회 11,829 | 2013.02.12
뉴질랜드 시민권을 딴 뒤 한국으로 나가 살면서 여전히 수익성이 더 높은 한국에 투자하다가 뉴질랜드 노인연금(Superannuation) 받을 조건을 구비하기 위해… 더보기

집값 오르는 곳은 따로 있다

댓글 0 | 조회 3,516 | 2013.01.30
지난해 뉴질랜드 전국 주택가격은 거의 1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집값 상승은 일부 지역의 얘기일 뿐 여전히 침체된 집값을 보이고 있는 지역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