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또는 5 아니면 다? 그것이 문제로다 !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4 또는 5 아니면 다? 그것이 문제로다 !

0 개 4,135 정동희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을 계획하고 있는 당신은 필경, “유학 후 이민과정”을 두고 고민하셨을 겝니다.

그간 귀하가 (한국에서) 쌓아온 경력과 학력, 그리고 불가능해 보이는 IELTS 6.5 성적표 등으로 NZ이민을 적극 고려하다 보면 결국, NZ학력인 요리학과, 비즈니스, IT 과정 등을 통한 “새 출발”을 적극 고려하게 되지요. 

이들 코스 중에 대표주자인 요리학과는 레벨 3부터 레벨 5의 과정까지 나뉘어 있으며 이민을 위해서는 레벨 4 이상의 코스를 선택하셔야만 합니다.   

어쩌면, 짜장면과 짬뽕의 고민일 수도 있는 레벨 4와 5의 공통점, 차이점 그리고 장단점을, 오늘 한번 속속들이 들여다 보겠습니다. 

<1년짜리 요리학과 레벨 4 또는 5>
공통점 1 : 1년 코스후 영어인터뷰 대체로 가능!!
레벨 4든 5든, 두 개의 코스는 각각 1년짜리가 아직도 존재하며 1년만 공부해도 NZ 기술이민으로 가는 학력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졸업 후 기술이민으로 영주권 신청시에 IELTS 6.5 성적표 없이도 잡오퍼가 있다면 영어는 전화 인터뷰로 대체가 되는게 요즘 상황입니다. 그러나, 간혹 인터뷰도 없이 성적표를 제출하라는 강성의 이민관도 있으니 전문가의 도움으로 잘 준비하셔야겠습니다.  

공통점 2 : 가족 비자 혜택이 미미하오!
이것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독신자에겐 거리가 먼 이야기가 되겠지만,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가정에게는 큰 고민거리가 되지요. 즉, 1년짜리 요리학과 레벨 4와 5는 (레벨 7이 아니라면!!-있지도 않지만!!) 배우자-오픈 워크비자, 취학자녀-학비감면혜택 학생비자가 발급되지 않는답니다. 한편, “미미하다”는 말은, 배우자에게 동일한 기간만큼의 방문비자는 발급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공통점 3 : NO 잡서치 및 최장 2년 워크비자
위의 공통점 2와 같이 예전엔 있었으나 이젠 없어진 혜택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졸업 후 어떤 비자로 체류하게 되는지 궁금하시지요? 넷 중 하나랍니다. 또 다른 코스를 다니시겠다면 학생비자를, 방문비자로 체류하시겠다면 방문비자를, 그리고 잡오퍼가 있다면 워크비자(여기엔, 일반워크비자와 장기부족인력군 워크비자가 있음) 중 하나를 택하여 신청하게 됩니다. 나머지 하나는 워킹 할리데이비자. 이 중에 워크비자를 받게 되면 기술이민 신청의 필수 자격요건을 갖추게 되지요. 그러므로, 학생비자 시절 동안 주력할 일은 후일 풀타임 잡오퍼를 서포팅해 줄 수 있는 고용주를 찾는 것입니다.

공통점 4 : 장기부족 인력군 리스트의 chef 자격
기술이민에서는 chef로서의 qualification으로 인정이 되지 않으나, 장기부족 인력군 리스트에서는 레벨 5와 함께 당당히 인정받는 학력인 요리학력 레벨 4. 그 자격 여부를 아래 표에서 확인하시길.

immi 1.jpg

차이점 1 : 서로 넘나들 수 없는 직책(잡오퍼) 
레벨 4는 chef가 될 수 없으며 레벨 5는 baker가 될 수 없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만, 아래 표를 보시면 더 자세히 아실 수 있습니다.
immi 2.jpg

차이점 2 : 직책에 따른 급여의 차이
ANZSCO 직업군 리스트에서 규정하듯, baker와 chef는 급이 다릅니다. chef가 좀 더 높은 직급이며 급여 또한 일반적으로 더 높다는 말과 일맥상통하지요. 

다음의 정보는 이민부가 워크비자 및 영주권 심사시에 참조하는 중요한 통계자료입니다.
immi 3.jpg

공통점과 차이점 : 부족 인력군 리스트(ESID) 등재
2014년 3월 24일부터 현재까지 효력이 있는 장/단기 부족 인력군 리스트에 baker와 chef 둘 다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그러나, baker는 단기(Immediate Skill Shortage List)에, 그리고 chef는 장기(Long Term Skill Shortage List) 리스트에 속해 있다는 점은 차이점이네요.

<2년 과정의 요리학과 레벨 4와 5>
레벨 4와 5를 약 2년의 기간 동안 학습하게 되는 이 과정의 단점은 위에 언급한 공통점 2번입니다만, 장점으로는 위의 공통점 3번이 졸업 후부터는 가능해 진다는 것입니다.

잡서치 비자 기간부터 가족들도 다 혜택 있는 비자로 가능하며 풀타임 잡오퍼를 찾게 되면 영주권 신청도 할 수 있고, 잡오퍼가 있는 경우 잡서치 이후에 최장 2년의 워크비자까지도 보장이 됩니다. 즉, 학업 2년 고생으로 최장 3년의 워크비자가 용이해지며 영주권에도 한층 가까워지죠.

한편, 요리학과 학력과 요리사로서의 경력이 5년 이상인 분들은 이민전문가와 함께 기술이민 외에도 장기부족인력군 카테고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시길 권하는 바입니다. 

人生을 바꿀 수도 있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731 | 2020.08.26
희망차게 시작했던 2020년이 코로나 19의 예기치 않은 습격으로 인하여 어언 3분의 2가 휘이익 지나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무섭다는 것을 … 더보기

“新장기사업비자(사업비자)” 시대를 맞이하며

댓글 0 | 조회 3,751 | 2014.01.15
지난 연말휴가를 앞둔 12월 13일, 이민부는 하나의 빅뉴스를 터트렸습니다. 10년 넘게 시행해오던 “Long Term Business Visa(장기사업비자)” … 더보기

최신 이민정보로 人生이 바뀔 지도

댓글 0 | 조회 3,754 | 2020.06.09
이젠 New Normal 시대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뉴 노멀이라는 것은, 비정상의 정상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며 코로나 이전의 시대로는 돌아갈 수가… 더보기

주도면밀한 사람이 영주권을 잘 딴다 !!

댓글 0 | 조회 3,755 | 2016.12.06
잡오퍼를 포함하여 딱 100점이 되더라도 기술이민으로 얼마든지 영주권에 도전할 수 있었기에 그 외의 5점, 10점의 가치가 전혀 존중되지 않았던 지난 10월 12… 더보기

11월 11일의 기술이민 의향서 분석

댓글 0 | 조회 3,790 | 2015.11.25
일반이민 또는 점수제 이민으로도 불렸던 현 기술이민(SMC -Skilled Migrant Category)은 외국에서 보기엔, 참으로 복잡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 더보기

요리괴담,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3,842 | 2016.09.15
우리는 흔히, 괴이하고 이상한 이야기를 “괴담”이라고 부릅니다. 특정인, 특정그룹에 의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이야기일수도 있고 “카더라” 통신에 의해 슬… 더보기

2014년도 취업비자 기각사유 베스트 5

댓글 0 | 조회 3,844 | 2014.08.13
일반취업비자(정식명칭은 Essential skills work visa-이하, 취업비자)의 승인은 저 뿐만 아니라 그 누구에게나 기쁜 소식이지만, 안타깝게도 기각… 더보기

기술이민, 이것이 궁금했다!!

댓글 0 | 조회 3,878 | 2016.04.28
이민 컨설팅 18년차인 저에게 기대하는 답변이 있습니다. “됩니다”라는 단 한마디가 그것이 가장 듣고 싶은 거지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대답은 “승인이냐, … 더보기

이민법무사와 이민부가 보는 비자 심사의 속도

댓글 0 | 조회 3,882 | 2021.02.24
20년 넘게 이민컨설팅을 해온 저는 “이민은 real time” 이라는 것을 고객들에게 늘 주지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리얼 타임을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지금, … 더보기

유학후 이민이 아직도 되나, 혹쉬?

댓글 0 | 조회 3,886 | 2020.02.26
유학후이민 트랙이 지배적이었던 호시절이 있었습니다. 예컨대, 요리학과 1년 마치고 잡서치 오픈 워크비자를 손에 쥐면 그동안 파트타임하던 고용주로부터 풀타임 잡오퍼… 더보기

이민부가 절대 보장하지 않는 것들

댓글 0 | 조회 3,913 | 2017.10.25
살다 보면“100% 보장”이라는 문구를 적지 않게 만나게 됩니다.이민업계에 몸 담아온 지난 20년 동안 저 역시 그러한 질문과 많이 마주해 왔습니다. 저의 컨설팅… 더보기

4월 요리학과를 준비하는 당신에게

댓글 0 | 조회 3,937 | 2016.02.11
올해로 18년째를 맞는 이민컨설팅이지만 지난 몇 년간은 “거두절미하고 유학후 이민, 단연코 요리학과 !!”라는 결론부터 말하면서 이민상담을 진행해 왔지요.2016… 더보기

이러한 비자들이 심사되는 법

댓글 0 | 조회 3,959 | 2022.11.21
뉴질랜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한국인 국적자(한국 여권을 소지하고 뉴질랜드 영토에 입국한 자)라면 그 어떤 비자라도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요. 한-뉴 간… 더보기

코로나19에 필요한 이민정보 119

댓글 0 | 조회 3,983 | 2020.05.27
지난 짧은 기간 동안 코로나 19(이하, 코로나)로 인하여 이민지형이 상당히 많이 바뀌어 왔으며 앞으로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더보기

장기부족인력군과 4월의 요리학과 진학

댓글 0 | 조회 3,984 | 2017.02.22
매년 1~2회 정도 업데이트되는 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LTSSL)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카더라”통신의 근원이 됩니다.이 리스트에서 빠지면 영주권도 안 되고, 워크… 더보기

7.16 개정에 따른 워크비자신청 가이드

댓글 0 | 조회 3,999 | 2021.07.21
코로나-19(이하, 코로나)의 영향은 마치 뉴질랜드의 겨울날씨 같아요. 햇볕이 쨍하게 나오는 듯 하다가도 갑자기 폭우가 쏟아집니다. 그냥, 이 계절의 날씨가 그러… 더보기

알아야 받든 말든 하지, 너, 가디언 비자 !!

댓글 0 | 조회 4,006 | 2016.08.24
한때는 말이죠. 큰 돈을 들여서 유학생(International student)으로 아이를 뉴질랜드에서 유학을 시키면서도 정작, 가디언인 부모는 체류할 비자가 마… 더보기

요리사, 부족인력군에 남기로 하다

댓글 0 | 조회 4,035 | 2015.01.14
2015년 새해에 부디 바라옵기는, 새로운 캘린더에 새로운 이민법이 생겨나서 새로운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어 교민사회에도 새로운 일들이 많이 벌어지길 소원합니다.… 더보기

명쾌하게 정리한 新워크비자 이민법

댓글 0 | 조회 4,044 | 2019.09.24
누군가를 아주 오랫동안 기다리다 보면 여러 단계의 심리적 상태를 지나게 됩니다. 약속시간이 지나면서 처음엔 화가 나서 실망하다가, 역지사지해 보면서 상대를 이해해… 더보기

“줄 때 받는”요리사의 LTSSL 워크비자

댓글 0 | 조회 4,055 | 2018.02.27
한국에서의 학력과 경력과는 무관하게, 뉴질랜드에서 요리학과 1년 또는 2년 졸업후 잡오퍼를 구하기만 하면 영주권 신청이 가능했던 호시절이 있었습니다. 따지고 보면… 더보기

통계자료로 보는 국적별 영주권 취득 분석

댓글 0 | 조회 4,086 | 2018.09.11
이민부의 회계연도는 매년 7월 1일 새로 시작됩니다. 그렇다면, 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전 12개월의 통계자료에는 과연 어떠한 정보가 담겨 있으며 우리에게 … 더보기

내 비자가 심사되는 법

댓글 0 | 조회 4,101 | 2020.09.23
뉴질랜드 비자 신청을 희망하는 전 세계인에 대해서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적인 안내를 24시간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비자 심사 과정 전반…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본 新기술이민시대

댓글 0 | 조회 4,115 | 2017.09.26
8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新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 egory, SMC)의 충격은 그 어느 변경보다 강력했습니다.그 여파로 인하여 이미 … 더보기
Now

현재 4 또는 5 아니면 다? 그것이 문제로다 !

댓글 0 | 조회 4,136 | 2014.05.14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을 계획하고 있는 당신은 필경, “유학 후 이민과정”을 두고 고민하셨을 겝니다. 그간 귀하가 (한국에서) 쌓아온 경력과 학력, 그리고 불가능… 더보기

이민부가 막~ 업데이트한 이민정보 Q & A

댓글 0 | 조회 4,155 | 2015.03.24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