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0 개 11,196 서현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723_6578.jpg

 

우리가 사는 이 지구 상에 있는 수 많은 길 중에서 가장 ‘위험한 길(road)’은 어디에 있을까?

 

이 질문에 답을 원하는 독자들이라면 인터넷에서 www.dangerousroads.org 웹사이트를 찾아 들어가면 어느 정도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웹사이트에서 금년 초 발표했던 ‘most dangerous in the world’ 목록에 뉴질랜드 남섬에 위치한 ‘스키퍼스 캐년 로드(Skippers Canyon Road)’가 당당히 3위 자리에 그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을 아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번 호에서는 이 길이 도대체 얼마나 험하고 위험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중 하나로 뽑혔는지, 그리고 이 위험한 도로 건설의 계기가 됐던 뉴질랜드 골드러시 이야기를 함께 묶어서 소개해본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90040_1112.png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어디?>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남섬 퀸스타운 인근의 쇼트오버(Coronet Peak) 강이 흐르는 계곡을 따라 나있으며 총 길이는 26.5km(16.5마일)에 이른다.

 

퀸스타운을 한번이라도 방문해 본 독자들이라면 북동쪽 인근에 자리잡은 골드 러시 시대에 형성된 애로우타운(Arrowtown)이라는, 마치 한국의 민속촌 같은 오래된 마을도 함께 방문해 본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방문객들이 퀸스타운에서 애로우타운으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가다 보면 퀸스타운의 대표적 스키장인 코로넷 피크(Coronet Peak) 스키장으로 올라가는 길을 만나게 되는데,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이 스키장 진입로를 타고 올라가는 도중에 서쪽으로 갈라지게 된다.

 

이곳부터 종착점까지 이어지는 구절양장의 고갯길이 바로 오늘 소개하는 도로인데, 보통 사람들은 이곳에서 운전은커녕 도로 사진만 쳐다 봐도 오금이 저려올 수 밖에 없게 만든다.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차를 렌트하면 운행이 금지될 뿐만 아니라 보험으로도 보장 받지 못하는 도로가 2곳 있는데 그 중 한 곳은 북섬 북단인 90마일 해변에 난 도로들이며 다른 한 곳이 바로 이 도로이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810_974.jpg
 

 

<퀸스타운 설립자 윌리엄 리스>

 

현재 퀸스타운 중심가에서 와카티푸(Wakatipu) 호수와 접하는 리스(Rees) 스트리트에 있는 조그만 광장에는 한 남자가 양과 함께 서 있는 동상을 발견할 수 있다.

 

동상의 주인공은 윌리엄 길버트 리스(William Gilbert Rees, 1827~1898)로 그는 부인 프란시스(Frances)와 처남인 니콜라스 폰 툰젤만(Nicholas von Tunzelmann)과 함께 퀸스타운 지역에 정착해 이 지역을 개척했던 첫 번째 유럽인으로 기록돼 있다.

 

영국 해군장교 아버지 밑에서 웨일즈에서 태어났던 그는 해군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852년에 호주의 뉴사우스 웨일즈로 이주해 양 목장을 경영하다가 잠시 영국으로 돌아가 사촌이었던 프란시스와 결혼했다.

 

이후 1860년 뉴질랜드로 온 그는 ‘하이 컨츄리(High Country) 농장’을 와카티푸 호수와 카와라우(Kawaru) 강이 만나는 인근에 만들었는데, 현재 이 자리에는 힐튼 호텔이 들어서 있다.

 

그의 첫 정착지였던 마을이자 오늘날 프랭크톤(Frankton)으로 불리는 퀸스타운의 외곽도시는 그의 부인 이름을 딴 것이며, 또한 국내외 관광객들이 언슬로우(Earnslaw) 증기선을 타고 와카티푸 호수를 횡단해 들리곤 하는 왈터 피크(Walter Peak) 농장은 리스와 프란시스 사이의 첫 아들의 이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851_2301.jpg
 

 

<때맞춰 불어온 골드러시 바람> 

 

그런데 리스가 퀸스타운에 정착한 뒤 1년 뒤인 1861년 5월에 오타고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유망한 금맥이 처음 발견되면서 뉴질랜드에서도 본격적인 골드러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원래 뉴질랜드에서는 1800년대 중반에 코로만델 반도에서 고래잡이 선원들에 의해 소량의 금이 발견되고 이후 넬슨에서도 금이 발견됐지만 오히려 뉴질랜드 거주자들이 이보다 앞서 골드러시가 벌어졌던 미국 캘리포니아와 호주 사우스 웨일즈로 떠나는 현상까지도 생기던 참이었다. 

 

그러던 중 오타고 지방의 파머스톤에서도 소량의 금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본격적으로 상업성이 있는 금맥은 광산탐사가였던 가브리엘 리드(Gabriel Read)에 의해 더니든 서쪽의 현재의 로렌스(Lawrence) 인근 지역인 ‘가부리엘스 걸리(Gabriel’s Gully)’에서 발견됐다.

 

이 소식은 삽시간에 전국에 퍼졌으며 그 해 크리스마스 무렵에는 오타고 지역으로 금을 찾아 모여든 사람들만 무려 1만 4천여 명에 달했고, 1861~1864년에 오타고 지역 인구가 400%나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당시 골드러시 바람이 얼마나 크게 불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리스 역시 금맥 찾기에 나섰으며 그와 동업했던 토마스 아서(Thomas Arthur)와 해리 레드펀(Harry Redfern)이 1862년 11월에 쇼트오버 강에서 대규모 금맥을 발견하면서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골드러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당시 아서와 레드펀은 오늘날 ‘아서스 포인트(Arthur’s point)’로 알려진 지역에서 단 3시간 만에 무려 4온스(113g, 약 30돈)에 달하는 금을 발견하는 그야말로 대박(?)을 쳤는데 이들은 이런 사실을 비밀에 부치지 않고 공개했다.

 

그 결과 1864년 2월에는 이 지역의 광부 숫자만 1만 8천 여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퀸스타운에는 호텔과 식당 등이 들어서고 경찰서를 비롯한 법원 등 치안기관들도 설치되면서 본격적인 도시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919_7744.jpg
  

 

<골드러시 계기로 건설된 도로>

 

주지하다시피 당시 골드러시 바람 속에는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도 뒤섞여 있었는데 이들 중 많은 이들이 앞서 소개한 스키퍼스 캐년 로드 건설에도 동원됐다.

 

이 도로는 1883년부터 1890년 사이에 건설됐는데 당시는 이미 골드러시 바람은 한풀 꺾인 상태였지만 채굴은 계속 이뤄지고 있었으며 이들 광부들을 위한 필수품 운반뿐만 아니라 덩치가 큰 채굴장비를 날라야 하는 필요성도 있었기 때문에 도로 건설이 계속됐다.

 

건설에 나선 인부들은 흑색화약과 수제 장비에 의존해 작업해야 했으며 계곡을 끼고 도는 험한 지형에서 펼쳐지는 난공사였던 만큼 당연히 희생도 컸다. 

 

이 도로는 많은 구간이 깎아지르는 절벽 경사면을 따라 좁게 형성돼 있어 노폭이 좁으며 포장도 안된 자갈길인데다가 편암지대의 특성 상 주변 바위도 쉽게 부서지고 파편화돼 비라도 오면 도로가 미끄러운 진흙으로 뒤덮여버린다. 

 

이로 인해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1900년대 들어서도 차량 운행을 금지시키기도 했었는데 도로는 지금도 건설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985_0384.jpg

 

<역사유산으로 보존된 도로> 

 

이 도로는 2006년 12월부터 뉴질랜드 역사유적 7684번으로 지정돼 보존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는 쇼트오버 강에서 이뤄지는 제트스키나 다른 레저 활동을 즐기려는 이들이 투어용 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길이 됐다.

 

대부분의 구간에서 시속 15km 운행이 권장되고 있는데 만약 도중에서 마주 오는 차라도 만나면 둘 중 한 대는 꼼짝 없이 비켜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곳까지 후진해야 한다.

 

길 한편으로 수십 m 낭떠러지가 펼쳐진 좁은 데다 추락방지용 펜스도 없는 길을 후진하고자 한다면 아무리 숙달된 운전자라도 식은 땀 꽤나 흘릴 것을 각오해야 할 텐데, 더욱이 이 길에는 곳곳에 구덩이가 파여져 타이어 펑크 사고도 잦다는 사실까지 알게 되면 보통 사람들은 가보고 싶다는 생각조차 들지 않을 것이다. 

 

실제 이번 기사에서 자동차협회(Automobile Association, AA)의 한 관계자는, 스키퍼스 캐년 로드가 위험한 길 목록의 상위에 올라간 것이 전혀 놀랍지 않다면서, 자신이 한 차례 투어 차량으로 가본 적 있지만 자가운전으로는 가지 않을 거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 도로 주변의 경치는 정말 대단하지만 대부분의 구간에서 머리털이 곤두서는 두려움을 느끼게 되며 구비를 돌아야 하는 곳에서는 특히 더 공포스럽다고 경험을 전했다. 

 

이 길은 이미 예전에도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길 중 하나로 해외언론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으며 현재 유튜브(YouTube) 등에는 관광객들이 찍어 올린 동영상이 여럿 올려져 있기도 하다. 

 

한편 이번 기사에서 나온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길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Turkey - D915 Bayburt Road 

2. India - Keylong-Kishtwar Road 

3. New Zealand - Skippers Canyon Road 

4. France, Italy border (in the Alps) - La piste de l’Amitie 

5. Bolivia - Death Road 

6. Pakistan - Fairy Meadows Road 

7. Siberia - BAM Road 

8. Northern Peru - Ruta 3N 

9. Iceland - Route 622 

 

남섬지국장 서 현 

범죄를 당할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댓글 0 | 조회 11,605 | 2016.06.22
▲ 크라이스트처치 경찰청의 상황실 모니터​최근 ‘정보공개법(Official Information Act)’에 따라 공개된 정부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보다 높은 수익의 투자

댓글 0 | 조회 12,410 | 2016.06.09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가 바닥을 보이던 지난 2009년 3월 10만달러의 현금을 오클랜드 부동산과 주식에 각각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7년이 지난 지금쯤 얼마나 만질… 더보기

겨울은 ‘불조심’의 계절

댓글 0 | 조회 6,308 | 2016.06.08
매일 뉴스를 접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교통사고, 그리고 또 하나가 화재 소식이다. 특히 불기를 가까이 하는 겨울이면 화재 발생이 더 많아져 소방 당국… 더보기

‘학비대출금 난민’ 등장하나?

댓글 1 | 조회 9,102 | 2016.05.26
지난 1월 18일(월) 오클랜드 공항에서는 출국 수속을 밟던 쿡 아일랜즈(Cook Islands) 출신의 한 40대 남성이 경찰에 체포됐다. 체포된 남성의 이름은… 더보기

이민자들의 팍팍한 삶

댓글 0 | 조회 10,957 | 2016.05.25
통계청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연간 순 이민자 수가 6만7,619명을 기록하며 20개월 연속 최고치를 갈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 유입이 지속되면서 이민자들… 더보기

주택 붐, 도대체 언제까지 계속될까?

댓글 3 | 조회 10,370 | 2016.05.12
정부 당국의 부동산 투기 대책이 시행된 지난해 10월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최근 들어 다시 들썩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 동안 … 더보기

살짝 스치기만 해도 아픈 ‘대상포진’

댓글 0 | 조회 11,488 | 2016.05.11
최근 뉴질랜드 신문에 ‘shingles’라는 단어가 자주 눈에 띈다. 이는 이른바 ‘대상포진(帶狀疱疹)’이라는 질병을 의미하는데, 대상포진은 특히 중년의 나이를 … 더보기
Now

현재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댓글 0 | 조회 11,197 | 2016.04.29
우리가 사는 이 지구 상에 있는 수 많은 길 중에서 가장 ‘위험한 길(road)’은 어디에 있을까?이 질문에 답을 원하는 독자들이라면 인터넷에서 www.dange… 더보기

태평양의 스위스를 꿈꾸는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7,346 | 2016.04.28
몰타의 집권 노동당 부당수인 콘라드 미찌(Konrad Mizzi) 보건·에너지 장관과 멕시코 재벌 주안 아만도 히노조사(Juan Armando Hinojosa)는… 더보기

뉴질랜드의 트럼프 같은 이들

댓글 0 | 조회 7,473 | 2016.04.14
미국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지난해 7월 경선 후보로 나서면서 거친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 더보기

아무도 말해 주지 않은 NZ에 대한 15가지 사실들

댓글 1 | 조회 12,924 | 2016.04.13
최근 국내의 한 일간신문에 뉴질랜드에서 2년간 거주했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한 여성이 자신이 그동안 겪었던 뉴질랜드 생활의 이모저모를 올려 화제가 됐다.‘15 t… 더보기

뉴질랜드 대학 졸업장의 가치는?

댓글 0 | 조회 14,087 | 2016.03.24
오는 2019년까지 뉴질랜드 대학생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유인즉 굳이 대학을 가지 않고도 취업할 수 있는 고용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학생융자를 … 더보기

총기관리, 이대로 두어도 좋을까?

댓글 0 | 조회 8,957 | 2016.03.23
최근 국내 곳곳에서 각종 총기 사고가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총기관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총기 소지가 비교적 자유로운 뉴질랜드에서 최근에 벌어… 더보기

휴대폰은 알고 있다. 당신이 휴가 갔던 곳을

댓글 0 | 조회 7,798 | 2016.03.10
매년 그렇듯 지난 연말연시 동안에도 수많은 뉴질랜드인들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집을 떠나 국내외 여러 휴양지들을 찾아 각양 각색의 방법으로 휴가들을 즐기고 돌아… 더보기

‘균형’ 있는 세무조사 이뤄져야

댓글 0 | 조회 7,012 | 2016.03.09
세무당국이 올해 들어 세금 추적의 고삐를 더욱 세게 죄고 있다. 현금거래 조사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처음으로 학생융자 체납자를 체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 더보기

가자 뉴질랜드로

댓글 1 | 조회 12,012 | 2016.02.25
이민과 유학, 관광 등을 목적으로 뉴질랜드를 찾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 지난해 순 이민자 수는 6만4,930명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관광객은 300만명을 … 더보기

키위 손님은 사절?

댓글 1 | 조회 10,077 | 2016.02.24
최근 남섬 북부에 위치한 도시인 블레넘(Blenheim)에서 영업 중인 백패커스를 포함한 저렴한 비용의 숙소들이 내국인(Kiwi)들의 숙박을 아예 사절하고 나섰다… 더보기

사상 최저 금리 시대 오나

댓글 0 | 조회 9,132 | 2016.02.11
​2014년 기준금리를 네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인상했던 중앙은행은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같은 포인트씩 인하하여 2.5% 제자리로 돌려놨다. 2.5%의… 더보기

지구촌 주민들을 떨게 만드는 모기들

댓글 0 | 조회 6,560 | 2016.02.10
새해 벽두부터 2014년에 서부 아프리카에서 시작됐던 에볼라(Evola) 바이러스 악몽을 떠올리게 하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해 지구촌 주민들을 걱정스럽게 만드는… 더보기

뉴질랜드에도 ‘하우스푸어’

댓글 1 | 조회 11,913 | 2016.01.28
한국에서는 몇 년 전 집을 보유하고 있지만 무리한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 때문에 빈곤하게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하우스 푸어(house poor)’라는 신조어가… 더보기

스피드 카메라 매출액이 100만불?

댓글 0 | 조회 6,937 | 2016.01.27
작년에 전국에 설치된 경찰의 과속 단속용 카메라, 일명 스피드 카메라 중에서 가장 많은 운전자들을 적발해 낸 곳은 어디일까?경찰에 의해 확인된 정답은 웰링톤 북쪽… 더보기

사하라 사막처럼 목마른 노스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7,363 | 2016.01.14
지구촌 곳곳이 17년 만에 다시 도래한 ‘슈퍼 엘니뇨(El Nino)’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미국 뉴욕은 144년 만의 최고기온인 … 더보기

새해 이민자들의 꿈

댓글 0 | 조회 7,924 | 2016.01.13
2016년 병신년의 해가 솟았다. 새해가 되면 누구나 한번쯤 소망을 품게 된다. 남태평양의 외진 섬 뉴질랜드에서 제2의 삶을 일구고 있는 이민자들에도 꿈은 있다.…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5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5,219 | 2015.12.23
■ 시중 은행들의 전례없는 대출 경쟁 연초부터 시중 은행들이 대출 고객들에 현금 또는 사은품을 제공하는 등 치열한 대출 경쟁을 벌였다. Kiwibank는 중앙은행… 더보기

개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면?

댓글 0 | 조회 6,796 | 2015.12.23
지난 12월 1일(화) 아침 6시 30분 무렵에 더니든의 한 주택가에서 신문을 배달하던 50대 여성이 3마리의 개들로부터 공격을 당해 큰 부상을 입는 사고가 났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