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유병률(癡呆 有病率)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치매 유병률(癡呆 有病率)

0 개 1,391 박명윤

2013년에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 우리 사회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질병 두 가지로 암()과 치매(癡呆)가 꼽혔다. 같은 조사에서 치매는 예방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19.0%, 치료받을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사람도 15.7%에 달했다. 우리가 치매를 암보다 더 두렵다고 말하는 것은 암 환자는 마지막까지 가족의 사랑을 받으면서 저 세상으로 떠나지만, 치매 환자는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른 채 이 세상을 하직하기 때문이다

 

치매(dementia)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정신이 없어진 것(정신적 추락)’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옛 어른들은 ‘노망(老妄, 늙어서 잊어버리는 병)’ 또는 ‘망령(妄靈, 영을 잊는 병)’이라고 불렀다. 치매란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을 말한다.

 

치매의 원인으로 전반적인 뇌기능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특히 신경퇴행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전체 치매의 50-60%를 차지하며,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20-30%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알코올성 치매, 외상 후 치매 등 기타 원인에 의한 치매라고 볼 수 있다. 치매의 증상은 다양하며, 현재까지 발생기전이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확실한 치료법도 없는 상태이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이 보건 및 복지 관련 주요 이슈를 제공하여 국가 사회정책에 기여하고자 주간으로 발행하는 <보건복지 ISSUE & FOCUS> 338(2017.7.17 발행)에 보건의료정책실 정영호 선임연구위원과 고숙자 부연구위원의 공동연구인 ‘치매(癡呆)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이 게재되어 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당시 60세 이상인 동일 인구 집단을 1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치매 유병률이 2002년의 0.52%에서 2013년에는 10.70% 20.6배 급증하였다. 한편 Norton 등이 2014년에 제시한 7개의 치매 위험요인(중졸이하 교육 수준,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신체 비()활동, 흡연, 당뇨병, 우울증)이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 치매에의 기여도는 59.69%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치매를 전 세계적으로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공공보건 정책 이슈 중 하나라고 2012년에 발표했다. 세계 알츠하이머병 보고서(2015)에 따르면, 치매 환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약 4678만 명(2015)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 7469만 명, 2050년에는 1 3145만 명(저소득 국가 435만 명, 중저소득 국가 3154만 명, 중고소득 국가 5339만 명, 고소득 국가 4218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2017)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치매환자는 총 724800여 명으로 이 중 여성이 517500여 명으로 남성보다 많다. 치매 유병률은 10.2%이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認知)장애 환자는 199만여 명(유병률 27.8%)으로 최근 5년 사이 4.3배 증가했다. 한편 중앙치매센터 자료에 의하면 개인이 지불한 진료비와 간병비, 국가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 등 치매 관리비용은 연간 14 7000억 원(환자 1인당 2028만 원)에 이른다.

 

201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 467,752(1등급 37,921, 2등급 71,260, 3등급 176,336, 4등급 162,763, 5등급 19,472) 141,385(30.23%)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뇌졸중도 동시에 앓는 경우는 31,537(6.74%)으로 나타났다.

 

국회(國會)예산정책처는 치매의 사회적 비용이 2013 11 7000억 원에서 2030 23 1000억 원, 그리고 2040년에는 34 2000억 원 등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을 수립하여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복합 만성질환(慢性疾患)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치매 환자가 가장 많이 갖고 있는 만성질환은 고혈압(高血壓)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가 갖고 있는 만성질환에 대한 네트워크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고혈압-위염-만성요통-알레르기-관절염-당뇨병-뇌졸중-우울증-천식-불면증 등의 순으로 만성질환과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의 사망 원인을 분석하면, 치매가 사망의 직접 원인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여타의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하여 사망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질환별로는 순화기계 질환(26.55%)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다. 그다음으로 호흡기계 질환(14.54%), 신경계 질환(11.85%), (11.35%) 등에 의한 사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상북도 안동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초하여 안동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07 7 1일부터 2017 6 30일까지 최근 10년간 치매진단을 받은 2459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안동포(安東布)를 짜는 서후면 저전리가 1.83%로 가장 낮았으며, 이어 임하면 금소2 2.11%, 금소1 2.35% 순이다.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치매유병률이 7.45%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안동포(경상북도 무형문화재 1) 제작은 대마(大麻) 수확 후 삼 찌기, 쪄낸 삼 말리기, 껍질 벗기기, 겉껍질 훑어내기, 계추리바래기(햇볕 활용 표백), 삼 째기, 삼 삼기, 베 날기, 베 매기, 베 짜기, 빨래, 상 괴내기(색깔내기) 순으로 모든 과정이 수작업(手作業)을 통해 이뤄진다. 안동포를 짜는 13단계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뇌() 자극은 물론 손가락을 이용한 말초신경과 소근육(小筋肉) 운동 그리고 함께 공동작업을 하면서 웃고 정다운 대화 등이 인지능력 향상에 기여하여 치매 발생을 예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치매예방 및 관리사업은 ‘치매관리체계 구축’, ‘노인 건강관리’,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등이며 대부분이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수행되고 있다. 치매관리사업에는 국가치매관리사업, 치매상담콜센터는 중앙정부의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광역치매센터 운영, 공립요양병원 기능보강사업 운영,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치매 조기검진 등은 국고(國庫) 보조율이 50-70% 적용되는 국고보조사업으로 이뤄지고 있다.

 

효율적인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 치매 진단 이전에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관리하여야 한다. 우선적으로 검진을 통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강 저해요인으로 생각하는 운동부족, 비만, 흡연, 고혈압, 우울증, 당뇨 등이 치매의 위험요인으로도 인정되는바, 전반적인 건강증진과 예방 강화를 통해 치매 예방도 기대할 수 있다. 치매 발생 요인을 관리하여 치매를 예방, 조기 발견하여 중증화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인지(認知)장애자가 치매 환자로 진입하지 않도록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치매관리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광역치매센터, 치매상담센터 등이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관리 및 감독 하에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치매는 1차 의료 또는 보건기관에서 2, 3차 의료서비스로 의뢰하는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서비스와 사회서비스를 통합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치매를 관리하며, 가정에서 시설 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치매 환자의 유병인구 증가와 함께 치매 환자를 치료 및 수발하기 위한 비용과 사회적 부담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리나라도 치매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일차적 의료의 기능을 강화하고, 치매관리사업이 분절되지 않고 연계되어 치매 진단과 치료, 관리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는 보건의료 및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치매는 아무나 걸리는 운명과 같은 질병이 아니기에 어떤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예방이 가능하다. 우선 규칙적으로 육체적(肉體的)운동을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해야 하며, 특히 걷기운동이 좋다. 정신적(精神的)운동으로 두뇌 자극 활동을 활발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독서와 글쓰기가 좋은 것은 뇌의 기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치매 예방을 위해 식생활도 중요하므로 매일 다양한 식품으로 구성된 균형식(均衡食)을 먹으며, 뇌 건강에 좋은 생선, 견과류 등도 충분히 먹는 것이 좋다. 과식(過食)과 과음(過飮)은 피해야 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은 인지력 감퇴가 빠르게 진행되므로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긍정적인 생활 태도가 중요하므로 평소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사람들과 자주 어울리고 많이 웃도록 한다. 흡연은 치매 위험성을 높이므로 금연(禁煙)하여야 한다. 

장수촌의 영혼과 정신건강

댓글 0 | 조회 1,414 | 2017.04.08
장수촌 오키나와(Okinawa)에 “인간은 반은 의사(醫師)에게, 반은 무당(巫堂)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속담이 있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인간의 고통을 완전하게… 더보기

폭염과 온열질환자

댓글 0 | 조회 1,409 | 2018.09.08
전국이 불볕더위로 펄펄 끓고 있다. 8월 첫 날 서울 낮 기온이 39.6도까지 오르고 강원도 홍천은 41.0도를 기록하여 공식관측소 기록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 더보기

위암(胃癌)과 대장암(大腸癌)

댓글 0 | 조회 1,401 | 2019.12.23
한국인은 짠 음식을 즐겨먹는 식습관 때문에 위암과 대장암은 가장 주의해야 할 질환이다. 특히 잦은 음주와 가공식품 섭취, 자극적인 음식의 영향으로 젊은층에서 위암… 더보기

코피 아난 UN사무총장

댓글 0 | 조회 1,400 | 2018.09.22
아프리카계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사무총장(제7대, 재임 1997-2006)을 역임한 코피 아난(Kofi Atta Annan)이 지난 8월 18일 향년 80세를… 더보기

쌀밥과 건강

댓글 0 | 조회 1,399 | 2017.02.08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에는 ‘삼시세끼’ 아침ㆍ점심ㆍ저녁 세 끼니(three meals)를 제대로 먹기가 어려웠다. 이에 쌀밥을 배불리 먹는 것이 소원이었던 때도… 더보기

사람과 반려동물(伴侶動物)

댓글 0 | 조회 1,398 | 2017.05.16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인구 1000만 시대를 맞아 사람과 반려동물이 더불어 행복한 사회를 만들고 있다. 반려동물에는 전통적인 반려동… 더보기

보양식(補陽食) 장어(長魚)

댓글 0 | 조회 1,392 | 2021.07.10
우리는 지명(地名)을 대면 곧바로 그 지역의 가장 유명한 음식이 떠오른다. 전주하면 ‘비빔밥’, 안동하면 ‘간고등어’, 그리고 고창하면 ‘풍천장어’가 생각난다. … 더보기

현재 치매 유병률(癡呆 有病率)

댓글 0 | 조회 1,392 | 2017.08.16
2013년에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 우리 사회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질병 두 가지로 암(癌)과 치매(癡呆)가 꼽혔다. 같은 조사에서 치매는 예방이 불가능하다고 답… 더보기

황금돼지해 기해년(己亥年)

댓글 0 | 조회 1,390 | 2019.01.12
2019년 기해년(己亥年)은 60년 만의 ‘황금돼지해’라고 한다. 동양철학 중에서 역학(易學)에서 우주 만물을 이루는 5가지 요소(Five Elements)를 오… 더보기

정신질환(精神疾患)

댓글 0 | 조회 1,374 | 2019.05.25
매년 신록의 계절 4월이 지나가면 우리가 흔히 ‘계절의 여왕’이라 부르는 5월이 온다. 5월이 되면 녹음이 짙어지고 벌과 나비가 날아들어 식물의 열매를 맺기위한 … 더보기

탈모증(脫毛症)

댓글 0 | 조회 1,369 | 2021.11.20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인 가을이 깊어가고 있다. 기상학적으로는 보통 9-11월을 가을(autumn)이라고 하나, 천문학적으로는 추분(秋分, 9월 23일경)부터… 더보기

백세인(百歲人) 이야기

댓글 0 | 조회 1,361 | 2018.08.18
백세인(百歲人, Centenarian)이란 100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말한다. 미국의 노년학연구그룹(Gerontology Research Group)은 현대적 … 더보기

소식(小食)과 무병장수(無病長壽)

댓글 0 | 조회 1,360 | 2017.04.11
인생의 진정한 기쁨 중 하나는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 된다(We are what we eat)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 더보기

‘전신면역질환’ 건선(乾癬)

댓글 0 | 조회 1,350 | 2021.11.17
매년 10월 29일은 세계건선협회연맹(IFP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soriasis Associations)이 지정한 세계 건선의… 더보기

불면증(不眠症)

댓글 0 | 조회 1,346 | 2018.04.17
간밤에 편히 주무셨어요? 대한수면학회(Korean Society of Sleep Medicine)는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을 맞아 지난 3… 더보기

오키나와 장수촌(長壽村)

댓글 0 | 조회 1,346 | 2017.03.21
<오키나와 프로그램(Okinawa Program)>은 현대 의학에 정통한 저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객관적인 호적 자료를 갖고 있는 장수촌인 일본의 오키나… 더보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睡眠無呼吸症)

댓글 0 | 조회 1,342 | 2018.04.21
어젯밤 몇 시간 주무셨나요? 국제수면학회(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 WASM)가 권장하는 연령대별 하루 수면시간은 다음과 … 더보기

위암(胃癌, Stomach Cancer)

댓글 0 | 조회 1,333 | 2017.07.22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는 생명을 구합니다.” 경희대학병원 소화기센터 앞에 걸린 대형 액자 속 문구다. 내시경(內視鏡, endoscope)은 의료 목적으로 신체의 … 더보기

우울증과 自殺

댓글 0 | 조회 1,329 | 2017.09.27
마광수(馬光洙) 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우울증(憂鬱症)으로 자택에서 자살했다. 고인은 아파트 베란다에서 스카프로 목맨 채 숨져 있었으며, 주변에서 ‘내… 더보기

대사성질환과 간암

댓글 0 | 조회 1,325 | 2022.02.24
1984년부터 25년간 ‘가족 오락관’을 진행하며 ‘국민 MC’라고 불렸던 방송인 허참이 간암(肝癌) 증세가 악화돼 지난 2월 1일 향년 73세 나이로 별세했다.… 더보기

암(癌)을 손님처럼 대접하기

댓글 0 | 조회 1,320 | 2018.12.21
<나는 삶을 고치는 암 의사입니다> 최근 발간된 이병욱 박사의 저서 제목이다. 그는 외과 의사로 15년 그리고 보완통합의학 전문의로 15년, 총 30년… 더보기

金玉吉·金東吉 교수 추모

댓글 0 | 조회 1,318 | 2022.10.21
김옥길•김동길 남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우리나라 보수진영 원로 인사인 김동길(山南 金東吉) 연세대 사학과 명예교수(부총장 역임)가 향… 더보기

먹거리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댓글 0 | 조회 1,316 | 2021.11.06
10월 1일은 국제채식인연맹(International Vegetarian Union)이 정한 ‘세계 채식인의 날(World Vegetarian Day)’이며, 1… 더보기

세계 콩팥의 날(World Kidney Day)

댓글 0 | 조회 1,307 | 2021.04.06
자신의 콩팥(신장) 한 개를 아버지께 기증한 양지은(31)을 효녀가수(孝女歌手)라고 부른다. TV조선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 <미스트롯2>가 지난 3월 … 더보기

비만(肥滿)의 사회경제적 비용

댓글 0 | 조회 1,296 | 2019.01.26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배가 불뚝 나온 것을 ‘사장님 배’ 라고 부르면서, 비만이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朴正熙(1917-1979)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