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精神疾患)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이현숙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멜리사 리
수필기행
조기조
김지향
송하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박종배
새움터
동진
이동온
피터 황
이현숙
변상호경관
마리리
마이클 킴
조병철
정윤성
김영나
여실지
Jessica Phuang
정상화
휴람
송영림
월드비전
독자기고
이신

정신질환(精神疾患)

0 개 1,367 박명윤

매년 신록의 계절 4월이 지나가면 우리가 흔히 ‘계절의 여왕’이라 부르는 5월이 온다. 5월이 되면 녹음이 짙어지고 벌과 나비가 날아들어 식물의 열매를 맺기위한 수정(受精) 활동을 돕는다. 세상에서 자연의 신비함을 느끼는 싱그러운 계절이다. 그러나 화창한 봄날에 역설적으로 정신건강(精神健康)에는 혹독한 계절이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3-5월 봄철에 서울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수가 월평균 300명으로, 연간 자살자 수의 40%를 차지한다. 봄에는 우울증(憂鬱症)과 조증(躁症)이 악화되기 쉽다. 조울증 환자의 자살률은 10-15%에 이를 정도로 높은 편이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ㆍ고등학생 10명 중 3명(27.1%)이 우울감(憂鬱感)을 느꼈다고 한다. 그럼에도 13-24세 청소년 10명 중 1명(10.7%)은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했다. 부모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청소년은 28%에 불과했다. 

 

조울증(躁鬱症, bipolar disorder)은 마음의 병으로 정신의학에서는 ‘양극성 장애’ 라고 부른다. 이는 조증과 우울증의 양 극단 사이에서 기분이 변화하는 특징적인 증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기분 변화는 수시간, 수주 또는 수개월간 지속되기도 한다. 조울증은 전인구의 1% 정도가 평생에 한번은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울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조증보다는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기간이 3배 이상 길다. 

 

조울증에서 나타나는 ‘조증’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기쁜 상태와는 차이가 있다. 물론 가벼운 조증 단계에서는 본인은 물론이고 주변에서도 질환을 감지하기 쉽지 않아서 그저 활기찬 상태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직업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이 크게 증가하고 점점 도가 지나쳐서 문제가 생긴다. 다양한 활동을 이것저것 시작하기도 하고, 과한 자신감으로 고집이 세져서 주변 사람들과 마찰을 빚거나 싸움을 하기도 한다. 

 

조울증은 우울한 증상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나기 때문에 우울증으로 오인돼 정확한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치료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우울증은 사실 조울증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비슷하게 우울한 모습을 보이더라도 조울증과 우울증은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조울증에는 기분 조절제라고 불리는 항정신병 약물 등이 사용되지만, 우울증은 항우울제를 사용한다. 약물치료로 증상이 완화된 경우에는 정신치료를 함께 실시하면 효과가 좋다. 이는 조울증 발병에 영향을 미친 심리적 원인을 해결하고, 의사소통 능력를 증진시키며 대인관계를 호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울증(Depression)은 중년이후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정신 장애이며, 증상은 다양하다. 우울한 기분이 드는 것은 기본이며, 무기력과 불안이 동시에 나타나거나 죄책감(罪責感)이 들 때도 있다. 이런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질병으로 본다. 따라서 이런 증세가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서 환자가 우울증인지, 아니면 다른 질병이 원인인지 밝히기 위해 상담과 문진부터 시행한다. 즉, 갑상성(甲狀腺)의 기능이 떨어져 우울증으로 보이는 사례도 있으며, 복용하는 약 때문에 우울감이 생기기도 하고 음주 후 상습적으로 우울해지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암(癌)과 같은 중증 질환이 원인이 돼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 

 

중년 이후에는 육체적 질병과 심리적 질병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쪽에도 문제가 생기는 식이다. 예를 들면, 기분이 우울하면 뇌(腦)기능이 떨어지고, 약을 처방하여 뇌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기분이 좋아진다. 이에 중년 이후에는 심리적으로 건강하면 다른 질병도 극복할 수 있다. 우울증이 있는 중년 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우울증부터 치료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4-5배 높았다. 

 

중년 이후로는 뇌가 노화하면서 전반적으로 고집이 세지고 억제력이 떨어지므로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정신장애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병이지만, 그 전에 라이프스타일(life style)을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하고,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며,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한다. 

 

생활 리듬이 깨지면 호르몬 주기도 바뀌어 버린다. 예를 들면, 수면이 불규칙하면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onin) 분비도 불규칙해져 무기력증과 우울감이 올 수 있다. 유산소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뇌유래신경성장인자(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분비량이 늘어나 기억과 학습 등을 담당하는 뇌 해마(海馬, hippocampus) 부위 신경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긴장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복식호흡, 요가 등이 좋다. 

 

국내 정신의학계에서 최고 권위있는 학회로 평가받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권준수 서울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권장하는 <정신건강에 좋은 생활수칙>은 다음과 같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은 해방 직후 1945년 9월에 조선정신신경학회로 창립된 후 1955년 6월 학회 명칭을 대한신경정신의학회로 개칭하였다. 학회의 목적은 신경정신의학을 발전시키고,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며, 회원들의 친목 도모와 권익을 신장시킨다. 

 

▲ 긍정적으로 세상을 본다. 

▲ 감사하는 마음으로 산다. 

▲ 반갑게 마음이 담긴 인사를 한다. 

▲ 하루 세끼를 맛있게 천천히 먹는다. 

▲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 누구라도 칭찬한다. 

▲ 약속 시간에 여유 있게 가서 기다린다. 

▲ 일부러라도 웃는 표정을 짓는다. 

▲ 원칙대로 정직하게 산다. 

▲ 때로는 손해 볼 줄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계 최대의 학술제전인 대한의사협회(Korean Medical Association: KMA) 2017년 제35차 종합학술대회에서 <대국민 건강 선언문>을 발표했다. 대국민건강선언문은 무분별하게 범람하는 의료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는 우리 국민들이 혼선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건강관련 이슈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대국민건강선언문은 <건강생활 10계명(Ten guidelines for a healthy life)>이라고 할 수 있다. 

 

대국민건강선언문(100세 건강을 위한 10대 건강수칙)은 

▲ 금연하기 

▲ 절주하기 

▲ 규형식 먹기 

▲ 적절한 신체 운동하기 

▲ 규칙적 수면 

▲ 긍정적 사고방식 갖기 

▲ 정기적 건강검진과 예방접종 챙기기 

▲ 스트레스 관리하기 

▲ 미세먼지, 신종 감염에 대해 관심갖기 

▲ 모바일 기기와 거리두기 등이다. 

 

현대인에게 우울증 다음으로 쉽게 찾아오는 소진증후군(번아웃증후군, Burn-out Syndrome)은 직장인, 학생, 주부 등 연령이나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소진증후군은 정신적ㆍ신체적 피로로 인해 무기력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한 가지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갑자기 모든 에너지가 소진되면서 극도의 무기력증에 시달리다 업무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를 소진증후군으로 볼 수 있다. 

 

소진증후군은 우울증과 증상이 매우 비숫하며, 소진증후군으로 판정된 사람들이 우울증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도 많다. 업무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업일수록 소진증후군에 걸리기 쉽다.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의 죽음, 회사의 도산이나 구조조정 등 극도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도 소진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진증후군이 심해지면 수면장애, 우울증 같은 증상뿐 아니라, 알코올 의존이나 과도한 소비 등 자기 통제가 어려워진다. 감정적으로 심한 무기력과 허무감을 가지게 되어 직장 출근을 거부하거나 갑작스럽게 사직하기도 한다. 이는 단순한 슬럼프(slump)와는 달리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 영향을 끼친다. 소진증후군이 지속되면 공허감(空虛感)과 삶의 의미가 사라지고 전형적인 우울증 증상을 보이며 자살 충동에 시달릴 수 있다. 

 

소진증후군 환자는 다음과 같은 감성(感性)을 충전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 세 번 깊게 호흡하면서 호흡의 흐름을 느껴본다. 

▲ 조용한 곳에서 밥을 음미하며 먹는다. 

▲ 하루 10분 정도 사색하면서 걷는다. 

▲ 일주일에 한 번씩 벗과 공감을 얻는 ‘힐링 수다’를 한다. 

▲ 슬픈 영화나 슬픈 작품을 주 1회 감상한다. 

▲ 일주일에 詩 3편을 읽는다. 

▲ 스마트폰 없이 당일치기 기차 여행을 한다. 

 

정신건강(精神健康, mental health)은 인간의 심리적 기능이 어느 정도 정상적인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정신건강 없이 국민건강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정신건강 증진 방안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봄 같지 않은 봄

댓글 0 | 조회 1,702 | 2020.03.31
‘코로나19가 종식되었다’ 4월 1일 만우절(萬愚節, April Fool’s Day) 아침에 듣고 싶은 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2… 더보기

코로나 블루(Corona Blue)

댓글 0 | 조회 4,983 | 2020.03.21
지난 2015년 당시 박근혜정부는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증후군) 초기 방역이 실패하여 확진자 186명이 발생하였으며 38명이 사망했다. 2020년 문재인정부도… 더보기

바이러스성 질환과 면역력 강화

댓글 0 | 조회 3,671 | 2020.03.07
면역(免疫, Immunity)이란 전염병(疫)을 면(免)한다는 뜻으로 체내에 병원체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말한다. 요즘 … 더보기

토모테라피(TomoTherapy)

댓글 0 | 조회 1,812 | 2020.02.21
우리나라에서 전립선암(前立腺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년 전 대비 50대는 55%, 60대는 37%, 70대는 24%, 80대는 14%가 증가했다. 전립선암은… 더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댓글 0 | 조회 2,472 | 2020.01.29
달콤한 나흘간의 설 연휴가 끝난 다음날(1월 28일) 아침에 배달된 신문 1면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의 사진과 ‘우한 폐렴’ 방역이 뚫렸다는 머리기사가 실… 더보기

송어ㆍ산천어ㆍ빙어 축제

댓글 0 | 조회 1,602 | 2020.01.25
겨울철이 되면 강원도에서는 평창 ‘송어’ 축제, 화천 ‘산천어’ 축제, 인제 ‘빙어’ 축제 등 물고기 이름을 딴 축제(祝祭)가 열리고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 더보기

과음, 숙취 그리고 술국

댓글 0 | 조회 1,705 | 2020.01.14
‘올해가 가기 전에 한 잔하자’는 친구들, 한해를 되돌아보는 송년회(送年會) 그리고 새해을 맞이하는 신년회(新年會)에서 술잔을 기울일 모임이 잦아지는 계절이다. … 더보기

위암(胃癌)과 대장암(大腸癌)

댓글 0 | 조회 1,393 | 2019.12.23
한국인은 짠 음식을 즐겨먹는 식습관 때문에 위암과 대장암은 가장 주의해야 할 질환이다. 특히 잦은 음주와 가공식품 섭취, 자극적인 음식의 영향으로 젊은층에서 위암… 더보기

연근과 우엉

댓글 0 | 조회 1,807 | 2019.12.07
요즘 우리집 식탁에는 가을 제철요리로 연근(蓮根)조림과 우엉(牛蒡)조림이 자주 올라와 맛 있게 먹고 있다. 가을은 ‘땅속의 보물’ 이라 불리는 뿌리채소가 제철이다… 더보기

다양한 ‘사과’ 품종

댓글 0 | 조회 2,253 | 2019.11.23
요즘 대구(大邱)는 세계적 ‘물(水)의 도시’를 꿈꾸며 대구시가 심혈을 기울여 건립한 ‘국가물산업클러스터(cluster)’의 개소식이 열려 물과 관련된 국내 물산… 더보기

‘통증의 왕’ 대상포진(帶狀疱疹)

댓글 0 | 조회 2,131 | 2019.11.09
낮과 밤의 기온이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換節期)가 되면 우리 몸은 쉽게 지치고 면역력(免疫力)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이처럼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걸… 더보기

장어(長魚)

댓글 0 | 조회 2,078 | 2019.10.19
‘PTC 7080모임’의 9월 월례회를 양평 두물머리 맛집인 ‘운길산 장어’에서 열었다. 61년전인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된 Pine Tree Club(P… 더보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날

댓글 0 | 조회 2,101 | 2019.10.05
당신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수치(數値)를 아십니까? 대개 자신의 혈압(血壓)과 혈당(血糖) 수치는 알면서도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더보기

냉면(冷麵)

댓글 0 | 조회 1,737 | 2019.09.21
요즘처럼 무더운 여름날에 가장 먼저 생각나는 음식이 냉면이다. 얼음 조각을 띄운 육수(肉水)에 담긴 면 위에 계란 반쪽과 편육을 얹고 식초와 겨자를 넣어 후루룩 … 더보기

부정맥(不整脈)

댓글 0 | 조회 1,722 | 2019.09.07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벤처기업(venture business) 창업이 활성화되고, 민간에서 주도하는 창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생전에 강조… 더보기

근감소증(筋減少症)

댓글 0 | 조회 1,447 | 2019.08.24
근감소증이란 나이가 들면서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근육량이 줄어들지만, 근육 감소가 정상범위를 넘으면 신체활동이 떨어져 삶의 … 더보기

연꽃이 피는 계절

댓글 0 | 조회 1,761 | 2019.08.10
연꽃(lotus)이 피는 계절이 오면 필자는 가족과 함께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西三陵) 인근에 위치한 오리요리 전문점 <너른마당>을 찾아 연못에… 더보기

변실금(便失禁)

댓글 0 | 조회 2,311 | 2019.07.20
“나도 모르게 찔끔찔끔 변이 새나요?” 소변이 찔끔찔끔 새는 요실금(尿失禁)처럼 대변이 새는 것을 변실금(便失禁)이라 한다. 우리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 더보기

기생충(寄生蟲)

댓글 0 | 조회 1,827 | 2019.07.06
50여년 전 1965년 1월 필자가 UN공무원(official of the United Nations)으로 임용되어 UNICEF(국제연합아동기금)에 근무할 당시 … 더보기

치매친화 사회

댓글 0 | 조회 1,717 | 2019.06.22
지난 4월 초에 이순재와 정영숙 등이 주연한 로맨스 영화 <로망>이 개봉되었다. 이창근 감독의 이 영화는 결혼 45년차인 75세 조남봉(이순재 분)과 … 더보기

순 채소(눈경 채소)

댓글 0 | 조회 2,063 | 2019.06.08
채소(菜蔬, vegetable)를 북한에서는 ‘남새’, 중국에서는 ‘소채’, 일본에서는 ‘야채’ 라고 한다. 채소는 주로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間… 더보기

현재 정신질환(精神疾患)

댓글 0 | 조회 1,368 | 2019.05.25
매년 신록의 계절 4월이 지나가면 우리가 흔히 ‘계절의 여왕’이라 부르는 5월이 온다. 5월이 되면 녹음이 짙어지고 벌과 나비가 날아들어 식물의 열매를 맺기위한 … 더보기

조현병(調絃病)

댓글 0 | 조회 1,913 | 2019.05.11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해 발생한 ‘묻지마 범죄’로 인하여 조현병에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지난 4월 17일 경남 진주시 가좌동 주공아파트의 방화ㆍ살인 사건으로 … 더보기

노니(Noni)와 커피(Coffee)

댓글 0 | 조회 3,129 | 2019.04.19
베트남을 관광하는 한국인이 즐겨 구입하는 품목에는 노니(Noni)와 커피(Coffee)가 있다. 필자가 지난 3월 가족여행으로 택한 베트남 관광지 방문코스에도 노… 더보기

출산율 재앙

댓글 0 | 조회 1,784 | 2019.04.06
2018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한 ‘출산율 1명 미만’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인구동향조사 출생ㆍ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