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심혜원
전정훈
Mystery
새움터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0 개 1,531 한일수

2916822fdf569cfe875b23068c8cdd85_1718167990_0187.jpg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살고 있는지, 어떻게 살아야 행복을 누리며 사는 것인지를 살펴볼 일이다. 지난 뉴질랜드에서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그려나가는 생활 태도가 요망된다고 하겠다. 언젠가 이 땅에 묻히게 될 때 이민 후세들에게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자랑스럽게 보여줄 수 있는 이민 선배가 되었으면 좋을 텐데……


인간의 행복을 연구하는 분야는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이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인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행복담론을 종합하고 행복한 사람들의 삶을 분석하여  행복의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한바 있다. 이를 적용하여 우리의 삶을 반추하고자한다. 


행복의 첫 번째 요소는 즐거운 삶이다. 우리가 삶 속에서 편안하고 만족하는 가운데 기쁨을 누리고 여유로운 긍정 정서를 느낀다면 행복하다. 삶에 여유가 없이 늘 불안하고 초조한 상태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행복할 수 없다. 어려서부터 우리는 입시경쟁에 시달리며 학창 시절을 보냈고 사회에 나와서는 과중한 업무와 치열한 경쟁에 시달리며 직장 생활을 했다. 그러다 더 나은 자녀의 미래와 행복한 삶을 찾아 뉴질랜드로 삶의 터전을 옮겨와 살고 있다. 확실히 뉴질랜드는 기후가 온화하고 청정한 자연은 풍요롭다. 약간 촌스러우면서도 사회 인프라(Infrastructure)는 잘 갖추어 있다. 지금의 한국은 몰라볼 정도로 물질문명이 발달되어 있고 고층빌딩과 아파트들이 하늘을 뒤덮고 있지만 국민들의 삶은 안락하다고 볼 수 없다. 삶이 즐겁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경제적인 여유도 있고 마음의 평화를 누리며 건강하게 살아야 할 것이다. 다른 사람과 비교되는 소비생활 풍토에서 항상 돈에 쪼들리는 생활로부터 벗어나 자기 주관적인 삶을 영위하는 뉴질랜드 생활에서는 경제적인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도 있다. 복잡한 인간관계에 억눌려 스트레스의 지배를 받고 사는 것에 비해 자연지향적인 이곳 생활에서는 건강을 도모하고 마음의 평화를 누리며 매사에 여유로움을 찾는데도 유리하다.


행복의 두 번째 요소는 자기실현, 즉 펼치는 삶이다. 심리학자 매슬로우(A. Maslow)는 인간의 욕구를 그 중요도 별로 5단계 설을 발표했는데 생존 욕구-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자존 욕구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자아실현 욕구로 발전한다고 했다. 우리는 나름대로의 재능과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재능과 강점을 삶의 다양한 장면에서 충분히 발휘함으로서 자신의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이 자아실현이다. 한국인은 부지런하고 은근과 끈기가 대단해 다민족 사회에서 오히려 우리의 끼를 발산할 기회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뉴질랜드의 다민족들은 각기 자기의 끼를 발전시켜 공유함으로서 뉴질랜드라는 하나의 모자이크가 형성되어 세계를 빛낼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우리의 차세대들은 인구수로 볼 때 한국이나 뉴질랜드 내 타민족 그룹보다 훨씬 소규모이지만 두각을 나타내는 숫자는 월등하다. 따라서 나름대로의 자아실현을 통하여 이민 생활을 행복하게 창조할 수 있는 것이다.



행복의 세 번째 요소는 의미 있는 삶이다. 촛불은 자신을 불태우며 주위를 밝혀주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각자의 의미를 지니고 태어났다. 자기의 삶을 통하여 주위에 선(善)한 영향력을 보여줄 수 있으면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도와주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행복한 모습을 보고 자기 자신도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이다. 뉴질랜드로의 이민 생활이 가족이나 한민족의 현재와 미래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도 생각해볼 일이다. 한반도라는 좁은 공간에서 태어나 수 천 년 동안 이어온 생활 터전을 뒤로하고 넓은 다민족 사회로 편입하여 살고 있는 우리는 한민족의 지평을 넓히고 민족의 위상을 고양시키는 행동대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한민족은 한반도 밖, 세계 170여개 국가에 약 750만 인구가 뿌리를 내려 살고 있으며 한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세계  만방에 전파하고 있다.   

        

작가 김인숙은 “상처 받지 않은 사람은 먼 길을 떠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어떤 교민은 이민을 떠나면서 마지막으로 인사차 친척 집을 방문하고 나오는데 담 넘어 뒷전에서 “잘 먹고 잘 살아라”라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또 한 사람은 친척 어른의 장례식에 갔는데 다른 친척으로부터 “이민 가서 뭘 먹고 사느냐, 돈 떨어지면 내가 휙 돈을 던져주겠다”라고 비아냥거리는 소리도 들었다고 했다. 지금 한국에서는 부모 자식, 형제 간에도 경제적인 문제로 의절하고 소송건도 다반사라는데 우리가 불행한 모습으로 한국으로 돌아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자유의지로 뉴질랜드를 선택해서 살고 있다면 이곳의 여건을 십분 활용하여 행복을 가꾸어 나가야 되지 않을까?


“행복은 어디에나 있다” “행복은 어디에도 없다” 다 같이 맞는 말이다. ‘이상 향’ 으로 지칭되는 유토피아(Utopia)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는 곳’이라는 뜻이다. 행복은 어디에 머물러 있으면서 우리를 기다리는 게 아니다. 바로 우리 가까이에 있으나 거저 가져  오는 게 아니고 행복을 만들어가야 되는 것이다. 과거에 집착해서 현실을 부정하는 사람, 또 다른 현실을 찾아 헤매는 사람, 현실에 만족하고 발전을 못하는 사람, 헛된 미래를 꿈꾸며 현실을 희생하는 사람은 모두 행복을 놓치는 사람이다. 현실을 인정하고 과거를 거울삼아 미래를 차근차근히 설계해가는 삶이 보다 행복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는 삶이 아닐까?

공연예술과 공연문화

댓글 0 | 조회 214 | 2025.09.09
공연예술은 현장에서 관객과 예술가가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감정의 기복을 교환한다는 점에서 영화나 다른 영상매체와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공연 현장에서… 더보기

아리랑 가락이 뉴질랜드 하늘 아래서

댓글 0 | 조회 507 | 2025.08.13
뉴질랜드에 합창이 도입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 이고 초창기에는 백인 위주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20세기가 되어서야 합창단이 태동하기 시작했으… 더보기

걸어야 산다, 살려거든 걸어라

댓글 0 | 조회 580 | 2025.07.09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방식의 생태학적 행동이다. 모든 생물체는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한평생을 자연과 함께 지내다가 다시… 더보기

알카트라즈 교도소

댓글 0 | 조회 459 | 2025.06.10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더보기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댓글 0 | 조회 653 | 2025.05.14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여행하는 사람은 대개 요세미티 공원을 방문하게 된다. 인류가 요세미티를 처음 방문한 기록은 8000년-1만 년 전 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501 | 2025.04.08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래 20세기 중 몇 차례 방문한 일이 있지만 21세기 들어 25년 만에 개별 방문 차원에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돌아보고 몇 …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619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뉴질랜드 설맞이

댓글 0 | 조회 571 | 2025.02.11
낯선 나라에 이주해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은 새로운 문화와 부딪히게 되고 문화적인 충격을 겪게도 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 더보기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972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561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759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21세기 문명의 몰락

댓글 0 | 조회 770 | 2024.10.08
벌써 17년 전의 일이지만 2008년 베이징에서 치러진 하계 올림픽 때의 기억이다. 올림픽 개막식은 가장 장엄하고 규모가 크고 호화찬란했으며 만 오천 명에 이르는… 더보기

뉴질랜드 아리랑

댓글 0 | 조회 1,185 | 2024.09.11
한민족에게는 ‘아리랑’이 있고 뉴질랜드인에게는 ‘포카레카레 아나’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정서 속에 녹아내려 민중… 더보기

다문화적 하모니

댓글 0 | 조회 742 | 2024.08.14
뉴질랜드는 19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와이탕이 조약으로 1840년에 영국의 식민지로 나라가 형성된 200년이 채 못 된 신생국가이다. 또한 같은… 더보기

클레오파트라 – 마녀인가? 미녀인가?

댓글 0 | 조회 765 | 2024.07.09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성과 모순성, 그 위대함과 비참함을 독특한 문체로 표출한 파스칼(Blaise Pas… 더보기
Now

현재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1,532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934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634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933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1,314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1,042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240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1,082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1,165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1,392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