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심혜원
전 정훈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EduExperts
새움터

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0 개 1,555 한일수

장마철이 계속되다 보니 대외활동이 제한되고 찾아 갈 곳도 또한 찾아 올 사람도 마땅치 않아 할 일 없이 집에만 있게 되는 날이 많아지게 되는 요즈음이다. 그러다 보니 마음은 울적해지고 고향 생각에 잠겨 멜랑콜리한 기분에 사로잡히기 쉬운 계절에 처해 있는 우리들의 신세이기도하다.


1f0f6e11c5bd304275ebf3b107e946f9_1691547566_0851.jpg
 

원래 멜랑콜리(Melancholy)라는 말은 그리스 어인 멜랑(검다)와 콜레(담즙)의 합성어로 우울 또는 우울증의 뜻을 담고 있다.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 Hippocrates, BC 460-370년)는 인간이 정액이나 자궁의 체액에서 탄생하고 자라는 점을 근거로 4액체 설을 정리하였다. 사람의 몸은 차갑고 열이 있고 건조하고 습한 성질을 가진 4가지 체액(體液) 즉 피, 점액, 노란 담즙, 검은 담즙으로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균형을 이룰 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학설이다. 멜랑콜리는 이 중 검은 담즙 과잉으로 인한 질병으로 그 특징은 건조함과 차가움이다. 보통 서양의 문화적 전통에서는 검은 색은 상복(喪服)이 검은 색이듯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멜랑콜리(검은 담즙)는 자체가 부정적인 요소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그러나 멜랑콜리가 철학이나 문학, 예술과 결부되어 ‘걸출한 인물은 모두 멜랑콜리이다’라는 사회적 인식이 퍼지기도 하였다.


지금 서울 마로니에 공원 맞은편엔 학림다방이 자리하고 있었고 1960년대 초 천상병, 유홍준, 김승옥, 김지하 등 작가들이 드나들었다. 그 때 자의식이 강한 영원한 자유인, 고독한 천재, 불꽃같은 초월 감성의 방랑자 전혜린이 한 쪽 창가에서 담배를 뿜고 있었던 기억을 되살리게 된다. 전혜린 ‘그녀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전혜린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항상 성적은 수석을 유지했고 공부를 잘한다는 이유에서 아버지의 권유로 자기 적성과는 거리가 먼 서울법대로 진학했다. 그러나 법대를 중퇴하고 그 당시 여자로서는 최초로 독일로 건너가 뮨헨대학 독문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서울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를 하는 한편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 가운데’, 헤르만 헷세의 ‘데미안’ 등을 번역하는 일을 했다. 그녀의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그녀가 31세의 나이로 자살한 이듬해에 간행됐다. ‘신은 그가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상에 오래 머물게 하지 않고 있다’, ‘한 인간은 자신을 파괴할 권리가 있다’라는 말이 맞는다면 바로 전혜린을 두고 한 말일 것이다. 젊은이들이 한번 쯤 푹 빠지고 싶어 하는 멜랑콜리한 감성, 농밀한 우수, 압도적인 슬픔, 형이상학적인 고뇌를 품어내는 그녀의 글을 읽고 특히 사춘기의 소녀들은 정신을 잃었다. 그녀는 원피스에 검정 스웨터, 그리고  검정 머플러를 두른 채 서울 시내를 활보했다. 검정엔 고독과 죽음의 냄새가 드리워 있다. 


모든 괴짜가 천재인 건 아니지만 천재는 괴짜가 많다. 일반인들이 상상하기 힘든 창작물을 남기기도 하지만 대부분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하며 개인의 인생은 불행하게 진행된 경우도 많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생활인으로서 사는 동안 행복을 추구하고 나름대로 가치를 발휘하며 삶을 영위할일이다. 그렇다면 멜랑콜리한 기분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장마철에 감성이 변화되고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같은 정신질환이 증가하는 것은 뇌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Melatonin)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서이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분비량이 조절되는데 밝으면 분비가 억제되고 어두우면 많이 분비되면서 몸 안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몸의 활동주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장마철에는 낮을 밤으로 착각하게 되어 졸음을 유도하며 자신감 저하, 우울증, 불안과 권태감 등을 유발한다. 특히 여성은 잦은 호르몬의 변화 즉 월경, 출산, 갱년기 등으로 인해 몸의 평형 상태가 깨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성보다 더 우울증이 심하다.


날씨 탓만 하고 몸을 날씨에 맡겨버리면 뉴질랜드 같이 을씨년스럽고 우중충한 잿빛 하늘 아래 추적추적 내리는 비를 맞이하며 멜랑콜리에 빠져들기 십상이다. 좀 더 긍정적으로 뉴질랜드 겨울을 대처해 나가면 어떨까? 지금 지구는 전 세계적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폭염, 폭우와 홍수, 가뭄과 산불로 현대인은 한시도 편할 날이 없이 불안에 떨고 있다. 다행이 뉴질랜드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 같아 조금은 마음이 놓인다. 한 겨울 추위라고 해야 12도 안팎이고 한 여름 더위라야 28도 내외이다. 울적한 기분이 들더라도 같은 지구촌의 다른 나라 사람들을 생각하며 이 겨울을 이겨나갈 일이다.



첫째, 햇빛을 찾아 나서자. 비가 하루 종일 오는 것도 아니고 간헐적으로 내리는 만큼 하늘이 열리면 바다나 들로 나가 마음껏 햇빛을 즐기자. 비가 개이면 모든 창문을 활짝 열어 놓고 환기시켜 습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중충한 날씨 일수록 밖에 나가 사람들과 접촉을 활발히 하고 행동  반경을 넓힌다. 날씨에 관계없이 즐길 수 있는 실내 스포츠, 취미활동을 개발해 나간다.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수영이나 요가, 스트래칭, 댄스 같은 활동으로 무기력감도 날리고 몸도 관리하는 기회로 삼는다. 비즈니스도 남들이 위축되어 있을 때 좀 더 도전적으로 대처해 나간다면 성과가 올라 갈 수 있다. 


우울증과 같은 위험한 질환도 없다. 사람의 몸에는 우울증을 심화시켜 자살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는 ‘자살유전자’가 있다는 연구보고서가 있다. 우울증 환자의 경우 자살유전자가 정상인보다 2배 높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비율은 3배가 높다고 한다. 그러나 생활환경과 개인적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사회적 문화적 관습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우울증에 대처해 나갈 일이다.

공연예술과 공연문화

댓글 0 | 조회 169 | 10일전
공연예술은 현장에서 관객과 예술가가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감정의 기복을 교환한다는 점에서 영화나 다른 영상매체와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공연 현장에서… 더보기

아리랑 가락이 뉴질랜드 하늘 아래서

댓글 0 | 조회 471 | 2025.08.13
뉴질랜드에 합창이 도입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 이고 초창기에는 백인 위주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20세기가 되어서야 합창단이 태동하기 시작했으… 더보기

걸어야 산다, 살려거든 걸어라

댓글 0 | 조회 556 | 2025.07.09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방식의 생태학적 행동이다. 모든 생물체는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한평생을 자연과 함께 지내다가 다시… 더보기

알카트라즈 교도소

댓글 0 | 조회 430 | 2025.06.10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더보기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댓글 0 | 조회 616 | 2025.05.14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여행하는 사람은 대개 요세미티 공원을 방문하게 된다. 인류가 요세미티를 처음 방문한 기록은 8000년-1만 년 전 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467 | 2025.04.08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래 20세기 중 몇 차례 방문한 일이 있지만 21세기 들어 25년 만에 개별 방문 차원에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돌아보고 몇 …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589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뉴질랜드 설맞이

댓글 0 | 조회 541 | 2025.02.11
낯선 나라에 이주해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은 새로운 문화와 부딪히게 되고 문화적인 충격을 겪게도 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 더보기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942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536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740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21세기 문명의 몰락

댓글 0 | 조회 743 | 2024.10.08
벌써 17년 전의 일이지만 2008년 베이징에서 치러진 하계 올림픽 때의 기억이다. 올림픽 개막식은 가장 장엄하고 규모가 크고 호화찬란했으며 만 오천 명에 이르는… 더보기

뉴질랜드 아리랑

댓글 0 | 조회 1,148 | 2024.09.11
한민족에게는 ‘아리랑’이 있고 뉴질랜드인에게는 ‘포카레카레 아나’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정서 속에 녹아내려 민중… 더보기

다문화적 하모니

댓글 0 | 조회 713 | 2024.08.14
뉴질랜드는 19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와이탕이 조약으로 1840년에 영국의 식민지로 나라가 형성된 200년이 채 못 된 신생국가이다. 또한 같은… 더보기

클레오파트라 – 마녀인가? 미녀인가?

댓글 0 | 조회 749 | 2024.07.09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성과 모순성, 그 위대함과 비참함을 독특한 문체로 표출한 파스칼(Blaise Pas…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1,504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912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609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916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1,284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1,015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219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1,055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1,144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1,372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