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의 현대 물리학적 접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천부경의 현대 물리학적 접근

dalhee
0 개 1,537 여실지

천부경은 약 1만년전에 전해졌다는 우리 민족의 최초의 경전에 가깝고 그후 통일 신라의 최치원이 한문으로 다시 펼쳐냈다. 그 이후 많은 이들이 천부경을 해석하고 설명해왔으나, 내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쉽게 이해 하기가 힘들었고, 새로운 방향에서 해석을 해보려 한다. 


지면의 한계로 바로 본론에 들어가겠다. 현대 과학은 빅뱅이라는 대 폭발에서 우주가 시작되었다 주장한다.  천부경은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로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이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으로 끝난다. 하나가 시작 되었으나 그 시작된 하나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고 그 하나가 끝나는 것도 그 끝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 라는 뜻이다. 


천부경은 이 두문장사이에 신비스럽고 무한한 수리 철학이 들어가 있다. 일시(一始)는 시작된 것이 있다는 것인데, 시작은 무엇인가? 운동이다. 하나가 시작 되었다는 것은 운동이 시작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시작 된 운동이 왜 없다는 것인가? 


우리는 사물이나 사건을 볼 때 있다 아니면 없다로 대개 판단을 한다. 있다고 하는 것은 우리가 인식한다는 것이고 인식을 못하는 것은 없다고 얘기한다. 이것이 일시무시일이다. 하나가 시작해서 움직였다는데 그것은 우리의 인식 범위를 벗어나면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움직인다면 어떻게 움직이는가?


움직인다면 반드시 속도가 있다. 빅뱅이 처음 시작 할 때를 플랭크 타임이라 한다. 그때의 폭발 속도가 1/10^43 초로 움직였다. 빛의 속도가 1초에 30만 km를 움직이는데, 이 빛의 속도의 약 1억배 정도로 빠른 속도로 폭발을 한다. 이렇게 움직이는 세계는 우리에게는 없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인식이 불가능하다. 눈을 감았다 뜬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하나가(대폭발) 시작되었는데, 무(無)/ 시일(始一) 이다. 있기는 있지만 우리에게 인식이나 감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속도로 움직이면서 팽창을 했다. 이 속도로 팽창한 것을 인플레이션이라 칭한다. 무에서 엄청난 속도로 팽창이 시작되었다. 이것이 있는데 없는 것이다. 또한 이 폭발 당시 온도가 태양 중심 온도의 약 10만배라 한다. 태양 중심 온도가 1500만도 이니 10만배면 약 1조 5천억도 정도이다. 히로시마 원폭 때 지표에 도달한 온도가 약 8000도 이고 이때 건물이고 뭐고 녹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기체화 되어 증발 해버렸다. 1조 5천억도는 우리가 알 길이 없다. 있긴 있는데 없다는 것이다. 


일시무시일 이 다섯 글자가 빅뱅이 시작됐을 때 무엇이 있었던 것은 분명한데 우리에게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1/10^43초의 속도로 팽창하면서 3분만에 거의 기본적인 우주의 구조를 완성했다. 인플레이션 상태로 3분동안 창조가 되고 그 다음 발전되지 않은 상태로 40만년이 지났다. 3분뒤 40만년 동안 그냥 있었던 것이다. 


이때 대폭발 이후 40만년이 지난 우주의 모습을 COBE 위성이 그림으로 나타냈는데 그 모습이 태극의 모양과 거의 같다. 빨간 부분이 온도가 높은 곳이고 파란 부분이 낮은 곳이다. 아마 그들이 의도적으로 동양의 태극을 그려내지 않았다면 실제로 태극이 빅뱅이 당시 존재했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7573f9d87bbcd3ece60b007eec936c96_1598330109_7334.jpg
 

우리가 전통적으로 알고 있는 태극의 의미는 음과 양이 아직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너지 즉 세상의 만물이 나타나기 전의 가장 근원적인 힘과 힘이 함축되어 있는 상태를 뜻한다. 여기에 대해서 지금까지 우리는 뚜렷한 이해가 없이 추상적인 설명을 통해 전해 들어 왔고, 그 어디에서도 깔끔하게 설명해 준 자료나 강의는 보기가 힘들었다. 


그에 반해 COBE 위성이 보여주는 40만년 후 이 그림은 (구글에 들어가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다) 태극기의 태극의 모습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던 태극의 개념이 단지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빅뱅의 한 단계에 실재 했던 모습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그 당시 어떻게 이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을까? 도무지 알 방법이 없지만 참으로 경이롭고 감탄스러운 뿐이다. 오랜 세월동안 암호와 같았던 천부경의 문장이 빅뱅이론과 현대물리학을 만나서 보다 더 뚜렷하고 명백하게 해석이 될 수 있음은 이 시대의 큰 행운이라 본다. 


일반인들에게 다소 난해하고 생소할 수는 있으나, 지면을 통해 최선을 다해 소통하고 싶은 것이 나의 간절한 소망이다. 지면의 한계로 일시무시일 다음 문장들을 설명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으나 후일을 기약하면서 천부경 첫 문구에 대한 나의 견해를 마치려 한다. 



* 해석에 앞서 우선 ‘무’ 라는 개념은 ‘없다’로 이해하기 보다, ‘우리가 인식할 수 없다’로 이해하면 더욱 쉽게 정리가 되리라 본다. 더불어 ‘일’은 대폭발(빅뱅), ‘시’:시작, ‘무’: 우리의 인식이 감지할 수 없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겠다. 

정리하자면 ‘일시무시일’이란, 어느때 대폭발이 시작되어 우주가 펼쳐지기 시작했고 더불어 시간과 공간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그 대폭발의 시작을 우리의 인식구조나 우리의 차원으로는 이해하거나 설명하기가 어렵다, 라고 필자는 해석 해 본다.


■ 김기태
- 교민 김 기태씨는 2012년에 뉴질랜드 이민와서 실비아파크 우미 일식레스토랑 경영과 하윅 유학원에서 수학을 가르쳤었다.
Now

현재 천부경의 현대 물리학적 접근

댓글 0 | 조회 1,538 | 2020.08.25
천부경은 약 1만년전에 전해졌다는 우리 민족의 최초의 경전에 가깝고 그후 통일 신라의 최치원이 한문으로 다시 펼쳐냈다. 그 이후 많은 이들이 천부경을 해석하고 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