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심혜원
전 정훈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EduExperts
새움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kdkjd
0 개 916 한일수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뉴질랜드는 한국으로부터 수만리 떨어진 남태평양 상의 외딴 섬인데다 생활 기반이 낯설고 구성원들이 다르며 언어가 다르니 고독과 외로움에 빠져들기 십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독과 외로움의 의미를 간파하고 우리의 처지를 어떻게 해쳐나갈 것인지를 생각해보는 것도 필요하리라. ‘고독(孤獨, Solitude)’은 홀로 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고 외로움(Loneliness)은 마음이 쓸쓸한 상태를 뜻한다. 세상과 떨어져 혼자 있으면 고독하지만 외로움은 사람과의 관계가 단절되면 마음이 쓸쓸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독은 자의적으로 받아들여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계기가 되지만 외로움은 자기의 의지와는 달리 사람들로부터 관계가 단절되어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은 군중 속에서도 홀로 고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본질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물질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개인화가 갈수록 심화되어 혈연, 지연, 학연 등 전통적인 관계의 속성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한국에서 흔히 회자되고 있는 혼 밥 족, 혼 술 족, 독거 족, 고독 사 등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물론 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집단으로부터 떨어져 혼자 있는 것이 더 행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집단과 떨어져 홀로 되면 고독과 외로움에 빠져들기 쉬워진다. 관계의 단절로 인한 외로움이 심화되면 우울증을 유발하여 더욱 불행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세상과의 단절 상태에 처한 로빈슨 크루소는 무인도에서 고독한 처지가 되었지만 외로움은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부부가 같은 집에 살면서도 상대를 하지 않고 있다면 외로울 것이다. 집단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사람은 홀로 떨어진 고독한 상태는 아니지만 관계의 단절로 인한 외로움은 느낄 수 있다. 


사랑할 대상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 조선 시대에 당파싸움이 치열했고 그 소용돌이에서 귀향을 보내져 격리 수용되었던 선비들이 많았다. 그러나 외로움에 처한 자신의 처지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여 더욱 위대한 창조를 이루어 낸 경우가 많다. 윤선도 선생은 숱한 귀향 살이 중에도 자연을 벗 삼아 희열의 순간을 창조했다. 그의 시조 5우가(五友歌)는 너무도 유명하다. 추사 김정희 선생은 1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배되어 살았는데도 오히려 서예의 경지를 완성했고 그의 세한도(歲寒圖) 작품은 국보급으로 보존되고 있다. 정약용 선생은 유배 중에 더욱 값진 저서들을 저술해 후세들을 가르치고 있다. 



피하지 못할 운명은 즐겨라. 우리가 외로운 처지가 되면 세상을 원망하고 사람에 대한 적개심을 가지고 비난하기 십상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이 자기 앞길을 개척하기도 바빠서 타인을 배려할 여유가 없다. 외로움을 고독으로 받아들여 재충전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쇼펜하우어는 “우리는 혼자 있을 때만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혼자 있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간섭이나 방해 없이 오롯이 자기 자신과 함께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독의 상태에서는 고독을 사랑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고 고독을 사랑하게 되면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고독을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 5가지를 소개한 글을 보고 인생 83년을 살아왔고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내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내면의 목소리를 들어보는 계기를 가져봤다. 첫째는 자신을 인정해주는 말을 해줘라. 돌아 보건데 지금까지 숱한 역경을 헤치고 여기까지 무사하게 살아온 자신이 대견하다는 생각을 해봤다. 일제 말기에 태어나서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이라고 하는 6.25를 겪었고 그 후로도 숱한 역사적 격변기를 몸소 체득하며 살아왔다.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는 과정과 함께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고 인생후반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인생을 살아보겠다고 뉴질랜드까지 와서 29년차 살고 있다. 그동안 별다른 사고를 당하지 않고, 특별히 아파본 일도 없이 지금까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몸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둘째는 자신과 함께 하는 시간을 늘려라. 나이가 들면서 점점 타인과의 관계도 소원해지고 사회로부터 격리되어가는게 사실이다. 이런 때 사랑하는 대상이 있으면 행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대상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셋째는 자신에게 선물하라 이다. 지금까지는 가족을 위해서,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서 호의를 베풀어 왔다면 이제는 자신의 호강을 위해 돈을 지출하며 살 때이다. 넷째는 자기를 위해 헌신해보라 이다. 지금까지 가족이나 친지, 직장이나 사회를 위해 헌신해왔다면 이제는 자신을 위해 헌신해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귀중한 자기 자신인데 자신을 희생하면서 남을 위해 헌신하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태도이다. 고도 성장기에 한국의 풍조는 국가에 대한 충성과 사회발전을 위한 개인의 희생과 봉사 정신을 강조해왔다. 다섯째는 자신에게도 신체접촉을 하라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자신의 신체이다. 그 소중한 신체를 접촉을 통해 사랑을 베풀고 더욱 건강을 유지하도록 격려해주고 보살피라는 것이다.


고독을 사랑하는 자 만이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진정한 자유란 내 기준이 먼저 있고, 그것을 누릴 환경과 통제할 능력이 함께 존재할 때만 탄생한다고 말한다. 자유란 더 많은 것을 누림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들만이 더 많은 것을 누리는 법이다.

공연예술과 공연문화

댓글 0 | 조회 170 | 2025.09.09
공연예술은 현장에서 관객과 예술가가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감정의 기복을 교환한다는 점에서 영화나 다른 영상매체와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공연 현장에서… 더보기

아리랑 가락이 뉴질랜드 하늘 아래서

댓글 0 | 조회 471 | 2025.08.13
뉴질랜드에 합창이 도입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 이고 초창기에는 백인 위주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20세기가 되어서야 합창단이 태동하기 시작했으… 더보기

걸어야 산다, 살려거든 걸어라

댓글 0 | 조회 556 | 2025.07.09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방식의 생태학적 행동이다. 모든 생물체는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한평생을 자연과 함께 지내다가 다시… 더보기

알카트라즈 교도소

댓글 0 | 조회 430 | 2025.06.10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더보기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댓글 0 | 조회 618 | 2025.05.14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여행하는 사람은 대개 요세미티 공원을 방문하게 된다. 인류가 요세미티를 처음 방문한 기록은 8000년-1만 년 전 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467 | 2025.04.08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래 20세기 중 몇 차례 방문한 일이 있지만 21세기 들어 25년 만에 개별 방문 차원에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돌아보고 몇 …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589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뉴질랜드 설맞이

댓글 0 | 조회 541 | 2025.02.11
낯선 나라에 이주해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은 새로운 문화와 부딪히게 되고 문화적인 충격을 겪게도 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 더보기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942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536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740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21세기 문명의 몰락

댓글 0 | 조회 743 | 2024.10.08
벌써 17년 전의 일이지만 2008년 베이징에서 치러진 하계 올림픽 때의 기억이다. 올림픽 개막식은 가장 장엄하고 규모가 크고 호화찬란했으며 만 오천 명에 이르는… 더보기

뉴질랜드 아리랑

댓글 0 | 조회 1,148 | 2024.09.11
한민족에게는 ‘아리랑’이 있고 뉴질랜드인에게는 ‘포카레카레 아나’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정서 속에 녹아내려 민중… 더보기

다문화적 하모니

댓글 0 | 조회 713 | 2024.08.14
뉴질랜드는 19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와이탕이 조약으로 1840년에 영국의 식민지로 나라가 형성된 200년이 채 못 된 신생국가이다. 또한 같은… 더보기

클레오파트라 – 마녀인가? 미녀인가?

댓글 0 | 조회 749 | 2024.07.09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성과 모순성, 그 위대함과 비참함을 독특한 문체로 표출한 파스칼(Blaise Pas…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1,504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912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609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현재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917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1,284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1,015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219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1,055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1,144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1,372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