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요연~~의존자녀의 비자와 영주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일목요연~~의존자녀의 비자와 영주권

0 개 4,355 정동희

부모가 영주권자인데, 자녀(들)이 비영주권자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혼, 재혼 등으로 인하여 자녀를 제외하고 영주권을 받은 부모도 있고, 미성년 자녀의 양육권 문제나 병역문제 등등으로 인하여 나중에 비자 또는 영주권 신청을 따로 하게 되는 경우를 지난 20년의 이민컨설팅을 통하여 다양하게 접해 왔습니다. 일목요연하게 펼쳐 보이는 “의존자녀의 영주권 신청”에 대한 이야기, 이제 시작해 볼까요? 

 

문 : 의존자녀(Dependent child)라…..어떤 자녀를 의미합니까?

답 :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경제적으로 부모에게 전적으로 의존해온 만 25세 생일 이전의 자녀를 의미합니다.

 

문 : 영주권 신청에 있어서 의존자녀의 나이에 따른 기본적인 자격 요건이 다르나요?

답 : 다음의 표를 참조하십시오.

 

999f313d4872531729234cf31db06c8b_1522114557_7006.jpg
 

 

문 : 비영주권 비자 신청에 있어서 의존자녀의 나이에 따른 기본적인 자격요건이 다르나요?

답 : 다음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999f313d4872531729234cf31db06c8b_1522114575_2506.jpg
 

 

문 : 비영주권 비자와 영주권 신청시에 있어서 의존자녀의 나이에 따른 차별이 존재하네요. 비영주권 비자(장단기 체류 비자)는 왜 만 20세 이상이면 의존자녀가 안되는 거죠?

답 :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만, 의존자녀의 비영주권 비자를 만 25세 생일 이전까지 확대하면 결정적으로는 “학비 혜택”에 문제의 소지가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 싶네요. 만일, 만 20세부터 만 25세 생일 이전 자녀까지 Domestic student로 인정하여 비영주권 비자(보통, 학생비자)를 승인하면 대학교 학비면제 혜택까지 받게 해 주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문 : 그렇다면, 영주권이 나오기 전까지는 의존자녀는 뉴질랜드에 체류조차 할 수 없다는 말입니까?

답 : Children aged 20 and over aren’t eligible to be included in their parents’visitor visa applications or to apply for a visitor or student visa based on their relationship to their parents. But they still may be able to join you in New Zealand if each child applies for a visa in his or her own right. 이민부의 설명은 위와 같습니다. 만 20세 이상의 자녀는 부모의 비영주권 비자신청서에 포함되지 아니하며 또한 부모와의 관계에 기초한 방문비자나 학생비자도 자격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모와 무관하게 자녀 본인의 독자적인 자격요건을 통한 비영주권 비자 신청은 얼마든지 허용이 됩니다.

 

문 : 재정적인 지원(Financial support)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십시오.

답 : 이민부는 다음의 사항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녀의 경제적인 의존성에 대하여 심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999f313d4872531729234cf31db06c8b_1522115062_8725.jpg
 

 

문 : 의존자녀에게도 워크비자가 주어집니까?

답 : 유감스럽게도, 의존자녀에게는 부모와의 관계에 따른 워크비자는 불허됩니다.

 

문 : 제 아이의 양육권은 제가 가지고 있는 이혼모입니다. 아이의 영주권 신청시, 양육권 문제도 심사 대상입니까?

답 : 그렇습니다. 자녀의 나이가 만 16세 미만이라면 양육권 서류 및 그 자녀의 뉴질랜드 이주에 대한 (뉴질랜드 비영주권자인) 친부의 동의서 제출이 원칙입니다.

 

문 : 양육권 외에 이주 동의서란 무엇을 의미하죠?

답 : 이민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If one of the parents of a child under the age of 16 is not a New Zealand citizen or resident, the New Zealand citizen or resident parent must have the right to remove the child from the child’s country of residence.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의 나라로부터 아이를 데리고 나올 수 있다는 권리에 대한 서류입니다. 아무리, 뉴질랜드 부 또는 모가 양육권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아이의 친부 또는 친모의 이주동의서가 이민부에 제출되어야만 한다는 이야기지요.

 

문 : 그러한 이주동의서라는 문서가 따로 정해져 있습니까?

답 : 가볍게 답해드릴 문제가 아니오니, 유자격자의 합법적인 컨설팅을 통해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문 : 의존자녀의 영주권 신청시, 영주권 또는 시민권자인 부(모)의 자격요건은 어떻습니까?

답 : 아주 중요한 자격요건 하나가 있습니다. 그 부(모)가 뉴질랜드를“주 거주 국가”로 삼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문 : 의존자녀의 영어문제도 존재합니까?

답 : 해당될 수도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몇 살 때 부모가 영주권을 받았는가에 따라 영어문제가 적용되지요. 당시에 아이가 몇 살이었는지가 관건입니다.

 

문 : 네? 그럼 아이가 영어를 못하면 영주권을 못 받나요?

답 : 최악의 경우, 만 16세 이상의 의존 가족에 적용되는 영어 필수조항이 적용될 것입니다. 역시, 전문가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모든 잎파리가 다르듯, 모든 케이스가 다 다르기 때문이지요.

 

문 : 재혼한 경우입니다. 상대방 자녀도 초청이 가능합니까? 

답 : 재혼한 분의 영주권 소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이 분의 영주권 신청에 따라 자녀도 영주권 신청이 좌우됩니다. 동반 신청일지, 따로 의존자녀 초청이민법에 따를 것인지가 결정됩니다.

 

문 : 의존자녀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저의 영주권 신청시 신청서에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경우에 이민부의 관용이 베풀어 지나요?

답 : 케이스에 따라 가능할 수 있으나, 원칙에서는 위배되지요. 부모의 영주권 신청시의 정보가 그래서 중요하고도 중요한 법입니다.

 

문 : 저의 영주권 신청시 의존자녀 정보를 실수로 잘못 기재하였습니다. 이런 경우에 이민부의 관용이 베풀어 지나요?

답 : 의도적으로 틀린 정보를 주어 이민부를 속인 것이 아니라면 소명이 충분히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문 : 부모의 자격 중에 유의해서 봐야할 것이 있습니까?

답 : 좋은 질문이네요. 다음을 보세요. They are lawfully and permanently in New Zealand. 라는 조항입니다. 의존자녀의 영주권을 서포트하는 부(모)의 자격요건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 지는 조항이 이것입니다. 뉴질랜드에 합법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거주하고 있어야만 한다 라는 것이죠. 예컨대, 부모가 뉴질랜드 영주권자이든 시민권자이든 간에 뉴질랜드를 떠난 지 무척 오래 되어, 뉴질랜드에 아무런 재산도 연고도 없는 상태라면 스폰서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조항이 또 있는데요. People who are lawfully and permanently in New Zealand must be actually residing in New Zealand. 실질적으로 뉴질랜드에 살고 있어야 한다 라는 조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합법적인 이민컨설팅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문 : 입양에 의한 의존자녀 영주권 신청도 허용이 되나요?

답 : 그렇습니다. 합법적인 절차를 거친 입양자녀의 의존자녀 영주권 카테고리를 통한 영주권 신청도 당연히 가능합니다.

 

문 : 심사기간이 지정되어 있습니까?

답 : 그 모든 비자 심사에는 심사기간이 제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신청 후 한달이 걸릴지 1년이 걸릴지 더 걸릴지 그건 누구도 알 수가 없습니다.

 

1,2월에 새로 시행되는 이민법 따라잡기

댓글 0 | 조회 4,329 | 2018.01.16
타매체에 기고하던 이민칼럼을 코리아 포스트로 옮긴지도 어언 만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2018년의 첫 칼럼을 시작하며 애독자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올… 더보기

어쩌다 딱 한 번의 특별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47 | 2021.10.28
New 2021 Resident Visa지난 9월 30일, 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판 영주권 특별법을 발표하면서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2021년 9월 29일… 더보기

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댓글 0 | 조회 4,352 | 2017.01.26
한때 뉴질랜드 원정출산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출산비용으로 얼마를 지불하든 간에, 뉴질랜드에서 자녀를 출생시켜서 평생 최고의 선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선사… 더보기
Now

현재 일목요연~~의존자녀의 비자와 영주권

댓글 0 | 조회 4,356 | 2018.03.27
부모가 영주권자인데, 자녀(들)이 비영주권자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혼, 재혼 등으로 인하여 자녀를 제외하고 영주권을 받은 부모도 있고, 미성년 자녀의 양육권… 더보기

인트림비자 (Interim visa)와 불법체류

댓글 0 | 조회 4,376 | 2016.03.10
뉴질랜드 내 “의도하지 않았던” 불법체류의 시대는 인트림 비자법 시행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되는데요. 2011년 2월에 도입된 이 법으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의도… 더보기

한 눈에 들어오는 최신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4,385 | 2021.08.25
그동안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던 “COVID-19(이하, 코로나) 제로 국가”에서 불명예 제대를 하고. 결국 매일 오후 1시에 발표되는 확진자 숫자에 모든 이목을… 더보기

유학후 이민? 어, 유학후 이민 ~~~

댓글 0 | 조회 4,388 | 2017.12.05
뉴질랜드 이민이 지난 1,2년 사이에 참으로 ‘대략난감’해지면서 더욱 험난한 시절을 예상하는 저희 이민 업계에서는 새로운 정부의 이민정책이 어느 방향으로 개정이 … 더보기

영어 없는 영주권 신청하기

댓글 0 | 조회 4,391 | 2019.08.28
영주권이라는 산을 오르는 데는 몇 가지 등산로가 있지요. 가장 많이 알려진 루트가 기술이민입니다. 학력/경력/잡오퍼/배우자 학력과 잡오퍼 등의 여러 분야에서 모으… 더보기

이민부의 워크비자 필독 수첩

댓글 0 | 조회 4,446 | 2017.06.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워크비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Q&A를 제… 더보기

숫자로 알아보는 이민법 (워크비자편)

댓글 0 | 조회 4,517 | 2018.07.24
모든 언어는 숫자와 아주 가까운 관계에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숫자도 언어의 일부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마치 우리네 삶 속에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더보기

2021 특별 영주권 최신뉴스

댓글 0 | 조회 4,532 | 2021.12.21
12월 1일의 이민부 홈페이지는 하루 종일 꽉 막혀 있어서 참으로 답답한 날이었지요. 당일 뿐 아니라 수삼일간 이런 일이 이어지면서 수많은 예비영주권자들의 원성은… 더보기

악! 소리 나는 신기술이민법에 스포트라이팅 !! (1탄)

댓글 0 | 조회 4,549 | 2016.10.27
공교롭게도, 지난 582호 칼럼이 구법 의향서의 마지막 분석이 되고 말았습니다.“채택이 너무 넘쳐나므로 곧 이민부의 대책이 나올 것이며 법을 강화하여 의향서 채택…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전하는 최신이민정보

댓글 0 | 조회 4,559 | 2021.04.29
코로나-19로 인한 비자심사의 장기간 중단, 연기, 지연 등으로 그동안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들이 나타났지요. 결국, ‘비정상의 정상’ 이라는 말이 익숙해진… 더보기

한 눈에 보는 특별법 이전의 이민법

댓글 0 | 조회 4,678 | 2020.05.13
아주 조만간, 1년의 한시적인 “COVID19 특별이민법”이 발표와 함께 전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COVID19(이하, 코로나) 사태로 인한 각종 비자…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 이거 실화냐?

댓글 0 | 조회 4,730 | 2018.10.09
영주권자나 시민권자의 파트너쉽을 통한 비자 취득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임시 비자(비영주권 비자)인 Temporary visa와 영주권 비자인 Resident…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각종 심사동향

댓글 0 | 조회 4,733 | 2013.06.12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그리고 법무사용 뉴스레터 등을 통해 각종 이민정보와 이민법, 그리고 최근의 심사동향에 대해 친절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 더보기

요리 대신 Hospitality로 영주권에 도전할까?

댓글 0 | 조회 4,753 | 2016.01.14
18년 이민컨설팅 경력자인 저에게 2016년도 이민전망에 대해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의 대답은 1년 전과 동일하게도, “거두절미하고. 대세는 역시 요리학과지요… 더보기

“유학후 이민”을 통한 영주권 사례 모음

댓글 0 | 조회 4,772 | 2016.07.14
대한민국 국적의 월평균 뉴질랜드 영주권 승인자가 몇 명인지 대충 아시는지요?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민부의 2015/2016 회계연도의 통계자료가 아직 발표되… 더보기

나는 언제 160점이 될까? (신기술이민법 분석 2탄)

댓글 0 | 조회 4,809 | 2016.11.09
지난 호에서는 기술이민의 대폭적인 강화와 부모초청이민의 잠정적 중단을 포함한 10.12 이민법 개정에 대한 주요 변경 사항을 짚어보았는데요. 오늘은 과연, 어떻게… 더보기

지난 몇 년간 얼마나 많은 영주권자가 나왔나?

댓글 0 | 조회 4,835 | 2021.03.24
이민부의 회계년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통계자료까지 1년에 딱 한번만 공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1998년부터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더보기

영주권 프로젝트 요리학과 도전기

댓글 0 | 조회 4,860 | 2013.07.24
최근 몇 년간 기술이민 카테고리를 통해 영주권을 받은 한인들의 대부분은 소위 “유학 후 이민의 요리학과” 출신자들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더보기

영주권자에 대한 이민부의 답변노트

댓글 0 | 조회 4,861 | 2017.06.27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체류 및 비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모아 놓고 공식적인 답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로, 영주권자에 대… 더보기

유학생 학생비자와 가디언비자 연장 TIP

댓글 0 | 조회 4,917 | 2013.12.24
유학생 자녀를 데리고 뉴질랜드에서 장기유학 중이신 분들이라면 누구든지 다음의 두 가지 타입의 비자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자녀가 Internat… 더보기

비자신청서 심사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안내

댓글 0 | 조회 5,001 | 2017.04.11
뉴질랜드 이민부는 각종 비자와 체류 및 정착, 그리고 이민법을 포함한 노동법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와 법조항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오늘은 비… 더보기

8월로 예정된 이민법 강화를 論하다

댓글 0 | 조회 5,048 | 2017.04.26
늘 변화는 있게 마련입니다. 본인의 변화와 타자 또는 환경의 변화는 우리네 삶에 많은 변주곡을 만들어 냅니다.뉴질랜드 이민부는 정기, 부정기적으로 이민법에 변화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