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죽걸산, 더 많이 움직이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누죽걸산, 더 많이 움직이자

0 개 3,824 박명윤

“누죽걸산” 累竹傑山(?) 지난 1 25일에 개최된 대구 경북고등학교(1916년 개교) 39회동창회 신년회에서 동창생 한 사람이 덕담(德談)으로 “누죽걸산”을 언급했다. 이를 한자(漢字)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생각한 동창들은 처음 듣는 관용구(慣用句)여서 어리둥절했다. 그러나 이를 제시한 동창이 “누죽걸산”이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라고 말하여 한바탕 웃으면서 그 뜻에 동감을 표했다.

 

1958 2월 경북고(慶北高)를 졸업한 동창생들은 매월 넷째 수요일 12시에 논현동 소재 70년 전통의 중국요리 맛집 취영루(聚英樓)에서 오찬을 함께 먹으면서 다양한 주제별 강의, 흥겨운 합창 등 알찬 프로그램을 즐기고 있다. 서울에 거주하는 약 250명 중에서 약 50명이 월례회에 참석하며, 취미(등산, 바둑, 골프 등), 종교(기독교, 천주교 등), 그리고 거주지역별 모임을 통하여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이제 희수(喜壽, 77)를 지나 내년부터 동창생들의 팔순(八旬)잔치가 시작된다. 물론 별세(別世)한 동창들도 많다.

 

한자성어(漢字成語) 혹은 고사성어(故事成語)란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 감정, 심리 등을 묘사한 관용구이다. 주로 네 글자로 된 것이 많기 때문에 사자성어(四字成語)라고 일컫기도 하며, 일상생활이나 글에 많이 인용되고 있다. 중국의 약 5천개 성어(成語) 중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것은 270가지 정도이다. 중국의 역사와 고전, 또는 시가(詩歌)에서 나온 말이 대부분이며, 70여종의 문헌과 약 200명에 이르는 인물이 관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고사성어 역시 4자 성어가 많으며, 출처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의 역사서, 춘향전(春香傳) 구운몽(九雲夢)과 같은 고대소설, 순오지(旬五志)와 같은 속담집 등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에는 오비이락(烏飛梨落), 적반하장(賊反荷杖), 초록동색(草綠同色), 함흥차사(咸興差使) 등이 있으며, 우리가 속담처럼 쓰는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등도 모두 한자로 된 성어에서 나온 말이다.

 

()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예로 들면, <교언영색(巧言令色)>은 논어(論語)에서 “말을 잘하고 낯빛을 착한 듯이 하면서 어진 사람은 드물다”에서 유래되어 <다른 사람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며 마음에 없는 말을 하는 것>을 뜻한다. <조삼모사(朝三暮四)>는 중국 송나라 때 저공(狙公)이 자신이 키우는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3, 저녁에 4개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화를 벌컥 냈다. 그래서 반대로 아침에 4, 저녁에 3개씩 준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좋아했다는 데서 나온 말로서 <같은 것을 두고 간사한 꾀로 속여 남을 농락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혹자는 새해 최고의 덕담(德談)으로 “더 많이 움직이세요”를 꼽고 있다. 최근 정서(Emotion)라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연구대상 참가자들에게 건물들이 담긴 동영상을 보여주며 그들의 긍정(肯定) 정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했다. 참가자들은 동영상을 앉아서 보는 경우, 그냥 서서 보는 경우, 러닝머신 위에서 가볍게 걸으면서 보는 경우 등 세 가지 조건에서 시청했다. 연구결과는 사람들의 긍정 정서는 몸을 움직인 러닝머신 조건에서만 유의(有意)하게 증가했다

 

우리는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덕분으로 과거에 비해 덜 움직이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생활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더 행복해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행복의 핵심은 즐거움, 기쁨 등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경험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감정은 정체되거나 안정된 상태보다는 어떤 자극을 향해 움직이는 상태에서 발생하므로 우리는 많이 걷고 움직여야 한다.

 

인생을 멋대로 쉽고 편하게 살려는 사람들의 걸음걸이는 발끝이 벌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걸을 때의 자세가 잘못되어 있다. 건강한 어린이는 <11>로 걷는다. 장수(長壽) 노인들도 발걸음이 벌어지는 각도가 15도에서 20도 정도이므로 이는 거의 11자 걸음이다. 건강한 걸음은 발끝이 바르며 무릎이 서로 닿을 듯 말 듯한 상태이다.

 

옛날 양반들의 걸음걸이가 여덟팔()자 걸음이었으니, 조상님들의 가르침으로 본받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잘못된 생각이다. 팔자걸음은 발끝이 벌어져 있어 발목, 무릎, 허리에 나쁜 영향을 주어 건강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만하고 방자한 마음을 갖게 하므로 피해야 한다.

 

잘못된 자세로 계속해서 걸으면 몸에 피로가 빨리 쌓이고, 관절과 근육에 무리가 간다. 정상적인 걸음은 땅을 딛고 걸을 때 충격을 흡수하지만, 잘못된 걸음 습관은 그렇지 못하여 장시간 보행이 어렵다. 특히 발바닥에 족저근막염(足底筋膜炎, plantar fasciitis), 종아리 근육통, 골반통(骨盤痛), 허리통증 등 전신에 다양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나는 제대로 걷고 있는가? 신발 밑창이 닳는 모양을 보면 걸음걸이를 유추(類推)할 수 있다. , 팔자걸음으로 걸으면 신발 바깥쪽과 뒤쪽이 많이 닳는다. 휴대폰으로 본인이 걷는 모습을 1분 정도 찍어서 직접 보면 자신이 어떻게 걷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자가진단을 통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올바른 걷기 자세는 걸을 때 약 15-20m 앞을 보면서, 턱을 당기고 허리를 똑바로 세운다. 보행(步行)시 무게중심을 자연스럽게 앞으로 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팔다리는 적당히 앞뒤로 흔들어 주며, 어깨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균형을 맞추도록 하여야 한다.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고 운동시작 전 스트레칭을 5-10분정도 하며, 운동 후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바로 운동을 멈추지 말고 가볍게 걷거나 뛰며 마무리한다. 또 약간 긴장하고 걷는 것이 오래 걷는 데 도움이 된다.

 

유산소운동(有酸素運動, aerobic exercise)으로 걷기를 할 때는 천천히 걷기 시작하여 약간 빠른 정도까지 속도를 늘리는 것이 좋다. 일반 성인의 보폭(한 발 내딛는 거리)이 약 70cm 내외이므로 하루 6천보()를 걸으면 4.2km가 된다. 1시간을 보통걸음으로 걸으면 약 180kcal, 그리고 빠른 걸음으로 걸으면 약 240kcal을 소비할 수 있다. 발동작은 발뒤꿈치가 먼저 땅에 닿고, 다음에 발바닥이 닿고 발 앞끝이 떨어지는 순서로 걷는다. 팔꿈치는 90도 각도로 팔의 힘을 빼고 리드미컬하게 움직이며, 발등과 정강이의 각도도 90도를 유지한다.

 

호흡은 마신다-마신다-토한다-토한다 식으로 4 1호흡으로 한다. 운동 강도는 걸으면서 옆 사람과 대화하기가 약간 어려운 정도이거나, 숨이 찰 정도로 해야 한다. 하와이 호놀룰루 심장센터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3.2km이상 걷는 남성의 사망률은 1.6km도 걷지 않는 사람보다 50% 낮았다. 세계보건기구(WHO)도 각종 성인병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필수적인 운동인 걷기를 매일 30분 정도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걷기운동을 하면 근육이 발달하고 심장과 폐가 튼튼해지며, 고혈압과 당뇨병, 비만 등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우유를 <마시는 사람>보다 <배달하는 사람>이 되라고 했다. 우리 인생에서 걷지 못하면 건강이 무너져서 비참한 종말을 맞게 되므로 걷고, 또 걸어야 한다. 운동하는 만큼 건강에 도움이 된다.

 

‘길의 왕’이라 불리는 프랑스 도보(徒步)여행가 베르나르 올리비에(Bernard Ollivier)는 “왜 안 떠나는가? 영원한 휴식을 취하게 될 날이 점점 가까워지는데.”라고 말했다. 올리비에는 30여 년간 프랑스에서 신문사와 잡지사 기자로 일했으며, 은퇴 후 1999년부터 2002년까지 12km에 달하는 실크로드(Silk Road)를 홀로 걸으면서 쓴 여행기 <나는 걷는다>로 세계적인 걷기 열풍을 일으켰다. 2014 74세의 나이로 프랑스 리옹에서 터키 이스탄불까지 2900km를 넉 달에 걸쳐 걸었다. 그는 지난 2012년에는 제주도 올레길을 찾아 걸었다

 

조선 중기 의학자 허준(許浚, 1539-1615) 1610년에 쓴 동의보감(東醫寶鑑)에도 “약보(藥補)보다는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보다는 행보(行補)가 낫다”고 했다. 즉 움직임(걷기)이 좋은 약이나 음식보다 더 좋다는 것이다.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가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 1812-1870)도 “걸어라, 그래서 행복(幸福)하라, 그리고 건강(健康)하라”고 했다. 이를 명심하고 매일 걷기운동을 생활화하여야 한다. 

현재 누죽걸산, 더 많이 움직이자

댓글 0 | 조회 3,825 | 2017.02.22
“누죽걸산” 累竹傑山(?) 지난 1월 25일에 개최된 대구 경북고등학교(1916년 개교) 제39회동창회 신년회에서 동창생 한 사람이 덕담(德談)으로 “누죽걸산”을… 더보기

강봉균 장관, 체장암(膵臟癌)으로 별세

댓글 0 | 조회 2,527 | 2017.02.21
한국 경제의 거목, 강봉균(康奉均, 1943년 生)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1월 31일 향년 7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 전 장관은 2014년 췌장암(膵臟癌) 수… 더보기

행복한 일생 100년

댓글 0 | 조회 1,227 | 2017.02.09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인간의 최대 욕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늙기를 싫어하고 더욱이 죽음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더보기

쌀밥과 건강

댓글 0 | 조회 1,397 | 2017.02.08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에는 ‘삼시세끼’ 아침ㆍ점심ㆍ저녁 세 끼니(three meals)를 제대로 먹기가 어려웠다. 이에 쌀밥을 배불리 먹는 것이 소원이었던 때도… 더보기

참치(Tuna) 사랑

댓글 0 | 조회 1,597 | 2017.01.25
일본인의 참치 사랑은 유별나다. 이에 일본에서는 새해 첫 참치 경매(競賣, auction)를 잘 받으면 일 년간 운(運)이 좋다는 속설이 있다. 올해 첫 참치 경… 더보기

나홀로族 ‘혼술’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2,894 | 2017.01.11
Merry Christmas! 12월 25일, 성탄절(聖誕節)이다. ‘Christmas’란 그리스도(Christ)와 미사(mass)가 합해진 단어로서, 그리스도의… 더보기

나홀로族의 혼밥

댓글 0 | 조회 2,043 | 2017.01.10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근혜(朴槿惠, 1952년 대구에서 출생) 대통령은 공식 만찬행사가 없을 때는 청와대 대통령 관저(官邸)에서 혼자 TV를 시청하면서 저녁… 더보기

항생제 남용과 수퍼 박테리아(Super-bacteria)

댓글 0 | 조회 2,653 | 2017.01.04
세계보건기구(WHO)는 카바페넴(carbapenem)과 콜리스틴(colistin) 항생제(抗生劑)가 듣지 않는 mcr-1 유전자 내성균(耐性菌)이 사람에게서 발견… 더보기

지역별 암(癌) 발생률

댓글 0 | 조회 2,621 | 2016.12.21
우리나라에서 암은 흔한 질병으로 137만명 가량이 암 경험자이다. 암 경험자란 현재 암으로 치료받는 환자와 과거 암을 앓았지만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사람을 포함… 더보기

공황(恐慌)장애(panic disorder)

댓글 0 | 조회 2,238 | 2016.12.20
국회에서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國政壟斷)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국조특위 2차 청문회가 지난 12월 7일 열렸다. 이른바 ‘최순실 게… 더보기

겨울철 별미, 과메기

댓글 0 | 조회 2,080 | 2016.12.13
겨울철 별미(別味)로 과메기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전국 과메기의 약 90%가 경북 포항 구룡포에서 나온다. 필자는 몇 년 전에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더보기

안구건조증(眼球乾燥症)

댓글 0 | 조회 1,712 | 2016.12.07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은 현대인에게 흔한 질환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안구건조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4년 97만명에서 2… 더보기

다산(茶山)의 가족사랑

댓글 0 | 조회 1,237 | 2016.12.06
망팔(望八)을 바라보는 경북고 39회 동창생과 가족 60여명은 가을의 끝자락인 지난 10월 26일 서울 인근 곤지암 화담(和談)숲에서 오색의 가을 단풍을 감상하면… 더보기

‘힐링(Healing)’ 숲

댓글 0 | 조회 1,700 | 2016.11.28
산림청(山林廳)은 기업과 시민이 참여한 ‘도시녹화운동’으로 조성된 ‘도시 숲’이 지난해 91ha이 조성되었으며, 금년은 지난달 말 현재 신규 도시 숲이 115ha… 더보기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

댓글 0 | 조회 3,753 | 2016.11.22
속담에 ‘이(齒)가 오복(五福)에 든다’고 하는 것은 치아(齒牙)가 좋아야만 건강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 듯하다. 오복이란 우리나라 사람들이 예부터 즐겨 사용… 더보기

골다공증(骨多孔症)

댓글 0 | 조회 1,985 | 2016.11.08
10월 20일은 ‘세계 골다공증(骨多孔症)의 날’이다. 세계 골다공증의 날(World Osteoporosis Day, WOD)은 국제골다공증재단(Internati… 더보기

식도암(食道癌)

댓글 0 | 조회 2,936 | 2016.10.27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이름보다 ‘간(肝) 박사’ 애칭으로 더 알려진 김정룡(金丁龍)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님이 향년 82세를 일기로 10월 11일 별세했다. 언론 보도… 더보기

꽃게와 전어 그리고 갈치와 낙지

댓글 0 | 조회 2,823 | 2016.10.26
바람이 서늘하다 싶을 때 해산물(海産物)은 맛이 들기 시작한다. 가을 바다의 별미로 꽃게, 전어, 낙지, 갈치 등을 꼽으며, 그 중에서 꽃게는 가을 바다를 대표하… 더보기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709 | 2016.10.18
<날마다 아름다운 죽음을 살고 싶다>는 자원활동가 김옥라(金玉羅) 박사님의 생애사(生涯史) 제목이다. 김옥라 장로님 가족과 친지들이 지난 9월 27일 … 더보기

이중섭(李仲燮)과 소(牛)

댓글 0 | 조회 2,000 | 2016.10.11
올해는 이중섭 화백(畵伯)의 탄생(誕生) 100주년, 작고(作故) 60년이 되는 해이다. 이중섭은 1956년 9월 6일 서울 적십자병원에서 일본에 있는 아내와 두… 더보기

자살예방(自殺豫防)

댓글 0 | 조회 1,813 | 2016.09.29
“야구 몰라요” 하일성 야구 해설가의 말이다. 즉 야구는 9회말이 끝나야 결과를 알 수 있지, 그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말이다. 한국 야구계에서 해설가와 행… 더보기

당뇨병(糖尿病) 늘자, 신장병(腎臟病)도 급증

댓글 0 | 조회 2,426 | 2016.09.27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당뇨병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는 2010년 201만9000명에서 2015년 251만5000명으로 5년 사이에 50만 명이 … 더보기

햄버거(hamburger) 이야기

댓글 0 | 조회 2,008 | 2016.09.14
쓰레기라는 뜻의 영어 단어 ‘정크(junk)’가 음식을 뜻하는 ‘푸드(food)’와 결합되어 ‘정크푸드’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햄버거는 정크푸드(junk food… 더보기

웃음과 건강

댓글 0 | 조회 1,453 | 2016.09.12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는 집 대문으로는 온갖 복이 들어온다, 즉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이다. 일소일소(一笑一少), 일노일노(一怒一老)란 말도 있다. 즉 한… 더보기

결핵(結核) 후진국의 늪

댓글 0 | 조회 3,893 | 2016.09.01
최근 대형 병원에서 ‘결핵 비상’ 상황이 벌어졌다. 지난달 서울 이대목동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던 여성 간호사(32)가 결핵 확진을 받았으며, 이달에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