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만병통치 노리는 mRNA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1세기 만병통치 노리는 mRNA

0 개 848 박명윤

스웨덴 노벨위원회(Novel Committee)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커털린 커리코(64•Katalin Kariko, 헝가리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특임교수 겸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64•Drew Weissman, 미국인) 펜실베이니아대학 교수를 선정했다. 이들은 mRNA(전령 리보핵산, messenger RiboNucleic Acid) 백신을 개발해 신종감염병인 코로나19(COVID-19) 팬데믹(대유행)에서 인류를 구했다.


715a478c39d44eaf30fba5a98a4f0635_1699611335_7818.png
▲ 202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와이스먼과 커리코


노벨위원회는 “두 명의 노벨상 수상자에 의한 발견은 2020년 초 시작된 팬데믹 기간에 효과적인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 했다”면서 “mRNA가 면역체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현대 인류 건강이 위협에 처했을 때 전례 없는 백신 개발을 가능케 하는 데 기여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mRNA 기반 코로나19(COVID-19) 백신에는 ‘초고속 개발’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개발에 착수한지 불과 11개월 만에 사용 승인까지 받았기 때문이다. 백신 개발 역사상 전례 없는 빠른 속도다. 하지만 초고속 개발은 긴 시간 축적된 기초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1976년 헝가리의 한 박사과정 학생이 mRNA를 바이러스 퇴치에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 인물이 바로 커털린 커리코로,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주역이다.


노벨 생리학•의학상(生理學•醫學賞,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은 생리학 또는 의학에서 뛰어난 업적을 보인 사람에게 수여하는 노벨상이며, ‘노벨 생리의학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에서 주관한다. 노벨(Alfred Nobel, 1833-1896)이 생리학과 의학을 따로 구분한 것은 노벨이 살던 시대는 생리학이 오늘날의 여러 생물학 분야를 지칭했던 용어였기 때문이다.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은 이번 팬데믹 사태를 퇴치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전 백신 개발 역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첨단기술이다.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mRNA 방식으로 코로나19 백신을 빠르게 개발해내어 인류가 코로나19 공포에서 벗어나도록 도왔다. mRNA 백신이란 바이러스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사람 몸에 주입하여 체내에서 항원이 만들어 지도록 해 면역체계가 항체(抗體)를 만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유전물질은 세포분열 전에 DNA 자기복제(replication)에 의해서 복제되는데, 이때 두 가닥 사슬이 분리되어 그 각각의 가닥이 주형(鑄型)으로 작용하여 주형과 상보적인 새로운 가닥이 만들어진다. DNA(deoxyribonucleic acid, 디옥시리보핵산)는 모든 세포, 생물 및 바이러스에서 유전물질을 가진 핵산(核酸)이다. 유전정보는 DNA 주형으로부터 RNA가 전사(轉寫, transcription)되는 데 사용되며, mRNA 주형으로부터 단백질이 생성 또는 번역된다.


화이자(Pfizer)와 함께 세계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에 성공한 독일 바이오엔테크(BIONTECH)가 지난 10월 23일 암(癌)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를 처음 소개했다. 2008년에 설립된 바이오엔테크를 공동창업한 터키 출신 독일 이민자인 우구르 사힌과 외즐렘 튀레지 부부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 기반의 암 백신 CARVac에 대한 첫 임상시험 결과를 소개했다. 바이오엔테크는 오는 2030년까지 암 환자 1만명을 치료할 예정이다. mRNA가 21세기 만병통치(萬病通治)를 노리고 있다.


국내에서도 mRNA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화이자와 모더나가 mRNA를 활용한 코로나 백신 기술을 상용화하는데 성공한 이후 다수의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관련 시장에 뛰어 들었다. 현재 K-mRNA 컨소시엄, 아이진, 큐라티스 등 3곳이 mRNA 기반 백신 개발 임상을 진행 중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지원 연구사업으로 개발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핵심기술인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제조 기술을 국내 백신 개발사인 SML바이오팜에 지난 10월 20일 기술 이전을 했다. 지질나노입자 전달체는 mRNA 백신을 인체로 전달하는 전달체인 지질나노입자(LNP)의 핵심 구성성분 중 하나인 이온화지질(ionizable lipid)이다.



1955년 헝가리에서 태어난 커털린 커리코(Katalin Kariko)는 20년 이상 mRNA 연구에 매진한 집념의 과학자이다. 커리코는 연구 환경이 열악한 헝가리를 떠나 남편, 두 살배기 딸과 단돈 1천 달러를 들고 미국행을 감행했지만, 연구논문도 제대로 없는 연구자를 아무도 반기지 않았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의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mRNA 백신 연구에 전념했지만 불안정한 RNA를 활용하는 그의 연구는 번번이 벽에 부딪혔고, 그리고 1995년에는 암에 걸리는 시련을 맞았다.


포기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하던 그의 연구는 1998년 드루 와이스먼(Drew Weissman) 펜실베이니아대학 교수와 만나며 실마리를 찾았다. 와이스먼 교수는 1987년 보스턴대학교에서 면역학(immunology)과 미생물학(microbiology)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커리코 박사는 “실험은 실수하지 않는다. 다만 사람의 기대가 실수한다.”는 말을 하면서 실험에 매달렸고, 그 결과가 바로 인류를 구원한 mRNA이다. 두 사람은 모두 지독한 일벌레였다.


공동연구를 통해 2005년 mRNA 치료제의 염증 반응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했고, 2008년에 연기 수정 방식의 mRNA 처리 기술을 공개했으며, 2011년 바이오엔테크가 그의 기술을 도입했다. 카리코 박사가 기반을 놓은 mRNA 기술은 이후 2020년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이 인류를 덮쳤을 때 빠르게 백신을 만들 수 있는 기초 기술이 되었다. 이는 미증유의 위기에 대한 대책이 생각지 못한 곳에서 나온 것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코로나19(COVID-19) 백신 개발 레이스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화이자(Pfizer)와 모더나(Moderna)가 백신을 1년도 안 돼 개발하리라고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두 회사가 활용한 메신저리보핵산(mRNA)이라는 기술이 백신으로 쓰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코로나 백신 개발은 mRNA를 바라보는 세계 글로벌제약사들의 관점을 완전히 뒤바꿨다.


mRNA가 처음 발견된 건 1961년이다. mRNA는 DNA의 유전 정보를 단백질을 만드는 생체공장인 리보솜(ribosome)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론적으로는 mRNA를 이용해 생명체에 필요한 모든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 기술의 한계로 오랜 기간 의약품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1980년대 유전자증폭기술(PCR)이 개발되면서 DNA 서열로부터 mRNA를 합성할 수 있게 됐고, mRNA를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mRNA가 세포 안까지 들어가는 효율이 굉장히 낮고 세포에 들어가더라도 과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그 열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2000년에 들어 mRNA를 세포 안까지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기술이 나오고,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변형 mRNA가 개발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그리고 다양한 기술 혁신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지자 가능성의 영역에 머물던 mRNA 기술이 코로나 백신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mRNA 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신속성과 유연성이다. 즉 기존 백신처럼 바이러스 항원을 체내에 직접 주입하는 대신 몸 안에서 항원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mRNA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바이러스를 대량 배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기간이 짧아 단기간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빠르게 설계할 수 있어 초기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도 쉽다. 실제로 지난 2020년 1월 10일 중국에서 코로나 유전자 정보가 공개되자 모더나는 48시간 만에 백신을 설계했고, 25일 만에 1상(相) 임상시험(臨床試驗)에 필요한 백신을 만들었다. 임상시험(clinical trial)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하며, 1상에서는 약물의 흡수•분포•대사•배설 과정을 살펴본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mRNA 백신의 다음 타깃으로 계절성 독감(毒感)을 꼽고 있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를 일으킨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각 지역의 바이러스 유행 정보를 종합해 그해 겨울에 유행할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를 예측해 백신 성분에 포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백신 제조업체는 WHO 권고를 바탕으로 6개월간 유정란(有精卵)이나 동물 세포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해 백신을 생산한다.


그러나 실제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예측한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기 때문에 WHO의 예측과 다른 바이러스가 유행하면 백신을 접종해도 독감(influenza)에 걸리게 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09-2020년 독감 백신의 평균 예방 효과는 43%였다. 2014-2015년에는 예방 효과가 19%에 그쳤다.



반면 mRNA 백신은 생산 기간이 짧아 유행철에 맞춰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이에 갑작스럽게 신종 인플루엔자가 유행해도 바로 대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mRNA는 여름에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독감 백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남반구(南半球) 겨울에 실제로 유행한 바이러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단순히 추측을 기반으로 한 백신과 다르다. 모더나는 코로나와 독감을 동시에 예방하는 백신도 개발 중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mRNA 백신은 주로 암(癌) 치료용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정상 단백질과는 다른 돌연변이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면역 세포가 정상 세포와 암세포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면, 암세포만을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암을 치료하는 mRNA 백신의 원리는 먼저 암환자의 종양 세포조직을 잘라내 돌연변이를 분석하고, 어떤 특정한 단백질이 가장 강한 면역반응을 이끌어낼지 예측해 개인 맞춤형 mRNA 백신을 설계한다. 백신이 환자에게 주입되면 mRNA는 종양 세포의 돌연변이를 이물질로 인식하도록 면역체계를 훈련시키는 단백질을 생산하고 지시한다. 훈련된 면역체계는 몸 전반에 있는 비슷한 종양 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지난 40여년 효과적인 백신 개발에 실패한 에이즈(AIDS) 바이러스(HIV)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모더나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는 최근 원숭이를 이용한 HIV mRNA 백신 기초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mRNA 기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코로나 백신은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11개월 만에 세상에 나올 수 있었지만, 다른 백신이나 치료제는 임상시험부터 승인까지 몇 년이 걸릴지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바이오협회 자료에 따르면, 3상 임상시험까지 가더라도 60%는 시장에 출시되지 못했다. mRNA가 전염병을 넘어 사용될 가능성은 많지만, 큰 도약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715a478c39d44eaf30fba5a98a4f0635_1699611477_0545.jpg
 

종에 비천상을 새긴 마음

댓글 0 | 조회 286 | 2023.11.29
오대산 상원사 동종 비천상종에 비천상을 새겨 넣은 것도 슬프다.슬픈 것도 감정이다.모든 감정이 나타났다 사라지도록 놔둔다.종소리, 여향, 정적…‘혼의불서하’든 ‘… 더보기

이익과 손실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15 | 2023.11.28
이익과 손실이란 무엇인가요?귀하의 이익과 손실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P&L’ 로 불립니다. 이는 때로 귀하의 소득 명세서 또는 수익 명세서로도 불립니다.귀… 더보기

호흡으로 암이 나을 수 있는가?

댓글 0 | 조회 341 | 2023.11.28
단전호흡을 하면 암이 나을 수 있는가? 묻는 분이 계시더군요. 그런데 우리 호흡으로 병이 낫는가 안 낫는가는 논의를 하지 마셨으면 합니다. 왜냐 하면 그 병이 어… 더보기

SNS 게시글로 인한 해고

댓글 0 | 조회 1,934 | 2023.11.28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이 퇴근 후에 하는 행동은 원칙적으로 사생활의 영역에 속하기에 고용주가 이를 문제 삼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근무시간 외의 행동이라고 하더라도 … 더보기

스마트폰, 여름방학

댓글 0 | 조회 435 | 2023.11.28
‘더 늦기 전에 이 미친짓을 그만둬라.’마치 머리에 띠를 두르고 불끈 쥔 두 주먹을 휘두르며 한 목소리로 외쳐대는 구호에나 딱 어울릴듯한 위의 문장은 사실 한 동… 더보기

집콕! 집순이들을 위한 초간단 스트레칭 루틴 (침대에서 가능)

댓글 0 | 조회 716 | 2023.11.28
날씨가 추워지거나 흐리면 자연스레 몸도 웅크려지기 마련인데요, 특히 바쁜 하루 일과를 끝낸 후에는 아무것도 하기 싫고 침대에 쏙 들어가 있거나 특별한 일이 없는 … 더보기

어그부츠와 미나리 형님

댓글 0 | 조회 514 | 2023.11.28
아직도 그 전화 번호를 잊지 않고 있다.833 8X8X 누르기만하면 자즈러질듯 반가워 하시던 그 형님의 목소리가 지금도 귀에 들리는 것 같다.전화 한 통화가 뭐 … 더보기

카페에서 설교를 준비하다

댓글 0 | 조회 548 | 2023.11.28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국의 한 칸짜리 빌린 방에아내 혼자 두고 나와유명 카페에 앉아 말씀을 펼친다뜨거운 커피 내리는 소리주문한 사람 부르는 소리컴퓨터 자판 두드… 더보기

비가 오면 손발이 저리나요?

댓글 0 | 조회 359 | 2023.11.28
누구나 한 번쯤 오랫동안 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가 움직일 때 저릿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저리다’는 느낌은 개인에 따라 저리다, 쑤시다, 감각이 … 더보기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댓글 0 | 조회 660 | 2023.11.24
필자의 오랜 친구가 파킨슨병으로 투병하다가 지난해 요양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매우 애석하게 생각한다. 필자가 이 친구를 처음 만난 것을 1940년대 왜관국민학교(초… 더보기

얼굴

댓글 0 | 조회 461 | 2023.11.15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내 아들을 본 사람들은나와 꼭 닮았다고 한다돌아가신 아버지 사진을 보면내가 어느새 아버지를 닮아있다아버지의 삶을 싫어했다가난한 목사가 싫었다… 더보기

리커넥트 2023년 연말 활동 보고

댓글 0 | 조회 455 | 2023.11.15
1. 홍수 피해 “LEND A HAND” 프로그램2023년 1월 말 오클랜드의 역사상 가장 심한 홍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지만, 또한 홍수 이후에 주… 더보기

하루 10분 초간단 복근 운동과 허리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425 | 2023.11.15
흔히들 복근 운동하면, 식스팩을 만들기 위한 강도 높은 운동을 떠올리기 쉬운데요, 막상 초보자들이나 허리가 약한 분들이 그런 운동을 따라하려다 보면, 괜히 어렵기… 더보기

깊은 슬픔이 흐르는 강

댓글 0 | 조회 375 | 2023.11.15
▲ 경남 합천 황강. 사진 합천군청 누리집사람의 정성이 나무와 쇠를 감동시킨 곳영남지방 낙동강의 지류 가운데 경남에서 가장 긴 강은 남강과 황강이다. 남강은 진주… 더보기

집에 웅덩이를 발견했다면

댓글 0 | 조회 580 | 2023.11.15
최근들어 물 누수나 물 웅덩이에 관한 질문이 많아 교민분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올립니다.아래 글은 워터 케어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개인 주택이나 카운실 소… 더보기

요가와 어떻게 다른가?

댓글 0 | 조회 356 | 2023.11.15
‘웰빙하면 요가’ 이렇게 떠올리는데 요가에서 단전호흡을 하지는 않습니다. 챠크라라고 해서 우리 몸에 신성을 깨우는 일곱 부분이 있다는 건 알지만, 그 중 하나가 … 더보기

새로운 Skilled Migrant Category (기술자 영주권 카테고리)

댓글 0 | 조회 1,230 | 2023.11.15
새로운 Skilled Migrant Category (SMC) 는 2023년 10월 9일에 시작되었으며 6점 시스템에 따라 운영됩니다. 재설계된 신청 프로세스는 … 더보기

나쁜 남자, 나쁜 문제

댓글 0 | 조회 531 | 2023.11.15
시험을 코 앞에 둔 아이들을 그래도 평소보다는 더 진지하고 더 차분합니다. 그동안 놀아재낀 시간이 미안해서일수도 있고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드신 부모님의 얼굴이 상… 더보기

우즈벡 다리를 만지고

댓글 0 | 조회 455 | 2023.11.15
앞 다리인지 뒷다리인지는 모르겠으나 우즈벡의 다리를 만져 보았다. 오래전에 배고파서 못 살겠다던 나라를 생각하면 되겠다. 대졸 사원 월급이 백만 원이면 아주 잘 …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508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어느 날 나의 사막으로 그대가 오면

댓글 0 | 조회 367 | 2023.11.14
시인 유하어느 날 내가 사는 사막으로그대가 오리라바람도 찾지 못하는 그곳으로안개비처럼 그대가 오리라어느 날 내가 사는 사막으로 그대가 오면모래알들은 밀알로 변하리… 더보기

부처님처럼 음식을 대하고 부처님처럼 음식을 먹는다

댓글 0 | 조회 449 | 2023.11.14
여러분은 ‘사찰음식’ 하면 무엇을 떠올리나요? 푸릇푸릇한 푸성귀나 야채, 나물들로 구성된 밥상을 먼저 생각할 수 있겠고요. 부처님오신날 나들이 삼아 절에 가면 공… 더보기

新기술이민,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1,260 | 2023.11.14
지난 10월 9일 시행에 들어간 새로운 기술이민법에 의하여 좀 더 간소화된 방법을 통해 보다 많은 전문기술인력이 영주권을 신청하고 이전보다 빠르게 승인받게 될 것… 더보기

AP 시험이란?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558 | 2023.11.14
한국 대학(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및 카이스트, 등등)이나 미국(Ivy league), 영국 등의 명문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AP(Advance… 더보기

잘못 알려진 한약의 효능

댓글 0 | 조회 441 | 2023.11.14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 가운데 “여름에 한약을 먹으면 땀으로 빠져나가는 게 아닙니까?” 하고 묻는 이들이 많다. 여름철에는 날씨가 덥고 땀을 많이 흘리니까 먹은 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