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기대수명 90세 돌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국 여성 기대수명 90세 돌파

0 개 1,702 박명윤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Imperial College London) 보건대학 연구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을 대상으로 2030년 출생자 평균 기대수명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녀의 기대수명이 일본 등 세계 장수국가를 제치고 세계 최고에 오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결과보고서는 국제의학학술지 랜싯(Lancet) 최근호(2017 2)에 실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출생 한국 여성과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각각 90.8세와 84.1세다. 수명 연장의 일등공신은 교육과 의료기술, 영양수준 등을 꼽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마지드 에자티 교수는 “한국인은 비만율, 흡연율, 고혈압 유병율 등이 낮다”면서 “높은 의료기술과 의료시설 접근성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010년 통계와 비교하면 수명이 대폭 상승했다. 2010년 한국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은 각각 84.2세와 77.1세로 당시 일본 여성(86.7)과 남성(79.4)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2030년 한국 여성은 전체 조사 대상국 남녀를 통틀어 기대수명 90세를 유일하게 넘겼다. 한국 여성 다음으로는 프랑스(88.6), 일본(88.4), 스페인(88.1) 여성 등이 뒤따랐다.

 

한국 남성(84.1) 뒤에는 오스트리아(84), 스위스(83.9) 등이 근소한 차이로 각축을 벌였다. 한편 미국은 2030년 기대수명이 낮은 범주에 속했다.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은 각각 83.3세와 79.5세로 예측되어 헝가리, 멕시코 등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유는 부실한 의료보험 체계와 임산부 사망률, 비만율, 살인율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 ‘보건계측ㆍ평가연구소’(IHME: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소장 크리스토퍼 머레이 박사와 세계 각국 전문가들이 참가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세계 195개국의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HAQ)를 평가하고 지수로 만들었다. 이는 주민들이 질병 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해 보편적 보건의료 서비스를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효과적인지를 뜻한다.

 

연구팀은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받으면 피할 수 있는 32개 질병의 사망률을 종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했다. 국제의학 학술지 랜싯(Lancet) 최신호에 발표된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은 세계 195개국 가운데 23위로 평가됐다. 한국은 2015년 기준으로 종합 점수 100점 만점에 86점으로 독일, 싱가포르, 뉴질랜드, 덴마크, 이스라엘 등과 점수는 같았으나 순위는 뉴질랜드 다음인 23위를 기록했다.

 

한편 경제력과 군사력에서 세계 최강국이라고 일컬어지는 미국은 81점을 받아 세계 35위에 그쳤다. 북한은 62점으로 우즈베키스탄 등 7개국과 공동 101위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지난 25년 동안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이 가장 많이 향상된 나라로 한국, 터키, 페루, 중국, 몰디브 등을 꼽았다.

 

상위 20개국 중 호주와 일본(11)를 제외하면 모두 서유럽 국가들이 차지했다. 전체 1위는 안도라 공화국(95)이었으며 아이슬란드(94), 스위스(92), 스웨덴(90), 노르웨이(90), 호주(90), 핀란드(90), 스페인(90), 네덜란드(90), 룩셈부르크(89) 등의 순으로 10위권 안에 들었다. 1위를 차지한 안도라(Andorra) 공화국은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 피레네(Pyrenees)산맥에 위치한 인구 8 5천명의 작은 나라이다. 안도라는 나라 전체가 관세가 없는 면세(免稅) 쇼핑 천국이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인 기대수명(2015년 기준) 82.1년이다. 2015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평균 82세까지 생존한다는 이야기다. 또한 여자(85.2)가 남자(79)보다 6년 이상 오래 산다. 한편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2015년 기준)은 기대수명보다 짧은 73.2세였다. 이에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인 8.9년 동안은 다치거나 아픈 상태에서 살아간다는 의미다. 이 격차는 여성이 9.9년으로 남성(8.2)보다 컸다.

 

현재 한국인의 평균수명(平均壽命) 80세가 넘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평균수명(기대수명)과 건강수명(健康壽命)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우리나라 보건의료 분야의 최대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줄여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보건의료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2017년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3.8%로 내년이면 고령사회(노인인구 14%)가 된다. 2026년에는 노인 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인간 수명 100세를 내다보는 각종 의학적 관찰이 나오고 있다. 90대 노부모와 70대 자녀가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치매(癡呆)나 뇌졸중(腦卒中) 등에 시달리면서 장수하는 것은 결코 축복이 아니다. 따라서 건강하게 장수하여야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년도 사망한 65세 이상 노인 112420명을 대상으로 추적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망 전 10년 동안 1명의 노인이 요양병원에서 347일 입원, 요양원에서 287일 입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가운데 요양병원과 요양원에 재원/입소 일수가 3000일 이상인 사람도 1464명에 달했다. 이들은 사망 전 10년 대부분을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보낸 셈이다.

 

이들에게 10년간 들어간 의료비/요양비는 총 3 1644억원이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5655억원을 그리고 노인이 5989억원을 부담했다. 건강보험에서 급여가 지급되는 요양병원은 노인성질환이 심한 사람 등이 입원대상이지만, 치료가 필요 없는 노인들이 입원하는 사례가 많아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 전국에 요양병원 1428곳과 요양원 5,187곳이 운영 중이다.

 

70대 이상 노인들은 인생 황혼 길에서 걸리지 말아야 할 질병으로 대개 세 가지를 꼽는다. 즉 중풍(中風)이라 부르는 뇌졸중, 노망(老妄)이라고 부르는 치매, 그리고 각종 암()이다. 이 세 가지 중에서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이 치매이다암과 뇌졸중은 본인이 자각할 수 있는 질병이므로 자기 자신이 고통을 받는 데 그칠 수 있다. 그러나 치매는 본인은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인 입장에서는 행복(?)하지만, 환자 주변 모두를 황폐화시킬 개연성(蓋然性, probability)이 높기 때문에 가장 악질(惡疾)로 꼽혀 꼭 피하고 싶은 질병이다

 

노부부 중 한 사람이 치매로 고생할 경우 동반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몇 년 전에는 88세 남편이 치매에 걸린 부인을 승용차에 태우고 저수지로 돌진하여 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남편이 남긴 유서에는 “이 길이 우리가 가야 할 가장 행복한 길이다”라고 적혀있었다. 고령화로 급진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준 사건이며, 문제는 앞으로 노부부의 동반자살이 다반사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건강하게 100세 시대를 맞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주변에 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내는 사람들도 많다. 예를 들면, 필자가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인사드리는 김옥라(金玉羅) 박사(신학, 각당복지재단 초대이사장, 세계감리교여성연합회장 역임)는 금년에 99(1918년生)이지만 곳곳한 자세로 걸어 다닌다. 11시 예배 전에 10시부터 시작하는 성경공부에도 참석하고 있다. 또한 평일 아침에는 종로구 신문로 소재 각당복지재단 사무실에서 직원들과 함께 기도를 드리고, 찬송가를 부른다.

 

필자의 빙부(聘父) 이종항(李鍾恒) 박사(법학, 국민대 명예교수, 총장 역임)는 금년 1 98(1919년生)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필자가 지켜본 건강비결은 세끼 식사를 맛있게 먹고, 수면은 8시간 정도 숙면을 취하고, 운동(실내 자전거 타기)도 매일 40분 정도, 그리고 매일 신문을 읽고 취침 전에 일기를 쓰는 습관이 있었다. 매주 토요일 저녁에는 우리 가족 8명과 함께 서울시내 ‘맛집’을 찾아 즐겁게 저녁식사를 하면서 훈훈한 가족 사랑을 나누었다. 감기로 인한 폐렴(肺炎)으로 병원에 약 1주일정도 입원치료 중에 별세했다.

 

노년기에 “아픈 장수(長壽)는 축복이 아니다”라는 것을 명심하고, 평소 건강수칙에 따라 건강관리를 충실히 하여 ‘건강한 장수’를 누리다가 이 세상을 하직하여야 한다. 인생은 “B to D”라는 말이 있다. 즉 출생(birth, )을 의미하는 B와 사망(death, )을 의미하는 D가 있으며, B D 사이에는 C(choice, 선택)가 있다. 이에 당신의 선택에 따라 노후가 ‘아픈 장수’가 될 수도, ‘건강한 장수’가 될 수도 있다. 

의료인 ‘덕분에’ 그리고 역학조사(疫學調査)

댓글 0 | 조회 1,716 | 2020.05.09
코로나19와 사투(死鬪)를 벌이는 의료진(醫療陣)에게 존경과 감사를 전하는 ‘덕분에 챌린지(Challenge)’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 더보기

과음, 숙취 그리고 술국

댓글 0 | 조회 1,714 | 2020.01.14
‘올해가 가기 전에 한 잔하자’는 친구들, 한해를 되돌아보는 송년회(送年會) 그리고 새해을 맞이하는 신년회(新年會)에서 술잔을 기울일 모임이 잦아지는 계절이다. … 더보기

안구건조증(眼球乾燥症)

댓글 0 | 조회 1,713 | 2016.12.07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은 현대인에게 흔한 질환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안구건조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4년 97만명에서 2… 더보기

봄 같지 않은 봄

댓글 0 | 조회 1,709 | 2020.03.31
‘코로나19가 종식되었다’ 4월 1일 만우절(萬愚節, April Fool’s Day) 아침에 듣고 싶은 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2… 더보기

현재 한국 여성 기대수명 90세 돌파

댓글 0 | 조회 1,703 | 2017.06.10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Imperial College London) 보건대학 연구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을 대상으로 20… 더보기

‘힐링(Healing)’ 숲

댓글 0 | 조회 1,702 | 2016.11.28
산림청(山林廳)은 기업과 시민이 참여한 ‘도시녹화운동’으로 조성된 ‘도시 숲’이 지난해 91ha이 조성되었으며, 금년은 지난달 말 현재 신규 도시 숲이 115ha… 더보기

비대면 원격진료

댓글 0 | 조회 1,699 | 2020.06.20
10년째 논란만 벌이던 원격의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사태로 전격적으로 시행되었다. 현행 의료법(醫療法)은 의사가 환자를 ‘직접 진찰’ … 더보기

패혈증(敗血症)

댓글 0 | 조회 1,698 | 2017.07.11
‘연극계 대모’로 불리는 배우 윤소정 씨가‘하늘나라’ 공연을 위해 저 세상으로 떠났다. 지난 50여 년간 영화, 연극, 드라마를 넘나들며 활동해온 윤소정 씨가 지… 더보기

슈퍼푸드 자세히 알아보기

댓글 0 | 조회 1,697 | 2017.10.24
월간 <헬스조선>은 의사ㆍ의료 건강 전문가와 함께 만드는 프리미엄 건강 매거진이다. <헬스조선> 9월호 ‘헬스조선 빅 퀘스천(Big Ques… 더보기

수면무호흡증과 알츠하이머병

댓글 0 | 조회 1,693 | 2017.08.09
미국인들에게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 중 한 사람인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 대통령(제40대, 1981-1989)은 83세가 되던 1994년 11월에… 더보기

가황(歌皇) 나훈아 신드롬(Syndrome)

댓글 0 | 조회 1,692 | 2020.11.21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음악(music)이 육체와 영혼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미주(美洲) 대륙의 원주민들은 수 세기 동안 치료 의식에 노래를 포함시키기도… 더보기

고혈압-고혈당(당뇨병)-고지혈증

댓글 0 | 조회 1,681 | 2021.09.28
한국인의 3대 만성질환인 고혈압(高血壓, Hypertension), 당뇨병(糖尿病, Diabetes), 고지혈증(高脂血症, Hyperlipidemia)을 함께 갖… 더보기

신축년(辛丑年) 소비자 트렌드(Trend)

댓글 0 | 조회 1,676 | 2021.01.09
근하신년(謹賀新年)! Happy New Year! 1월 1일 아침 태양이 장엄하게 떠오르면서 2021년이 시작되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는 우리에게 큰 고통과… 더보기

류큐(琉球)왕국과 오키나와(沖繩)

댓글 0 | 조회 1,673 | 2017.03.14
동양의 하와이, 남국의 파라다이스 등으로 불리는 오키나와(Okinawa)를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다녀왔다. 필자는 몇 년 전에 브래들리 윌… 더보기

코로나19 시대, 당뇨병 관리

댓글 0 | 조회 1,672 | 2021.12.04
“미국의 가장 훌륭하고 충성스러운 군인”으로 칭송받던 콜린 파월(Colin Powell, 1937년생) 전 국무장관(2001-2005)이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지… 더보기

100세 시대에 중요한 정테크(情 Tech)

댓글 0 | 조회 1,660 | 2017.03.28
일본의 장수촌(長壽村)인 오키나와(Okinawa)에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 세상을 살 수 없다.”는 속담이 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사회적 네트워크(s… 더보기

인생주기와 생로병사(生老病死)

댓글 0 | 조회 1,653 | 2018.08.04
“나는 이제 생로병(生老病)은 다 거쳤고 사(死)만 남은 사람이다.” 이는 운정(雲庭) 김종필(金鍾泌) 전 국무총리가 노환(老患)으로 병석에 누워있으면서 한 말이… 더보기

겨울철 굴

댓글 0 | 조회 1,641 | 2019.02.18
‘바다에서 나는 우유(牛乳)’, 돌에 붙은 꽃처럼 생긴 석화(石花) 등은 모두 굴(oyster)을 비유한 말이다. 전남 진도에서는 굴을 ‘꿀’이라고 부른다. 굴맛… 더보기

삶과 죽음(Life and Death)

댓글 0 | 조회 1,625 | 2017.06.14
우리는 누구나 자기가 언젠가 죽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다 죽지만 어떤 죽음은 딱하고 추한 반면, 어떤 죽음은 품위가 있고 의연하게 이 세상을… 더보기

대장암(大腸癌, Colon Cancer)

댓글 0 | 조회 1,610 | 2023.04.07
“보라! 우리는 기쁨에 넘쳐 자유의 횃불을 올린다. 보라! 우리는 캄캄한 밤의 침묵에 자유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一翼)임을 자랑한다...(중략)...보라!… 더보기

송어ㆍ산천어ㆍ빙어 축제

댓글 0 | 조회 1,609 | 2020.01.25
겨울철이 되면 강원도에서는 평창 ‘송어’ 축제, 화천 ‘산천어’ 축제, 인제 ‘빙어’ 축제 등 물고기 이름을 딴 축제(祝祭)가 열리고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 더보기

폐암(肺癌) 유발 ‘라돈’

댓글 0 | 조회 1,605 | 2018.07.21
피해자가 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라돈’ 침대는 얼마나 위험한가? 원자력안전위원회(原子力安全委員會ㆍ원안위)가 라돈(Radon)이 함유된 대진침대 매트리… 더보기

참치(Tuna) 사랑

댓글 0 | 조회 1,597 | 2017.01.25
일본인의 참치 사랑은 유별나다. 이에 일본에서는 새해 첫 참치 경매(競賣, auction)를 잘 받으면 일 년간 운(運)이 좋다는 속설이 있다. 올해 첫 참치 경… 더보기

난청(難聽)과 보청기(補聽器)

댓글 0 | 조회 1,595 | 2020.10.24
귀는 우리 몸의 유일한 청각기관이며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평형감각을 관장한다. 우리가 소리를 듣는 경로는 외이(外耳, 곁귀), 중이(中耳, 중간귀), 내이(內耳,… 더보기

김장문화

댓글 0 | 조회 1,590 | 2020.12.05
“겨울이 오고 있다” 지난 11월 3일에 실시된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재선(再選)에 실패한 트럼프(Donald Trump)는 혹독한 ‘정치적’ 겨울을 맞을 것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