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한국인 (中)

뉴질랜드의 한국인 (中)

0 개 4,824 JJW
지난 호에 이어 통계청이 발표한 ‘2013 인구조사’의 한국인 관련 자료 가운데 교육 및 수입 등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을 살펴 본다. 

자녀수 
한인 여성의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명 이상의 자녀를 둔 15세 이상 한인 여성은 56.4%(6,963명)로 2006년 인구조사 때의 59%보다 낮았다. 반면 자녀가 없는 한인 여성은 41%에서 43.6%로 늘었다. 특히 15~29세 연령대의 한인 여성에서 아기를 낳는 비율이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포커스 1.jpg

교육
정규 고등교육을 받은 15세 이상 한인은 93.1%(2만1,684명)로 2006년 조사 때의 93.3%보다 약간 줄었으나 여전히 다른 민족들보다 높은 교육 수준을 보였다. 뉴질랜드 출생 한인의 86%가 고등교육을 받아 뉴질랜드 이외 출생 한인의 93.3%에 비해 낮았다. 정규 자격증이 없는 한인 가운데 49.2%가 30~64세 연령대로 2006년 조사 때의 15~29세 연령대(52.5%)보다 높아졌다. 인구조사 기준일인 2013년 3월 5일 현재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15세 이상 한인 가운데 36.5%가 풀타임 또는 파트타임으로 학교에 다니고 있어 아시아인 평균 24.7%, 뉴질랜드 전체 14.9%보다 높았다. 학업중인 한인 가운데 52.1%는 여성이고 47.9%는 남성으로 나타났다.

포커스 2.jpg

노동력
15세 이상 한인 2만4,786명 중 55.5%인 1만3,764명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됐다. 이는 2006년의 46.4%에 비해 증가된 수치이다. 뉴질랜드 출생 한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2.4%로 해외 출생 한인의 56.2%보다 낮았다. 한인의 실업률은 2006년 9.8%에서 2013년 11.4%로 상승했다. 실업 상태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15~29세(57.2%)로 고등교육을 마친 많은 1.5세 한인들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인의 고용 상태를 보면 고용인을 둔 고용주는 2006년 15.4%에서 2013년 11.6%로 줄었고 고용인이 없는 자영업자 가운데 남성(24.1%)이 여성(17.5%)보다 많았다. 

■ 경제활동인구
포커스 3.jpg

■ 고용 상태
포커스 4.jpg

■ 종사 업종
포커스 5.jpg

한인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업종은 2,634명의 숙박 요식업으로 나타났고 소매업과 보건 사회 지원이 뒤를 이었다.
  
소득
지난해 3월 5일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한인의 중간소득은 1만1,500달러로 조사됐다. 이는 2006년 인구조사의 7,600달러에 비해서는 51.3%나 증가한 것이지만 뉴질랜드 전체(3만600달러)는 물론 중국인(1만6,000달러) 인도인(2만7,400달러) 등 아시아인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소득이다. 한인 남성의 중간소득이 1만5,300달러로 여성(8,600달러)보다 많았고 뉴질랜드 출생 15세 이상 한인의 중간소득은 0인 반면 해외 출생 한인은 1만2,00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한인들이 아직 경제활동에 참여할 연령이 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인의 63.9%가 연간소득 2만달러 이하였고, 7만달러가 넘는 고소득자는 3.5%로 조사됐다. 임금 또는 급여 등의 수입이 있는 한인은 2006년 26.2%에서 지난해 38%로 늘었다. 복지수당을 받는 한인은 여성이 19.2%로 남성(18.2%) 보다 많았다.

■ 중간소득
포커스 6.jpg

■ 개인소득원
포커스 7.jpg

멀고도 험난했던 한국과 NZ의 FTA 여정

댓글 0 | 조회 6,098 | 2014.11.25
“한국과 뉴질랜드가 5년 넘게 끌어오던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드디어 끝냈다. 최근 호주 맬버른에서 열린 G2… 더보기

기록적인 감정가 상승의 득실

댓글 0 | 조회 5,988 | 2014.11.12
오클랜드에 집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요즘 오클랜드 카운슬로부터 2014년 주택 재감정 통지서를 받을 것이다. 3년 전에 비해 평균 34%나 상승한 감정가에 주택 소… 더보기

비운의 명마 ‘파랩(Phar Rap)’을 찾아

댓글 0 | 조회 5,952 | 2014.11.11
매년 11월이 다가오면 호주 국민들뿐만 아니라 뉴질랜드 키위들까지 들썩거리게 만드는 행사가 있다. 다름 아닌 멜버른컵 경마대회인데 11월 4일(화) 열린 금년 대… 더보기

국제외교 무대에서 비상하는 NZ

댓글 0 | 조회 4,650 | 2014.10.30
▲ 뉴욕 허드슨 강변의 유엔본부 전경 NZ시간으로 10월 16일(목) 아침, 뉴질랜드가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안전보장이사회(Secu… 더보기

뉴질랜드의 한국인 (下)

댓글 0 | 조회 7,304 | 2014.10.29
통계청이 실시한 ‘2013 인구조사’의 한국인 관련 자료 가운데 마지막으로 가구와 주택 등에 대한 관심가는 내용을 소개한다. 가구 자녀가 있는 부부 가족 형태가 … 더보기

강 건너 불 아닌 일본의 화산 폭발

댓글 1 | 조회 7,466 | 2014.10.15
▲ 화산재에 뒤덮인 온타케 화산의 산장 일본 나가노 현의 ‘온타케(御嶽山) 화산’이 9월 27일(토) 오전 11시 52분(현지시각)에 갑작스럽게 분화, 10월 8… 더보기
Now

현재 뉴질랜드의 한국인 (中)

댓글 0 | 조회 4,825 | 2014.10.14
지난 호에 이어 통계청이 발표한 ‘2013 인구조사’의 한국인 관련 자료 가운데 교육 및 수입 등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을 살펴 본다. 자녀수 한인 여성의 출산율이… 더보기

뉴질랜드의 한국인 (上)

댓글 0 | 조회 9,570 | 2014.09.24
통계청이 최근 ‘2013 인구조사’의 민족별 자료를 내놓았다. 지난해 3월 5일 기준 뉴질랜드에 머문 방문자, 주재원 등 임시 체류자와 영구 거주자를 대상으로 조… 더보기

더 이상 숨을 곳은 없다

댓글 1 | 조회 5,497 | 2014.09.23
총선이 9월 20일(토) 치러지는 가운데 때아닌 스파이 논쟁이 국내 정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9월 17일(수) 아침에 국내 주요 언론들은, 뉴질랜드 정부가 우… 더보기

갈수록 흥미로워지는 NZ 총선

댓글 0 | 조회 3,391 | 2014.09.10
오는 9월 20일(토) 치러지는 뉴질랜드 총선이 투표일이 점점 다가올수록 결과에 대한 섣부른 예측을 불허하면서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40%를 … 더보기

주요 정당의 공약 비교

댓글 0 | 조회 4,814 | 2014.09.09
총선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각 정당의 선거운동 또한 뜨거워지고 있다. 당초 집권 국민당의 무난한 승리가 예상됐던 이번 총선은 지난달 발간된 책자 ‘추잡한 정치(Di… 더보기

예금자보다 대출자가 ‘우선’

댓글 0 | 조회 3,861 | 2014.08.26
대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은행들간의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신규 고객에게 현금을 주는 것은 물론, 기존 고객에도 거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금품을 … 더보기

운전면허 승격, 이젠 늦으면 손해

댓글 0 | 조회 6,712 | 2014.08.26
8월 6일(수) 뉴질랜드 교통부(Minister of Transport)는 국내 운전면허제도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 시행을 예고했다. 개정안에서는 현재는 초보와 … 더보기

‘범죄감소’ 정부발표가 못미더운 까닭

댓글 0 | 조회 2,897 | 2014.08.12
정부는 지난해 범죄가 2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고 발표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더욱 안전하다고 느껴야 맞는데 실상 체감하는 안전도는 그렇지 않다. 거리에서,… 더보기

바이러스 공포로 떨고 있는 지구촌

댓글 0 | 조회 5,899 | 2014.08.08
눈에도 보이지 않는 작디 작은 한 바이러스 때문에 최근 지구촌 주민들이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에서는 영화 ‘아웃브레이크(Outbreak)’가 현실화되는 것… 더보기

안전하게 즐기는 스키(Ⅱ)

댓글 0 | 조회 5,481 | 2014.07.24
▲ 트레블 콘에서 내려다 본 전망 방학을 맞이하자마자 퀸스타운 공항이 방문객들로 넘쳐난다는 보도가 있었다. 평소 퀸스타운 상주인구의 절반 가량인 7천명에 달하는 … 더보기

주택시장 ‘거품’ 꼈다

댓글 0 | 조회 8,256 | 2014.07.22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처음으로 글로벌 주택 경기 보고서를 발표했다. IMF는 ‘글로벌 하우징 워치(www.imf.org/housing)’라는 웹사이트를 … 더보기

안전하게 즐기는 스키

댓글 1 | 조회 5,015 | 2014.07.09
겨울이 되면 우리 머리에 떠오르는 스포츠는 단연 스키이다. 젊은층은 스키보다는 스노보드를 더 선호하는 편이지만 이 역시 스키장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함께 즐기는 레… 더보기

탈세에 가차없는 NZ 조세행정

댓글 0 | 조회 6,384 | 2014.07.08
뉴질랜드의 조세행정은 납세자가 규정을 준수하여 세금을 신고한다는 가정하에 이뤄진다. 그러나 탈세 행위가 적발될 경우 그 처벌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엄중하다. 이… 더보기

순항하는 국민당, 늪에 빠진 노동당

댓글 0 | 조회 4,598 | 2014.06.25
최근 뉴질랜드 국내에서는 정치계의 판도를 뒤흔들만한 대형 스캔들이 잇달아 터져나오면서 정치인들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여기에 인터넷 시대를 실감시… 더보기

‘살과의 전쟁’ 필요한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5,255 | 2014.06.24
체중을 줄여야 하는 뉴질랜드인들이 무려 220만명에 이른다. 이들은 모두 뉴질랜드의 4대 사망 및 장애원인인 뇌졸증, 심장질환, 암, 치매를 일으키는 위험요소가 … 더보기

외국 관광객 자가운전, 이대로 둘 것인가?

댓글 0 | 조회 4,233 | 2014.06.11
Queen’s Birthday 연휴이던 지난 5월 31일(토), 크라이스트처치 인근에서 3명이 숨지는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끔찍한 사고를 낸 운전자는 네덜란… 더보기

너무 잦은 공공기관의 실수

댓글 0 | 조회 3,790 | 2014.06.10
지난해 뉴질랜드 최대 유제품 회사 폰테라는 자사의 유청 단백질 농축물이 식중독과 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보툴리눔 박테리아에 오염됐다고 발표했다. 얼마후 이는 … 더보기

중국인 부자들이 몰려 온다

댓글 0 | 조회 7,902 | 2014.05.27
뉴질랜드가 돈많은 중국인들의 이주 국가로 각광받고 있다. 앞으로 중국인 신흥 부자들의 뉴질랜드 이주가 더욱 많아지고 뉴질랜드 경제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 더보기

NZ 안전 파수꾼, LandSAR

댓글 0 | 조회 2,914 | 2014.05.27
고도성장에 가려졌던 안전불감증이 세월호 침몰이라는 전대미문의 대재난으로 나타나면서 대한민국이 큰 충격에 빠진 지 한 달여가 넘었다. 그 한달 여 동안 고국의 일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