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이현숙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멜리사 리
수필기행
조기조
김지향
송하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박종배
새움터
동진
이동온
피터 황
이현숙
변상호경관
마리리
마이클 킴
조병철
정윤성
김영나
여실지
Jessica Phuang
정상화
휴람
송영림
월드비전
독자기고
이신

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0 개 3,763 한일수
533 3.jpg

일제 강점기의 민족사학자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선생은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경고했다. 이를 뉴질랜드 다민족 사회에 대입해보면 “자기 민족의 뿌리를 잊어버리고 떠도는 소수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말할 수 있다. 마오리족은 천 년 전에 이미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왔지만 간직해온 역사가 없기 때문에 그 존재감이 미미해지고 있다. 뉴질랜드의 한인들이 한민족의 뿌리는 물론 이 땅에 와서 한민족의 삶을 개척해온 이민 선조들의 역사를 모르고 지낸 다면 뉴질랜드 한인들의 미래는 없다고 본다. 

다행이 뉴질랜드 한인 사회에서는 2007년 말에 ‘뉴질랜드 한인사’를 출간하여 750만 재외 동포 사회에서 뉴질랜드 한인도 그 존재감을 나타내게 되었다. ‘뉴질랜드 한인사’에서는 1950년 이후 진행되어 온 한-뉴 관계와 한인들이 뉴질랜드에 출입하고 정착해온 과정을 기술하여 후손들이 뉴질랜드 이민 역사를 잊지 않도록 기록을 남겨주게 되었다. 

1948년 한국정부가 수립되자 뉴질랜드 정부는 1949년 7월에 한국을 정식 승인해주었다. 1950년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뉴질랜드 정부는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고 현재까지 참전용사들과 끈끈한 유대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1962년 3월에는 한-뉴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무역, 경제, 기술협력 관계를 중대해 나가기 시작했다. 또한 콜롬보 플랜에 의한 한국 유학생들이 뉴질랜드 정부의 전액 장학금 지급으로 낙농, 원예, 임업 분야의 생산과 마케팅 공부를 하고 돌아갔다. 또한 영어교사들은 단기로 영어 연수를 다녀가기도 하였다. 1968년 9월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뉴질랜드를 국빈 방문했고 10월에는 Holyoake 뉴질랜드 총리가 한국을 답방하였다. 그 후 1971년 7월에 주뉴질랜드 한국대사관이 개설된 것이다.

지난 2011년에 뉴질랜드 한국대사관 개설 40주년을 맞이했고 2012년엔 한-뉴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몇 가지 행사가 있었다. 2013년엔 오클랜드 한국무역관 개관 4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역사를 회고해보는 자리가 있었다. 금년은 뉴질랜드에서 최초로 한인회가 결성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오늘날의 한인사회가 형성되기 까지 과거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계기로 활용하여야할 것이다. 

533 2.jpg

필자는 40년 전에 한인총회가 열렸던 파머스톤노스(Palmerston North) 소재 Caccia Birch House 를 방문하여 이민 선배들의 흔적을 더듬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마침 파머스톤노스 한인회에서 주최한 차세대 세미나에 강의 차 내려간 길에 좋은 기회를 포착한 것이다. Caccia Birch House는 뉴질랜드 개발 초기 대 목장주의 저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도 파머스톤 노스 시에서 역사적인 유산으로 관리하고 있다. 

1974년 당시에는 한국식품점, 한인식당, 한인교회 등은커녕 한국말을 하는 사람조차 만나기가 어려웠던 시절이었다. 소수의 한인들은 고국에서의 생활이 눈에 어른거려 눈시울을 적시는 일도 다반사였다. 뉴질랜드 내의 한인규모가 어느 정도 커지자 자연스레 한인회의 설립이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그 해 10월 25일에는 당시 강춘희 대사관저에서 ‘재뉴질랜드 한인회’ 창립모임이 열렸다. 

뉴질랜드 전국에 흩어져 있는 한인들은 단기 체류로 드나들었던 원양어선 선원, 장·단기 체류를 하고 있던 콜롬보 플랜에 의한 유학생, 국제결혼으로 영주하고 있던 몇 가족 들이었다. 그리고 대사관과 무역관 직원 및 가족들을 모두 합해봐야 72명에 불과한 규모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인총회에는 40여 명이 참석하였는데 이는 가족 동반으로 각자 살고 있던 지방에서 승용차로 또는 버스나 비행기 편으로 모여들었음을 의미한다. 

초대 회장으로는 박흥섭 씨가 선출되었다. 박흥섭 회장은 당시 콜롬보 플랜 유학생으로 매씨대학교(Massey University)에서 박사과정(원예학 전공)을 이수하고 있었다. 매씨대학은 파마스톤노스에 소재하고 있으며 회장이 거주하고 있던 파머스톤노스에서 총회가 열렸던 것이다. 박흥섭 회장은 귀구 후 전남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키위 과일을 한국에 처음 소개하였으며 2004년에 작고하였다.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박흥섭 회장의 아들 박진형 씨는 1990년대 후반에 뉴질랜드에 돌아와 뉴질랜드 육군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현재 오클랜드에 거주하고 있다. 

한인 총회에서는 모임 후 Birch House의 잔디 운동장에서 축구, 탁구, 달리기 들을 하며 하루를 즐길 수 있었다. 지구 반대편의 머나먼 뉴질랜드 땅에서 한인들만의 식사와 여흥이 얼마나 감격스러웠을까 짐작이 간다. 
533 1.jpg

뉴질랜드 한인 사회의 규모가 커지면서 1991년부터는 각 지역별로 한인회가 결성되었다. 현재는 북섬에 오클랜드, 웰링턴, 와이카토, 로토루아, 황가레이, 파머스톤노스, 왕가누이, 남섬에 크라이스트처치, 더니든, 넬슨, 퀸스타운 등 11개의 한인회가 조직되어 있다. 이들 한인회들을 중심으로 한인사회가 네트워킹을 형성하여 우리의 후손들의 미래를 밝혀주어야 할 것이다. 

민들레의 영토

댓글 0 | 조회 3,801 | 2014.06.24
“골프장 관리인과 잔디를 꼼꼼하게 관리하는 집 주인에게 공적(公敵) 1호인 민들레는 그러나 절대로 없앨 수 없는 잡초이다”라고 멕시코 시니 뉴스지가 표현했다. 민… 더보기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댓글 0 | 조회 3,120 | 2014.07.08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시인(1902, 8 - 1934, 12)은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I)

댓글 0 | 조회 3,421 | 2014.07.22
인간의 영혼(靈魂)은 모든 참된 문학, 예술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문제이리라. 지구상의 모든 생물 중 오직 인간만이 현재에 살면서 과거를 반추하고 미래를 설계하며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Ⅱ)

댓글 0 | 조회 4,888 | 2014.08.12
어느 눈 먼 소녀의 영혼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은 월광곡, 어느 날엔가 나에게도 눈 먼 소녀가 있어, 그녀의 영혼이 허전하다고 느낄 때…… 서양 음악가 중에 우리에… 더보기

태평양 문명 시대의 오세아니아

댓글 0 | 조회 3,470 | 2014.08.26
1900년대 초 미국 국무장관이던 헤이(John Hay)가 ‘지중해는 과거의 바다, 대서양은 현재의 바다, 태평양은 미래의 바다’라고 말했다. 이를 100년이 지…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감성

댓글 0 | 조회 5,572 | 2014.09.09
‘우는 아이 젖 준다’는 말을 요새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이 이해할까 싶다. 젖 먹이가 아닌 어린 애가 울 때는 호랑이가 온다고 겁을 주어 달래기도 했고 곶감을 준… 더보기
Now

현재 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댓글 0 | 조회 3,764 | 2014.09.23
일제 강점기의 민족사학자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선생은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경고했다. 이를 뉴질랜드 다민족 사회에… 더보기

아, 스코틀랜드!

댓글 0 | 조회 3,015 | 2014.10.14
아는 만큼 즐겁고 행복하다. 모르는 만큼 답답하고 불편하다. 뉴질랜드에 살면서 이 나라의 가장 인기 종목인 럭비나 요트 경기에 대해서 그 경기 방식에 익숙하지 못… 더보기

뜰 안에 가득한 행복

댓글 0 | 조회 2,319 | 2014.10.29
어느 여인이 천국에 가서 살아보는 것을 평생소원으로 여기고 갈망하며 지냈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일어나보니 궁궐 같은 집의 침대에 누워있었는데 바로 옆에는 하녀… 더보기

돼지는 죽으면서 말한다

댓글 0 | 조회 2,504 | 2014.11.11
이 세상 만물은 창조주의 섭리(攝理)에 따라 이 지구상에 태어났으며 주어진 생명을 다하고 역시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물의 영… 더보기

남십자성 아래서 빛나는 동방의 등불이여!

댓글 0 | 조회 2,738 | 2014.11.25
한국에 살 때는 어려서부터 북두칠성에 대한 정서를 지니고 살아왔다. 우리 한민족은 북두칠성을 고향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생활해왔으며 신앙 또는 염원의 대상으로까… 더보기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댓글 0 | 조회 2,753 | 2014.12.09
영혼이라는 말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진 주제이다. 모든 예술 활동이 그렇듯이 피아노 연주도 작곡가의 작품의도를 깊숙이 파악하고 … 더보기

살아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댓글 0 | 조회 2,596 | 2014.12.24
크리스마스에서 새해로 이어지는 계절이면 왠지 마음이 들썽거리고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겨울 방학이 시작되고 신학기 까지는 여유가 많으며 2월에는 구정까지 … 더보기

이 찬란한 을미의 아침에

댓글 0 | 조회 1,812 | 2015.01.14
“인생은 문틈으로 백마가 지나가는 것을 보는 것 같이 짧다(人生如白馬過隙)”라고 어느 시인은 말했다. 과연 그렇다. 뉴질랜드에 와서 현지 생활에 취미를 붙이면서 … 더보기

백두산 천지

댓글 0 | 조회 5,880 | 2015.01.29
한국인이 백두산 천지(白頭山 天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남다르다 하겠다. 그만큼 우리 민족의 핏속에는 백두산의 정기(正氣)가 흐르고 있으며 고구려의 혼(魂)이 … 더보기

뉴질랜드 신토불이

댓글 0 | 조회 2,388 | 2015.02.10
우리는 이민 첫해에 두 계절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계절이 한국과는 반대로 돌아가는 뉴질랜드이다 보니 한국에서 여름에 이곳에 오면 바로 겨울이 되었고…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바라보는 달의 이미지

댓글 0 | 조회 2,529 | 2015.02.24
태양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 살다보니까 조상 대대로 이어오던 음력 절기에 대한 정서를 잊고 살아 갈 수가 있다. 달의 차고 기움을 따라 절기를 맞추고 절기에 따라… 더보기

호박 덩굴에 행복이 주렁주렁

댓글 0 | 조회 2,950 | 2015.03.10
‘가꾼 데로 거두리라’이는 농사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수확량의 정도는 농사에 쏟은 정성만큼 비례해서 나타난다. 예로부터 농사의 성공 여부는 가꾸는 사람의 발길이 … 더보기

삶이냐 퍼포먼스냐

댓글 0 | 조회 2,811 | 2015.03.24
인류문화사의 흐름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고대 신화시대, 중세 종교시대, 근대 과학시대, 현대 예술시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런대 21세기 현대는 예술 가운데서도 퍼… 더보기

흙에서 살리라

댓글 0 | 조회 2,550 | 2015.04.14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 더보기

울어버린 두꺼비

댓글 0 | 조회 2,481 | 2015.04.29
두꺼비는 예로부터 복(福)과 부(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의 민간 전설 ‘두꺼비와 지네’에서는 자기를 키워준 소녀를 위하여 침입한 지네와 싸워 함께 죽고… 더보기

아들리느 결혼식에 가슴을 치는 남자

댓글 0 | 조회 2,822 | 2015.05.13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그리고 3일 후 왕도 죽었다.’라는 표현은 사실적인 기록이다. 그러나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3일 동안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애통… 더보기

김포공항에서 주저 앉아버린 애 엄마

댓글 0 | 조회 4,028 | 2015.05.26
뉴질랜드로의 한국인 이민 물결이 한창 상승세를 이룰 무렵 1995년 5월에는 하나은행에서 주관하는 이민자 영어교실 멤버들의 야유회가 열렸다. 남서울대공원에서 열린… 더보기

남자는 나이 70에야 철이 든다

댓글 0 | 조회 7,091 | 2015.06.09
“어느 남자가 하느님한테 가서 하소연을 했다. ‘하느님, 왜 남편은 하루 종일 고생하며 돈 벌어서 집에 갖다 주는데 아내는 남편이 벌어 온 돈 가지고 흐늘거리며 … 더보기

70% 행복론

댓글 0 | 조회 2,633 | 2015.06.23
며칠 전에 정원 일에 쓰일 외바퀴 손수레인 휠배로우(Wheelbarrow)를 구입한 일이 있다. 거름흙을 운반하느라 처음 사용해봤는데 적재량을 잘 조절해서 균형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