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편안한 노년을 보내려면

당신이 편안한 노년을 보내려면

0 개 5,786 JJW
포커스.jpg

많은 한국인 이민 1세대가 이제 은퇴 시기를 맞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일반이민을 통해 뉴질랜드에 둥지를 틀었던 40대 전후의 교민들이 이제 60대에 진입했거나 60대를 코앞에 두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노년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비용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 보았다.

노인들이 살기 좋은 나라 뉴질랜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장수 리스크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즉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계획했던 것보다 은퇴 후의 생활이 늘어나 저축해 놓은 돈에 비해 휠씬 오래 살게 된 것이다.

65세에 은퇴한다고 해도 40년 전에는 기대수명이 13년이었던 것이 현재 23년, 오는 2055년에는 30년으로 은퇴 후에도 한 세대를 더 살게 될 전망이다.

뉴질랜드는 노인들의 복지와 삶의 질이 세계 7위에 오를 정도로 노인들이 살기 좋은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영국의 헬프에이지(HelpAge)가 세계 91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연령 지수’ 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특히 고용과 교육, 보건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총 84.5점으로 이웃 호주의 77.2점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그레이 파워(Grey Power)의 로이 레이드(Roy Reid) 회장은 “노령연금(Superannuation)만 보더라도 뉴질랜드가 호주보다 잘 사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호주에도 가족이 있는데 뉴질랜드에 사는 가족이 더 잘 산다”고 말했다.

소득이나 재산에 관계없이 지급되는 뉴질랜드의 노령연금은 65세 이상 사람들의 97%에 혜택을 주고 있다.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연금 때문에 뉴질랜드인들은 그 동안 노후를 대비한 저축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안락한 노후를 위해서는 노령연금에만 의존하지 말고 노후대책을 세워야 하며 충분하게 저축하지 않을 경우 힘든 은퇴시기를 맞을 것이라는 재테크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편안한 노후생활 위해서는 연금만으로는 부족 
ANZ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은퇴 연령에 가까워질수록 노후비용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의견을 보였다.

55~64세 연령대의 41%가 노령연금과 별도로 주당 150~299달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39%는 300달러 이상이 안락한 노후생활을 즐기는데 필요한 금액이라고 말했다.

ANZ은 노후자금을 준비하려면 저축할 여력이 있는 젊은 시기에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35세가 지나면 여러 가지 이유로 저축하기가 더욱 힘들어 진다는 설명이다.

은퇴위원회는 편안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연금 외에 적어도 20만5,000달러의 여유자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퇴위원회는 또한 모든 뉴질랜드인들에게 키위세이버를 의무적으로 가입시키고 재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은퇴위원회 다이앤 맥스웰(Diane Maxwell) 위원장은 “젊은 사람들이 은퇴에 대비해 일찍 저축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저소득층과 65세까지 일을 하기 어려운 육체 노동자들이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금수급 연령과 관련, 은퇴위원회는 기대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2036년까지 66세, 2046년까지 67세, 그리고 2056년까지 68세로 점진적인 상향조정을 제시했다.

이렇게 하여 절감되는 연간 15억달러의 자금은 보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노인들에 쓰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집권 국민당은 현행 65세의 노령연금 수급연령을 고집하고 있고 노동당은 오는 2020년까지 67세로 상향조정하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

고급스런 노후 즐기려면 20만달러 여유자금 필요  
뉴질랜드에서의 은퇴에 대한 매시 대학의 최근 보고서도 여유있는 노후생활을 즐기려면 연금만 가지고선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보고서는 뉴질랜드 통계청의 가구당 소비 수치를 근거로 변동성이 큰 주거비용을 제외한 주당 생활비를 오클랜드나 웰링턴 등 도시와 기타 지방으로 구분하여 산출했다. (표 참조)

focus.jpg

이에 따르면 2인 가구의 고급스런 생활을 위한 주당 비용이 도시에서는 761.56달러, 지방에선 693.83달러로 부부의 주당 세후 노령연금액 536.80달러로는 휠씬 부족했다.

노령연금 외에도 고급 생활을 원한다면 20만6,608달러의 여유자금이 있어야 한다는 계산이다.

혼자서 기본 생활을 할 경우 113.38달러의 비용으로 조사되어 노령연금으로 쓰고도 236달러가 남지만 조사에 불포함된 주거비용을 지출하면 남는게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조사를 담당한 매시 대학 클레어 매더스(Claire Matthews) 강사는 “조사 결과는 분명한 메시지를 주고 있다”면서 “현재 저축을 하고 있지 않다면 지금부터 시작하고, 저축을 하고 있다면 충분하게 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고 말했다.

매더스 강사는 이어 “노령연금액을 늘리면 해결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국가 재정으로 감당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방안이다”고 덧붙였다.

매더스 강사는 또 은퇴후 필요한 자금을 예측할 때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은퇴전 수입의 70~80%를 가이드라인으로 잡았으나 젊은이들이 은퇴전 수입을 안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20대 젊은이들에게 은퇴에 대비해 저축하라는 말은 피부에 와닿지 않을 지도 모르지만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충고이다. 

함께 실시된 웨스트팩의 설문조사에서 517명의 은퇴자중 79%가 노령연금 외에 다른 수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가 여전히 유급으로 고용돼 있었고, 그 중 38%는 재정적 이유 때문에 일을 해야 하지만 나머지는 그냥 일을 좋아해서거나 바쁜 생활을 유지하고 싶어 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신에 맞는 자금 설계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주당 357.42달러의 노령연금 외에 자신에 필요한 노후자금을 결정해야 한다.

위에 소개한 연구결과 이외에도 이와 관련된 많은 온라인 사이트나 조사 자료가 나와 있다.

펀드매니저와 보험업자의 로비 그룹인 금융서비스카운슬은 대다수의 뉴질랜드인들이 은퇴수입이 노령연금의 두 배일 경우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이는 은퇴 후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에 따라 30만~45만달러의 저축을 필요로 한다고 제시했다.

오클랜드 대학이 지난 2011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건강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자기 집을 소유한 부부의 경우 주당 587달러, 렌트로 살고 있는 경우 602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자금을 계산하는데 유용한 온라인 사이트로는 www.superlife.co.nz, www.sorted.org.nz 등이 있다.

연말연시 비지니스 접대비의 세금처리

댓글 0 | 조회 6,128 | 2013.12.24
접대비의 비용처리 - 증빙서류 갖추고 ‘업무관련성’ 입증해야 언제부턴가 세월이 가는 것을 신문이나 TV속의 요란한 바겐세일 광고에서 처음 느끼게 됐다. 올해도 쇼… 더보기

희귀 동식물의 보고를 지켜라

댓글 0 | 조회 4,994 | 2013.12.24
▲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투아타라 도마뱀 지난 12월 11일(수) 크라이스트처치 지방법원에서는 다소 이색적인 재판이 열려 호주 출신의 한 남성에게 1만1천 … 더보기
Now

현재 당신이 편안한 노년을 보내려면

댓글 0 | 조회 5,787 | 2013.12.11
많은 한국인 이민 1세대가 이제 은퇴 시기를 맞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일반이민을 통해 뉴질랜드에 둥지를 틀었던 40대 전후의 교민들이 이제 60대에 진입했거… 더보기

푸른 초원을 날아다니는 무인항공기

댓글 0 | 조회 6,851 | 2013.12.11
▲ 뉴질랜드에서 연구에 사용될 장비와 유사한 드론의 모습 무서운 전쟁무기로 등장한 드론 요즘 공상과학 영화, 그 중에서도 전쟁영화라면 반드시 등장하는 무기가 있다… 더보기

달라진 부동산 매매계약서… GST관련규정 변경

댓글 0 | 조회 5,937 | 2013.12.10
달라진 부동산 매매계약서… GST관련규정 변경 오클랜드 변호사 협회(ADLS)와 부동산 중개사 협회(REINZ)가 공동으로 발행하는 부동산 매매계약서(Agreem… 더보기

바닷속으로 사라진 프로펠러

댓글 0 | 조회 3,379 | 2013.11.27
▲ 아라테레의 모습, 인터아일랜더 홈페이지 발췌 뉴질랜드의 남섬과 북섬을 오가는 물류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남북섬을 연결해주는 ‘인터아일랜더(Inter… 더보기

오클랜드에 부는 아파트 붐

댓글 0 | 조회 6,334 | 2013.11.26
집값 상승을 진정시키기 위한 주택담보대출 제한 조치가 시행된지 거의 두 달이 지나가고 있다. 이 조치의 효과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건설업계는 대출제한 이후… 더보기

악플러에 강력한 경고... 관련법안 연내 국회통과 예상

댓글 0 | 조회 4,477 | 2013.11.26
악플러에 강력한 경고... 관련법안 연내 국회통과 예상 웹사이트 게시판에 순진하게 댓글을 달았다가, 평생 듣도 보도 못한 모욕을 당한 후, 인터넷 댓글이라면 몸서… 더보기

밀포드 사운드 “모노레일 타고 가는 날이 올까?”

댓글 0 | 조회 3,719 | 2013.11.13
세계적으로 알려진 뉴질랜드의 대표 관광지인 밀포드 사운드(Milford Sound)까지 모노레일을 타고 가는 날이 과연 올까? 지난 몇 년 동안 밀포드 사운드 행… 더보기

빚의 도시

댓글 0 | 조회 2,799 | 2013.11.12
2010년 11월 통합 오클랜드 카운슬이 출범된 이후 부채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3년 동안 늘어난 부채 규모는 오클랜드 카운슬이 매일 … 더보기

내년부터 집값 안정, 시중금리 2년내 7%까지 오를수도

댓글 0 | 조회 4,031 | 2013.11.12
부동산경기, 올 연말 정점찍고 내년 4월부터 안정 전망 지난 10월1일부로 시행되고 있는, 중앙은행(RBNZ)의 주택 대출제한 조치가 시행된 지 1개월이 경과하면… 더보기

탈루되는 세금 부담은 누가 지나?

댓글 0 | 조회 3,359 | 2013.10.22
세금을 비롯하여 갖가지 정부의 규제를 회피해서 보고되지 않는 경제를 흔히 지하경제라고 한다. 세무당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현금으로 직접 거래되는 부분이 많기 때… 더보기

NZ 국민연금, ‘키위 세이버’ 개혁안

댓글 0 | 조회 6,495 | 2013.10.22
최근, 국내 금융 서비스업계 대표들이 뉴질랜드 연금보험 ‘키위 세이버’ 제도와 관련된 개혁안을 정부에 제출한 후, 이의 수용여부가 언론의 주… 더보기

개미투자자 유혹하는 국영기업 매각

댓글 1 | 조회 3,149 | 2013.10.08
1980년대 후반 한국에서는 정부의 관리하에 운영되던 대규모의 공기업을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민영화 계획에 따라 국민 각계 각층에게 해당 주식을 골고루 분산하여 대… 더보기

D-4: 절정으로 치닫는 2013지방선거 -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2,789 | 2013.10.08
[선거쟁점] 도시계획안 찬반, 재산세 인상 찬반, 주택/교통/환경문제 해결방안 공식 지방선거 투표마감일을 4일(10월8일자 코리아 포스트 발행일 기준) 앞두고, … 더보기

높아진 NCEA 합격률의 이면

댓글 0 | 조회 3,289 | 2013.09.24
NCEA 외부고사가 한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NCEA 합격률은 그 동안 꾸준히 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학생들의 진정한 실력 향상을 의미하는 것인지, 단지 평… 더보기

NZ 부동산시장은 ‘주춤’, 주식시장은 ‘활활’

댓글 0 | 조회 3,276 | 2013.09.24
연일 연중 최고치 갱신하는 9월 NZ주식시장 뉴질랜드 주식시장이 심상찮다. 견조한 뉴질랜드 경제성장세의 지속과 호주 주택시장의 회복, 게다가 저금리에다 중앙은행의… 더보기

주택시장에 미칠 대출제한의 여파

댓글 0 | 조회 4,329 | 2013.09.10
다음 달부터 주택담보대출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집값 상승을 막고 금융권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대출제한 조치가 주택시장에 어떤 … 더보기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 전문, 부동산 법무사(Licensed Conveyancer…

댓글 0 | 조회 7,425 | 2013.09.10
컨베이언서(Conveyancer) … 변호사와 경쟁하는 ‘독립 부동산 법무사’ 집을 사거나 팔고자 할 때, 지금까지 소비자들은 … 더보기

퇴색한 ‘청정’ 국가이미지

댓글 0 | 조회 3,409 | 2013.08.27
최근 벌어진 폰테라 오염 분유 파동은 뉴질랜드 수출에 수십억 달러의 손해를 끼쳤지만, 뉴질랜드의 청정 국가 이미지에도 막대한 상처를 입혔다. 성공적으로 평가받던 … 더보기

뉴질랜드 노동당 당수 돌연 사임

댓글 0 | 조회 2,608 | 2013.08.27
NZ 노동당 당수 돌연 사임, 존 키 대항마 부재로 노동당 지리멸렬 지난 8월22일, 데이비 쉬어러 노동당 당수가 돌연 사임을 발표, 노동당의 리더쉽이 혼돈에 빠… 더보기

백년대계 교육, 개혁이 필요하다

댓글 0 | 조회 2,967 | 2013.08.13
뉴질랜드 교육 체제가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뉴질랜드 학생들은 장래 좋은 직업을 얻기 위한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다. 지난달 뉴질랜드를 방문한 세계적인 … 더보기

신뢰성 확보위해 칼 빼든 - 변호사/공인회계사 징계위원회

댓글 0 | 조회 3,824 | 2013.08.13
우리 한국 속담에 “설마가 사람잡는다”는 말이 있다. 상식적으로 도저히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 발생하면 이런 말을 한다. 미국의 경우, 한인 … 더보기

오클랜드, City of Snail

댓글 0 | 조회 3,370 | 2013.07.23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은 일상생활이 돼버렸다. 출퇴근 시간 모토웨이의 정체는 매일 반복되고 있다. 심지어 10년 안에 온종일 교통 정체가 될 거라는 우울한 전망도 … 더보기

‘세무 조사’ 고삐죄는 IRD

댓글 0 | 조회 6,392 | 2013.07.23
뉴질랜드 총선은 3년마다 치러지는데, 전통적으로 총선 실시연도에는 아무래도 표를 의식한 정치인들의 유권자 눈치보기 탓에 세금징수에 강공 드라이버를 걸 수 없다 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