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 마련, 갈수록 어려워지나?(Ⅱ)

보금자리 마련, 갈수록 어려워지나?(Ⅱ)

0 개 5,247 sara
522.jpg

국민들의 주거생활과 관련된 2013 센서스 자료가 지난 3월 18일 발표됐다. 지난 호에서는 주택의 형태별 상황과 침실 수, 또는 주택의 대형화 추세 등을 알아본 데 이어 이번 호에서는 주택소유와 임대 현황, 주택에 사용되는 에너지원 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점점 떨어지는 주택보유율>
이번 조사된 자료에서 자기집을 그 가구 내의 특정인이나 또는 패밀리 트러스트 형태로 소유하고 있는 ‘가구(household)’는 전체의 64.8%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06년의 66.9%보다 2.1%p 하락한 것으로 이는 당연히 상대적으로 자기집 대신 주택을 임대해 사는 가정이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이 중 자기집을 패밀리 트러스트가 아닌 가족 중 특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는 49.9%이었는데 이 역시 2006년의 54.5%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표1 참조>
522 표1.gif

한편 이들 집에 ‘주택대출(mortgage)’이 걸려 있는 비율은 2006년의 56.5%(405,267호)에서 이번에는 56.4%(398,373호)로 나타나 큰 변동이 없었다.

이 통계를 지역별로 보면 ‘광역단체 행정구역’ 중 전국에서 자기집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75%인 타스만 지역으로 나타났는데 2006년의 75.8%보다는 약간 하락했다. 이에 반해 가장 낮은 지역은 59.2%의 기스본이었으며 이 역시 종전의 61.8%서 하락했다.

이를 city나 district 등 좀더 세분화된 ‘기초단체 행정구역’ 별로 나눠보면 가장 높은 곳은 크라이스트처치 북쪽의 와이마카리리로 보유율이 80.3%였으며 반면 루아페후 지역은 55.0%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자기집 소유 비율을 나타낸 <표2>를 보면 알 수 있듯 전국적으로 자기집 소유비율은 2006년에 비해 모든 지역에서 하락했는데, 그 중에서도 남섬의 애쉬버튼이 2006년의 71.9%에서 이번에는 66.7%로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522 표2.gif

한편 오클랜드의 각 구(local board area) 중에서는 히비스커스(Hibiscus)와 베이즈(Bays)가 자기집 보유율이 7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와이테마타는 겨우 31.9%만이 자기집을 보유해 가장 낮았다. 

이처럼 자기집 보유 비율이 낮아진 만큼 임대를 하는 가정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는데 2006년 33.1%였던 임대가구 비율은 2013년에 35.2%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자기집 보유 비율이 가장 낮은 기스본과 오클랜드가 각각 40.8%와 38.5%로 주택임대 비율이 높았으며, 이를 통해 특히 절대 인구수가 많은 오클랜드의 주택 사정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점점 멀어지는 내집 마련> 
주택보유 현황을 누가 소유하느냐가 아닌 소유주 연령별로 분석해보면 현재 15세 이상 인구 중 주택을 전부나 또는 그 중 일부 지분이라도 소유한 사람은 전 인구의 49.8%였다. 이는 2006년의 53.2%에 비해 3.4%p나 하락한 것으로 절반 이하 비율로 떨어진 것 역시 센서스 사상 처음인데, 이는 그만큼 국민들의 주거상황이 악화됐음을 의미하는 직접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74세가 77.5%로 가장 높기는 하나 이 연령대 역시 그 비율이 지난 2001년이나 2006년에 비해 계속 하락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전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나 집을 가지고 산다는 게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녀 등 가족을 부양하고 한창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할 주축 세대인 30, 40대의 주택보유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2001년에 54.6%였던 30~39세의 주택보유율은 2013년에 43%까지 10% 넘게 하락했으며 40대 역시 같은 기간 동안 71.5%에서 60.8%로 하락폭이 컸다. <표3 참조>
522 표3.gif

한편 이를 인종별로 세분해보면 유럽계는 56.8%, 아시안계는 34.8%의 자기집 보유비율을 보인 반면 마오리계는 28.2%, 그리고 태평양계는 18.5%로 낮게 나타나 인종별 경제력의 차이가 주택 보유에서도 극명하게 대비됐다. 

또한 결혼이나 파트너쉽 등 어떤 형태로든지 배우자를 가진 사람의 주택 보유비율이 66.7%로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26.3%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정식으로 결혼한 사람들의 주택 보유 비율은 75.1%로 가장 높았다.
 
<임대해 사는 가구 7년 만에 6만 가구 증가> 
자가 보유비율이 떨어지는 만큼 임대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데 2013년 센서스에서 주택을 임대해 살고 있는 가구수는 모두 453,135호로 나타났는데 이는 2006년의 388,275호에 비해 6만 가구 이상 크게 늘어난 실정이다. 

이 중 63.3%는 가구 단위로 집을 임대한 상황이고 23.5%는 개인 단위로 임대했으며 9.3%는 이른바 플랫과 같이 직접 관련이 없는 사람들끼리 집을 임대해 함께 거주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이들 중 83.7%에 해당하는 355,554호가 공공부문이 아닌 개인이나 회사가 소유한 민간부문으로부터 주택을 임대했는데, 이 비율은 2001년에 78.4%였으며 2006년에는 81.8%였던 것으로 나타나 갈수록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이 주거 안정에 기여하는 역할이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전체 세입 가정 중 52,503호는 Housing NZ에서 제공된 주택에 거주 중이며 11,307호가 지방자치단체가 임대해준 집에 살고 있는데, 통계국에서는 센서스 조사 당일 이들 주택 거주자가 집을 비우는 등 미처 조사되지 못한 부분이 많아 실제 이 비율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들 세입자들이 임대한 주택은 자기집을 보유한 사람들이 사는 주택보다 규모가 작은데, 자기집 보유 가정의 13.8%만이 침실 2개 이하의 집인데 비해 임대가정은 이 비율이 29%이며, 상대적으로 주택 보유 가정의 28.8%가 침실 4개 규모인데 비해 이 정도 규모의 집을 임대한 가정은 13.4%에 불과했다. <표4 참조> 
522 표4.gif

한편 임대료에 대한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가구가 주당 $250~$349 대의 임대료를 내고 있으며 8.6%는 주당 $100 미만의 임대료를, 그리고 8.8%는 $500 이상의 주당 임대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 센서스에서는 전국적으로 임대료의 ‘중간가(median: 임대자 중 절반은 이보다 높고 절반은 낮은 임대료를 낸다는 뜻)’는 주당 $280로 나타났는데, 이를 침실 수로 구분해보면 침실 2개인 경우 $260, 3개는 $300, 그리고 4개는 $360의 임대료 중간가를 보였다. 

한편 오클랜드를 예로 들어 중간가를 지역별로 세분해보면 어퍼 하버가 $430, 그리고 데본포트-타카푸나, 오라케이, 호윅 등지가 $420을 기록했으며 히비스커스와 베이즈, 와이테마타가 $400을 각각 기록했다. 

또한 지난 2006년 임대료 중간가가 $160이었던 크라이스트처치 인근의 셀윈 디스트릭은 이번 조사에서는 $280으로 급증, 75% 상승률을 보이면서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 중에서 가장 높았다. <표5 참조>
522 표5.gif

<가스보다는 전기 사용 증가> 
각 가정에서 난방에 쓰이는 에너지원에 대한 조사에서는 원목이나 가스보다는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가 확인됐는데, 그 비율이 2001년에 72.0%에서 2006년에 74.8%로, 그리고 2013년에는 79.2%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특히 캔터베리 지역은 이 비율이 89.9%로 나타났는데 2011년 지진이 이 지역 가정의 에너지원 사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반면 남섬 서해안인 웨스트 코스트는 전기 사용 비율이 58.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에너지원에 대한 조사는 난방용으로 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를 질문한 것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전기와 원목, 가스 등 복수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각 에너지원의 비율 합은 100%를 넘는다. 

원목은 전기에 이어 에너지원 사용 비율이 2위이긴 하지만 2001년 44.7%에서 2006년에 36.8%, 그리고 2013년에는 36.8%로 나타나듯 그 비율이 계속 하락했는데, 역시 전기 사용률이 낮은 웨스트 코스트가 72.1%로 가장 높았고 22.5%인 오클랜드가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가장 낮았다. 

또한 통에 충전된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2001년의 41.4%에서 2006년 27.7%, 그리고 2013년에는 15.4%까지 그 비율이 크게 낮아졌으며 석탄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가정은 전국적으로 4.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석탄이 많이 생산되는 웨스트 코스트는 55.7%, 그리고 사우스랜드가 35.5%를 기록했듯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특성 상 석탄 시용이 많은 곳도 눈에 띈다. 이런 특성은 태양 에너지에서도 확인되는데 전국적으로 태양 에너지는 단지 1.6%만 사용된다고 분석됐지만 일조량이 많은 타스만 지역은 이 비율이 3.7%로 상대적으로 타 지역보다 높았다. 

한편 난방에 전혀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답변도 전국적으로 44,832가구나 됐는데 이는 전체 민간부문 가구 중 3.0%를 차지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기후가 온난한 오클랜드와 노스랜드가 이 비율이 각각 5.9%와 5.3%로 높게 나타났다.    

                                    <남섬지국장 서 현> 

대출규제가 주택시장에 몰고 온 변화

댓글 0 | 조회 7,060 | 2014.05.14
중앙은행의 대출규제 조치가 시행된지 7개월이 지났다. 집값 상승을 막고 금융권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지난해 10월 1일부터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제… 더보기

결혼과 이혼 통계로 본 2013년의 NZ

댓글 0 | 조회 9,534 | 2014.05.13
작년 12월 31일까지 1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이뤄진 결혼등록 건수는 모두 19,237건이었으며 반면 이혼 건수는 8,279건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자… 더보기

비트코인과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6,843 | 2014.04.24
뉴질랜드에서는 처음으로 지난달 31일 비트코인(Bitcoin)용 ATM 2대가 선보였다.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캐나다 밴쿠버에 설치된 이후 세계 120대 정… 더보기

우리는 결코 잊지 않습니다

댓글 0 | 조회 4,291 | 2014.04.23
4월 25일(금)은 ‘ANZAC Day’이다. ‘ANZAC’은 ‘Australian & NZ Army Corps(호주 뉴질랜드 연합군)’의 약자로 이 날은… 더보기

뉴질랜드 3위 건설사의 부도처리와 ‘빚잔치’

댓글 1 | 조회 8,433 | 2014.04.09
- ‘Mainzeal 건설’의 시장퇴출 과정을 돌아보며 - 2013년 2월초, 뉴질랜드 3위 건설사인 Mainzeal 건설(주)이 건축경기 하락에 따른 자금압박을… 더보기

불붙은 인터넷 TV 경쟁

댓글 0 | 조회 4,598 | 2014.04.08
텔레콤 뉴질랜드(Telecom New Zealand)가 몇 달 안에 회사명을 스파크(Spark)로 바꾸고 인터넷 TV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더보기
Now

현재 보금자리 마련, 갈수록 어려워지나?(Ⅱ)

댓글 0 | 조회 5,248 | 2014.04.08
국민들의 주거생활과 관련된 2013 센서스 자료가 지난 3월 18일 발표됐다. 지난 호에서는 주택의 형태별 상황과 침실 수, 또는 주택의 대형화 추세 등을 알아본… 더보기

보금자리 마련, 갈수록 어려워지나?

댓글 0 | 조회 5,752 | 2014.03.26
▲ 주거시설의 1/3 이상이 공동주택인 웰링톤 도심 전경 각각 얼마나 되는 가정들이 자기집, 또는 셋집에서 살고 있으며 또한 그들이 사는 집들은 어떤 형태인지 등… 더보기

상승 기조에 접어든 금리

댓글 0 | 조회 4,841 | 2014.03.25
중앙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2011년 3월 크라이스트처치 지진에 따른 경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사상 최저 수준인 2.5%로 인하한지 3년… 더보기

한국 통일정책 빠진 NZ <통일 골든 벨>

댓글 0 | 조회 3,469 | 2014.03.25
민주평통 <통일 골든 벨> ‘한인의 날’ 최고 하이라이트 지난 3월15일(토), 40주년을 맞은 오클랜드 ‘한인의 날’ 행사에는, 태풍으로 비바람부는 … 더보기

치명적인 단맛의 유혹

댓글 0 | 조회 7,011 | 2014.03.12
최근 뉴질랜드 국민들의 연간 설탕 소비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사실이 재확인되면서 설탕과 그의 대체재로 개발된 아스파탐을 비롯한 각종 인공감미료의 유해성에 대한 해묵… 더보기

가깝고도 먼 이웃, 호주

댓글 0 | 조회 4,671 | 2014.03.11
뉴질랜드와 호주의 정상들이 회담을 열면 흔히 양국간의 특별한 관계를 언급하며 ‘가족’ 또는 ‘형제’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 같은 영국 조상에 같은 언어를 사용하며… 더보기

공인중개사, 신뢰받는 전문자격으로 변신 중

댓글 0 | 조회 6,744 | 2014.03.11
1월 자격증 신규 취득자, 전년 동기대비 38% 증가 공인중개사 감독청(REAA) 통계에 따르면, 금년 1월 한 달동안 새로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취득한 개인은 1… 더보기

‘해상왕 장보고’ 남극까지 진출한다

댓글 0 | 조회 5,541 | 2014.02.26
▲ 장보고 기지 전경 한국의 2번째 남극 연구기지이자 3번째 극지 연구기지인 ‘장보고 기지’가 2년간 공사를 끝내고 지난 2월 12일(현지시간) 마침내 완공됐다.… 더보기

정부가 학교개혁에 나서는 이유

댓글 0 | 조회 3,238 | 2014.02.25
존 키(John Key) 총리는 지난달 23일 3억5,900만달러를 투입하는 학교개혁정책을 발표했다. 국민당 정부가 집권한 이후 가장 많은 질타를 받은 부문이 교… 더보기

하루를 근무해도 휴가수당 지급해야

댓글 0 | 조회 5,786 | 2014.02.25
고용관계의 기본정신……“좋은 신뢰관계(Good faith)” 오클랜드 한인회(회장 김성혁)는 한인 현지 정착정보 세미나의 일환으로 지난 2월12일, 뉴질랜드 ‘비… 더보기

“핵 전쟁에도 살아 남은 NZ 해변 마을”

댓글 0 | 조회 6,463 | 2014.02.12
▲ 포트 레비의 전경 뉴질랜드 남섬의 한 한적한 해변 마을이 핵 전쟁 이후에도 살아 남은 미국 중서부의 오래 전 시골 마을로 탈바꿈했다. 이는 아예 땅덩어리 일부… 더보기

NZ 국기 바뀌려나

댓글 0 | 조회 5,711 | 2014.02.11
뉴질랜드 국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청색 바탕에 영국 국기인 유니언 잭이 왼쪽 위에 있고 오른쪽에는 가장자리 선이 흰색으로 된 빨간색 남십자성 별 4개가 … 더보기

[독자의견]을 통해 본 오클랜드 시민의 소리

댓글 0 | 조회 2,803 | 2014.02.11
바야흐로 올해는 ‘선거의 해’다. 3년마다 실시되는 뉴질랜드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되기 때문이다. 하반기로 예정된 선거를 앞두고 연초부터 다양한 선거이슈가 불거져… 더보기

“‘고래싸움’ 과연 누가 이길까?”

댓글 0 | 조회 5,414 | 2014.01.30
▲ 시 셰퍼드 소속 봅 바커 호의 모습 남빙양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고래잡이 시즌도 본격 도래하자 환경보호그룹인 ‘시 셰퍼드(Sea Shepherd)’와 일본 포경… 더보기

이민문호 넓혀 ‘규모의 경제’ 실현해야

댓글 0 | 조회 5,650 | 2014.01.29
지난해 인구 센서스 결과 뉴질랜드의 인구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가 경제규모를 확대하고 면적에 걸맞은 인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민문호… 더보기

2014년 뉴질랜드 경제전망 - 물가, 금리, 부동산, 환율, 주식

댓글 0 | 조회 8,208 | 2014.01.29
[물가] 올해도 물가안정 계속……총선, 부동산 공급부족에 따른 상승 압력 여전 부동산시장이 주춤하면서, 지난해 4/4/분기 평균 물가상승률이 겨우 0.1% 인상에… 더보기

어느 해보다 좋은 2014년 경제전망

댓글 0 | 조회 3,432 | 2014.01.14
갑오년(甲午年)의 해가 떠올랐다. 새해가 되면 우리는 언제나처럼 살림살이가 좀더 나아지길 희망하게 된다. 특히 올해는 모든 경제전문가들이 뉴질랜드 경제가 호황을 … 더보기

오래된 전통가옥에 등돌리는 키위들

댓글 0 | 조회 8,544 | 2014.01.14
▲ 휴양지로 유명한 아벨 타스만 지역의 해변 주택들 최근 들어 뉴질랜드 국민들이 선호하는 주택의 형태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빠른 추세로 변화하고 있는 모습이 다시…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3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3,439 | 2013.12.24
■ 교민 골퍼 리디아 고의 눈부신 활약 한국에서 태어나 6세 때 뉴질랜드로 이주한 리디아 고(16세·한국 이름 고보경)가 연중 각종 골프대회에서 우승하며 커다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