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사랑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글을 사랑해

0 개 510 한일수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다면 기절할 노릇이다. 그러나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에 버젓이 실려 있는 한국의 역사이다. 우리가 1990년대 뉴질랜드로 이민 왔을 때 뉴질랜드 한 초등학생이 내가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까 “한국이 어디에 있는 나라냐?”라고 다시 묻자 충격을 받은 일이 생각난다. 수많은 국가의 교과서들이 한국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싣고 있다. 이는 한국중앙연구원 이길상 교수가 2003년부터 40여개 국가 500여종 교과서를 분석해 찾아낸 왜곡과 오류의 사례들이다. 심지어 파라과이 ‘역사와 지리’ 교과서는 한국을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지역으로 표시하고 있다.    


외국인들은 한국에 고유문자가 있느냐고 의문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였으며 중국문화의 속국으로 중국한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국가 차원의 홍보가 부족했으며 해외 170여 나라에 뿌리내려 살고 있는 750만 재외동포들의 역할도 점검해봐야 할 일이다. 21세기 들어 한류가 세계 속에 침투하기 시작했고 영화, 드라마, K-POP, 스포츠 등에서 세계인의 주목을 끌게 되자 한국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덩달아 한국말과 한글이 관심을 끌게 되고 이제는 낯설지 않게 우리말과 글을 몇 마디씩 구사하는 외국인들을 만나면서 행복감을 느끼는 우리들이다. 교민사회가 2세, 3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웬만한 일터에서는 교민 직원을 만날 수 있는 기쁨도 쏠쏠하다.


우리의 위대한 민족 유산은 무어라 해도 역시 ‘한글’이다. 현재 쓰이는 문자를 분류하면 표음문자, 표의문자, 표어문자, 상형문자로 분류하는데 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다시 세분하면 음절문자, 음소문자, 그리고 자질문자가 있다. 이들은 문자의 최소단위에 따른 구분인데 음소보다 더 작은 단위로 형성된 자질문자는 현재 한글이 유일하다. 그만큼 한글은 발전된 문자로 과학적이고 응용력이 다른 문자에 비할 바가 아니다. 현재 한국어 인구는 국내외 한민족 8천 5백만이라고 볼 수 있지만 21세기 들어 한류와 대한민국의 경제, 문화적 위상이 상승함에 따라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다. 해외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보급 기관의 수도 약 2천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 기관들에 등록 된 수강생 수가 25만여 명에 달하고 있다. 


c3743e4ca414b0f8a428040e1deecb4e_1699925545_3027.png
 

10월9일은 한글날이다. 세계 여러 나라의 문자들 중 문자의 날을 가지고 기념하는 문자는 없다. 한글의 위대한 점은 창제과정이 명확하고 세계 유일하게 반포 날자가 확실하다는 점이다. 세종대왕께서는 당시 계급적이고 기득권적인 소중화(小衆化) 시대의 사대주의 사상에 메어 있는 유교 정치인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남몰래 한글을 연구한 지 10여 년 만에 28자의 정음(正音)을 창제한 것이다.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본(1446년)과 동국정운(1447년)등 편찬 작업을 계속 추진하여 모든 백성들이 언어와 문자를 활용하여 의사소통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였는데 이는 단군조선 이래 우리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의 정신에 바탕을 둔 배려이다. 한글은 세계 언어학자들이 가장 과학적이고 우수한 문자로 인정하고 문자 없는 민족에게 권장하고 있는 문자이다. 앞으로 세계는 익히기 쉽고 사용하기 쉽고 모든 표현이 가능한 한글을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날이 와야 할 것이다. 인도의 타고르 시인은 한민족이 일제 식민 치하에서 신음할 때,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위치한 해가 제일 먼저 뜨는 한반도에서 동방의 등불이 다시 켜지는 날이 오기를 기원하였다. 그리고 “나의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나소서”를 외쳤는데 우리는 해방이 되었고 한글의 세계화가 실현될 날이 올 것이다.   


한국에서 학교 다닐 때 배워둔 붓글씨를 뉴질랜드에 와서 활용하게 되리라고는 생각도 못한 일이다. 그런데 지난 20여 년 동안 정부기관, 각 커뮤니티, 도서관, 박물관 행사, 다민족 행사, 한인 행사 등을 찾아다니며 붓글씨로 화선지에 내방객의 이름을 한글과 영문으로 써주고 때로는 격려가 될 만한 문구도 곁들여 주었다. 한자문화권 출신들한텐 한자 까지 함께 써주었는데 놀라운 표정으로 바라보았다. 현대의 젊은 중국인들은 한자를 간자체로 배워 자기 이름도 정식 한자로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땐 나는 한국 출신인데도 중국 한자를 수 천자 구사하고 있는데 당신은 한글을 왜 쓸지 모르느냐고 너스레를 떨기도 한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 이름에 대해서는 가장 친근한 심성(心性)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자기 이름을 붓글씨로 써서 주니 더욱 감개무량 하는 듯하다. 붓의 흐름이 주는 리드미컬한 변화를 실감하고 행복에 젓는 모습도 보인다. 하기야 붓글씨는커녕 연필이나 볼펜도 만져볼 일이 없이 컴퓨터 자판이나 스마트폰 키보드로 글씨를 타자하는 현대인이다.



한글서예는 한류의 주요 구성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류를 통해서 한국어와 한글에 더 친밀하게 접근할 수 있고 한글서예와 더불어 한류의 묘미를 더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금년 한글날을 키위들과 함께 기념해보자는 뜻에서 오클랜드 글랜필드 도서관이 주최한 한글 이름 써주기 행사를 진행해보았다. 어떤 애기 엄마는 자기 자녀 4남매와 동네 키위 자녀까지 5명의 어린이를 데리고 와서 이름을 써갔는데 어린이들이 즐거워하는 모습과 흐뭇해하는 엄마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 부부는 2개월짜리 영아를 보듬고 왔는데 내가 써준 이름을 성장한 아기가 펼쳐보며 특별한 감상에 젖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니 뿌듯한 느낌이 들었다. 


뉴질랜드 한국 대사관에서는 10월초 한국주간을 설정하고 웰링턴 한인회 주관 하에 K-Culture 전시, 공연, 영화제 등을 펼쳤는데 한글 특별 코너를 설치하여 이름 써주기와 한글 도해설명을 실시해 많은 외국인들이 한글과 더욱 친해지는 계기를 마련했다. 세종대왕의 뜻을 받들어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을 세계인들과 함께하자. 세계인들이 한글과 친해지도록 우리가 노력하며 10월 9일 한글날을 함께 기념하고 UNESCO에서 한글을 1997년 10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한바 있음을 상기해보자.

종에 비천상을 새긴 마음

댓글 0 | 조회 286 | 2023.11.29
오대산 상원사 동종 비천상종에 비천상을 새겨 넣은 것도 슬프다.슬픈 것도 감정이다.모든 감정이 나타났다 사라지도록 놔둔다.종소리, 여향, 정적…‘혼의불서하’든 ‘… 더보기

이익과 손실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15 | 2023.11.28
이익과 손실이란 무엇인가요?귀하의 이익과 손실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P&L’ 로 불립니다. 이는 때로 귀하의 소득 명세서 또는 수익 명세서로도 불립니다.귀… 더보기

호흡으로 암이 나을 수 있는가?

댓글 0 | 조회 342 | 2023.11.28
단전호흡을 하면 암이 나을 수 있는가? 묻는 분이 계시더군요. 그런데 우리 호흡으로 병이 낫는가 안 낫는가는 논의를 하지 마셨으면 합니다. 왜냐 하면 그 병이 어… 더보기

SNS 게시글로 인한 해고

댓글 0 | 조회 1,937 | 2023.11.28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이 퇴근 후에 하는 행동은 원칙적으로 사생활의 영역에 속하기에 고용주가 이를 문제 삼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근무시간 외의 행동이라고 하더라도 … 더보기

스마트폰, 여름방학

댓글 0 | 조회 435 | 2023.11.28
‘더 늦기 전에 이 미친짓을 그만둬라.’마치 머리에 띠를 두르고 불끈 쥔 두 주먹을 휘두르며 한 목소리로 외쳐대는 구호에나 딱 어울릴듯한 위의 문장은 사실 한 동… 더보기

집콕! 집순이들을 위한 초간단 스트레칭 루틴 (침대에서 가능)

댓글 0 | 조회 718 | 2023.11.28
날씨가 추워지거나 흐리면 자연스레 몸도 웅크려지기 마련인데요, 특히 바쁜 하루 일과를 끝낸 후에는 아무것도 하기 싫고 침대에 쏙 들어가 있거나 특별한 일이 없는 … 더보기

어그부츠와 미나리 형님

댓글 0 | 조회 514 | 2023.11.28
아직도 그 전화 번호를 잊지 않고 있다.833 8X8X 누르기만하면 자즈러질듯 반가워 하시던 그 형님의 목소리가 지금도 귀에 들리는 것 같다.전화 한 통화가 뭐 … 더보기

카페에서 설교를 준비하다

댓글 0 | 조회 549 | 2023.11.28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국의 한 칸짜리 빌린 방에아내 혼자 두고 나와유명 카페에 앉아 말씀을 펼친다뜨거운 커피 내리는 소리주문한 사람 부르는 소리컴퓨터 자판 두드… 더보기

비가 오면 손발이 저리나요?

댓글 0 | 조회 359 | 2023.11.28
누구나 한 번쯤 오랫동안 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가 움직일 때 저릿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저리다’는 느낌은 개인에 따라 저리다, 쑤시다, 감각이 … 더보기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댓글 0 | 조회 661 | 2023.11.24
필자의 오랜 친구가 파킨슨병으로 투병하다가 지난해 요양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매우 애석하게 생각한다. 필자가 이 친구를 처음 만난 것을 1940년대 왜관국민학교(초… 더보기

얼굴

댓글 0 | 조회 464 | 2023.11.15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내 아들을 본 사람들은나와 꼭 닮았다고 한다돌아가신 아버지 사진을 보면내가 어느새 아버지를 닮아있다아버지의 삶을 싫어했다가난한 목사가 싫었다… 더보기

리커넥트 2023년 연말 활동 보고

댓글 0 | 조회 457 | 2023.11.15
1. 홍수 피해 “LEND A HAND” 프로그램2023년 1월 말 오클랜드의 역사상 가장 심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지만, 또한 홍수 이후에 주… 더보기

하루 10분 초간단 복근 운동과 허리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426 | 2023.11.15
흔히들 복근 운동하면, 식스팩을 만들기 위한 강도 높은 운동을 떠올리기 쉬운데요, 막상 초보자들이나 허리가 약한 분들이 그런 운동을 따라하려다 보면, 괜히 어렵기… 더보기

깊은 슬픔이 흐르는 강

댓글 0 | 조회 376 | 2023.11.15
▲ 경남 합천 황강. 사진 합천군청 누리집사람의 정성이 나무와 쇠를 감동시킨 곳영남지방 낙동강의 지류 가운데 경남에서 가장 긴 강은 남강과 황강이다. 남강은 진주… 더보기

집에 웅덩이를 발견했다면

댓글 0 | 조회 581 | 2023.11.15
최근들어 물 누수나 물 웅덩이에 관한 질문이 많아 교민분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올립니다.아래 글은 워터 케어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개인 주택이나 카운실 소… 더보기

요가와 어떻게 다른가?

댓글 0 | 조회 356 | 2023.11.15
‘웰빙하면 요가’ 이렇게 떠올리는데 요가에서 단전호흡을 하지는 않습니다. 챠크라라고 해서 우리 몸에 신성을 깨우는 일곱 부분이 있다는 건 알지만, 그 중 하나가 … 더보기

새로운 Skilled Migrant Category (기술자 영주권 카테고리)

댓글 0 | 조회 1,230 | 2023.11.15
새로운 Skilled Migrant Category (SMC) 는 2023년 10월 9일에 시작되었으며 6점 시스템에 따라 운영됩니다. 재설계된 신청 프로세스는 … 더보기

나쁜 남자, 나쁜 문제

댓글 0 | 조회 531 | 2023.11.15
시험을 코 앞에 둔 아이들을 그래도 평소보다는 더 진지하고 더 차분합니다. 그동안 놀아재낀 시간이 미안해서일수도 있고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드신 부모님의 얼굴이 상… 더보기

우즈벡 다리를 만지고

댓글 0 | 조회 456 | 2023.11.15
앞 다리인지 뒷다리인지는 모르겠으나 우즈벡의 다리를 만져 보았다. 오래전에 배고파서 못 살겠다던 나라를 생각하면 되겠다. 대졸 사원 월급이 백만 원이면 아주 잘 … 더보기
Now

현재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511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어느 날 나의 사막으로 그대가 오면

댓글 0 | 조회 369 | 2023.11.14
시인 유하어느 날 내가 사는 사막으로그대가 오리라바람도 찾지 못하는 그곳으로안개비처럼 그대가 오리라어느 날 내가 사는 사막으로 그대가 오면모래알들은 밀알로 변하리… 더보기

부처님처럼 음식을 대하고 부처님처럼 음식을 먹는다

댓글 0 | 조회 449 | 2023.11.14
여러분은 ‘사찰음식’ 하면 무엇을 떠올리나요? 푸릇푸릇한 푸성귀나 야채, 나물들로 구성된 밥상을 먼저 생각할 수 있겠고요. 부처님오신날 나들이 삼아 절에 가면 공… 더보기

新기술이민,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1,261 | 2023.11.14
지난 10월 9일 시행에 들어간 새로운 기술이민법에 의하여 좀 더 간소화된 방법을 통해 보다 많은 전문기술인력이 영주권을 신청하고 이전보다 빠르게 승인받게 될 것… 더보기

AP 시험이란?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559 | 2023.11.14
한국 대학(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및 카이스트, 등등)이나 미국(Ivy league), 영국 등의 명문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AP(Advance… 더보기

잘못 알려진 한약의 효능

댓글 0 | 조회 442 | 2023.11.14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 가운데 “여름에 한약을 먹으면 땀으로 빠져나가는 게 아닙니까?” 하고 묻는 이들이 많다. 여름철에는 날씨가 덥고 땀을 많이 흘리니까 먹은 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