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0 개 1,617 수선재
자기 존재를 너무 드러내는 것은 사실 사랑이 아닙니다.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게 해주는 게 사랑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구나’ 하고 느끼게 해주는 게 사랑입니다. 아침저녁으로 ‘당신을 사랑한다’고 표현하고, 참견하는 것이 사랑이 아닙니다. 

사랑이라는 것을 아무리 설명을 해도 잘 와 닿지 않으실 텐데요. 어느 정도의 차원이냐 하면, ‘같은 하늘아래 숨 쉬고 있는 것만도 너무 고맙다’라고 생각하는 게 사랑입니다. 그리고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말을 안 해도 자연스레 상대방에게 전달이 됩니다. 

뭘 요구하는 게 없는 거예요. 그냥 ‘살아있고, 같은 공기 마시며 숨 쉬고 있는 것만도 너무 고맙다’이런 마음. 다 아시게 되시겠죠? 그게 사랑입니다.
 
보고 싶다고, 같이 있자고 보채지도 않죠. 같이 숨 쉬는 것만으로도 고마운데 요구할 게 뭐가 있나요? 참 밋밋하기 짝이 없는 거지만, 그게 진짜 사랑입니다. 그렇게 사랑이라는 게 그냥 덤덤해집니다. 동물적인 차원에서 인간적인 차원으로 넘어오는 것입니다. 

점점 내가 그 사람을 위해서 진짜 걱정해주고 울어줄 수 있는 마음이 됩니다. 내가 아무리 진심으로 누구를 사랑한다고 해도 사람은 굉장히 이기적이어서, 나한테 손해를 끼치면 탁 돌아섭니다. 그러다가 점점 그냥 있어주는 것만도 고마워지는 그런 단계가 됩니다. 사랑의 방식이 다른 차원으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내가 아는 것만 사랑인 줄 알았는데, 다른 방식으로 사랑할 줄 알아갑니다. 

참 폐쇄적으로 살아가다가, 이곳에 오셔서 명상을 하시면서 비로소 발을 빼고 나와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 사는 것도 바라보게 되십니다. 눈을 넓게 가지고 바라보면 되는데, 자기 가정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살아갑니다. 

점점 아이들도 ‘내 아이’가 아니라 그냥 하나의 인간으로서 보이게 됩니다. 내 아이를 보는 눈이나 다른 아이나 보는 눈이 같아져요. 다 내 아이입니다. 그런데 ‘내꺼’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바라보아지는 겁니다. 내 새끼, 내 핏줄, 이렇게 보는 게 아닙니다. 

그러면 편애가 없어지고 다 인간으로서 혜택을 누리고 사랑을 받고, 두루두루 그런 마음이 생깁니다. 내 아이만 예뻐하는 게 사랑이 아니고, 남의 아이한테 잘해 줌으로써 내 아이한테도 잘해주는 것이 됩니다. 

사랑은 누군가에게 베풀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또 누군가의 사랑을 받게 됩니다. 그러니까 항상 주고받는 사람은 일정치가 않아요. 나는 저 사람한테 주었는데 받는 건 이 사람한테 받고, 내 아이들에게 직접 사랑을 주지 않아도 내가 다른 곳에 사랑을 주면 그 아이들이 다른 곳에서 사랑을 받게 되는 원리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 (Ⅰ)

댓글 0 | 조회 1,612 | 2016.05.25
그러면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 인간관계는 어떻게 해야 되는가?우리 교육에서도 그렇고 사회에서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자… 더보기

길들여진다는 것

댓글 0 | 조회 1,310 | 2016.05.11
사람이 태어나서 사회화가 됩니다. 길들여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길들여지는 것처럼 무서운 것은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부부의 예를 들어보면, 한 사람이 한 … 더보기

자유로운 사람

댓글 0 | 조회 1,736 | 2016.04.28
사람은 언제 자유로워지는가? ‘자유롭고 싶다’고 아무리 생각을 해도 결코 자유롭지 않습니다. 왜 그런가? 인간은 수치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치심을 버리면… 더보기

우울증

댓글 0 | 조회 1,371 | 2016.04.14
우울증의 근본원인은 목표가 없는 것입니다. 작은 목표가 있어야 됩니다. 큰 목표만 있고 작은 목표가 없을 때, 구체적인 목표가 와 닿지 않을 때 우울증이 생깁니다… 더보기

일본이 사랑한 마에스트로

댓글 0 | 조회 2,286 | 2016.03.24
자주 보는 프로그램 중에 ‘클래식 오딧세이’라는 게 있습니다. 엊그제 보니까 ‘일본이 사랑한 마에스트로’라는 제목으로 정명훈이 나왔더군요. 그 한 시간짜리 프로를… 더보기

자기 아궁이는 자기가

댓글 0 | 조회 1,701 | 2016.03.09
저는 미지근한 걸 싫어합니다. 미지근하다는 건 시름시름, 하는 것도 아니고 안 하는 것도 아닌 상태, 밥이 끓는 것도 아니고 안 끓는 것도 아니고 내내 앓는 소리… 더보기

열정

댓글 0 | 조회 1,462 | 2016.02.25
무심에 들어가면 열정이 생깁니다. 당연히 힘이 남아도니까 열정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됩니다.그런데 열정이라는 것이 밖에서 얻어지는 게 아닙니다. 의욕이 없… 더보기

용서

댓글 0 | 조회 1,438 | 2016.02.10
사람이 제일 힘든 게 용서입니다. 용서하기가 참 힘듭니다. 기독교는 사랑입니다. 그저 사랑을 베풀면 됩니다. 테레사 수녀 이런 분들이 아무 것도 가진 것 없이 가… 더보기

사람다운 사람

댓글 0 | 조회 1,483 | 2016.01.27
요즘 제가 자주 하는 말이 ‘사람다운 사람이 보고 싶다’ 입니다. 그런 사람이 보고 싶어요. 다들 언젠가는 사람다운 사람으로서, 스스로 생각해도 괜찮은 사람, 멋… 더보기

시시하게 하지 마라

댓글 0 | 조회 1,938 | 2016.01.14
무슨 일 할 때 시시하게 하지 마십시오. ‘내 분야에서 나는 일인자가 되어야겠다, 남이야 알아주든 말든 내가 만족할 수 있는 경지까지 가야겠다’ 자신에 대한 자부… 더보기

무용수의 자신감

댓글 0 | 조회 1,653 | 2015.12.22
엊그제 제가 TV에서 한 인간을 보고 굉장히 감동을 받은 일이 있습니다. 중국에 사는 조선족 무용수인데, 스물여덟 살까지는 남자였습니다. 성전환 수술을 해서 여자… 더보기

내 인생의 주인

댓글 0 | 조회 1,415 | 2015.12.09
인생의 주체가 누구냐? 인생을 드라마라고 보면, 내가 연출가냐 배우냐? 아니면 무대장치냐? 자기가 연출가도 돼야 하고 배우도 돼야 합니다. 자기 인생은 자기 마음… 더보기

환경은 마음의 표현

댓글 0 | 조회 1,603 | 2015.11.26
환경은 자기 마음의 다른 표현입니다. 자기가 불러들이는 겁니다. 우리가 뭘 본다 할 때 다 보지 않죠. 삼라만상이 있는데 그게 다 보이지 않아요. 자기가 보는 것… 더보기

너무 많이 요구하는 사회

댓글 0 | 조회 1,535 | 2015.11.11
팔방미인이란 말처럼 사실 불명예는 없습니다. 아무 것도 못한다는 얘기거든요. 에너지라는 건 어떤 한 쪽으로 집중해서 쓸 때 파워도 실리고, 계발도 되는 것입니다.… 더보기

하고 싶은 일을 찾아야

댓글 0 | 조회 1,451 | 2015.10.28
자신의 일은 우선 ‘하고 싶은 일’ 입니다. 그것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심으로 원하는 게 있고 겉으로 원하는 게 있습니다. 명상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걸 … 더보기

자신의 자리

댓글 0 | 조회 1,653 | 2015.10.14
옛날에 공자님 말씀에, ‘시골 마을 촌장이 나오려면 바보가 천명이 있어야 된다’는 내용이 있어요. 무슨 얘기냐 하면, 촌장이라는 지도자 한 명을 만들려고 해도 그… 더보기

창조적인 일

댓글 0 | 조회 1,390 | 2015.09.23
일이라는 건 사람이 만드는 것입니다. 일이 생겨나서 사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만든 것이 일입니다. 또한 일이란 생존이 아닌 공영의 의미를 띨 때 보다… 더보기

돈에 관한 이야기 둘

댓글 0 | 조회 1,501 | 2015.09.09
하나. 몇 년 전 아는 분이 위암에 걸려 6개월의 시한부 인생을 선고 받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제게 내의 한 벌을 사 들고 와서는 ‘이제부터 남은 인생은 먹고… 더보기

무심으로 베풀기

댓글 0 | 조회 1,304 | 2015.08.26
남에게 무엇을 해줄 때 제일 좋은 거는 무심입니다. 이런 저런 생각이 없는 것입니다. 베풀겠다는 생각도 없고, 받겠다는 생각도 없어야 합니다. 왜 베풀겠다는 생각… 더보기

주는 사람, 받는 사람

댓글 0 | 조회 1,361 | 2015.08.12
제가 옛날에 아는 분에게 10만원권 구두표를 한 장 드린 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런 것이 흔히 주거니 받거니 하던 일이었기 때문에 그랬는데, 그 분은 그걸 받으시… 더보기

넉넉한 마음

댓글 0 | 조회 1,566 | 2015.07.29
사람들은 돈을 어디다 낼 때는 근사하게 명분이 있는 데만 냅니다. 그리고 이 돈으로 뭘 해라, 조건이 붙습니다. 그런데 돈을 쓰는 방법은 그런 게 아닙니다. 그냥… 더보기

내 것이 아니다

댓글 0 | 조회 1,445 | 2015.07.15
돈을 어떻게 써야 하느냐? ‘쓰는 거야 쉽지, 있는 돈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 그럴 수도 있는데, 돈을 쓸 줄 아는 사람이 참 드물더군요. 제대로 … 더보기

인간으로서의 기본

댓글 0 | 조회 1,078 | 2015.06.23
우리는 여성해방이 아니라 인간 해방을 이루어야 합니다. 명상이란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제약 요소로부터 해방돼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것인데, 하물며 가장 기본적… 더보기

돈을 버는 능력

댓글 0 | 조회 1,588 | 2015.06.09
누구든지 돈을 버는 능력을 한두 가지 정도는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돈을 벌 줄 몰라서 못 버는 거하고, 벌 줄 아는데 지금은 내가 다른 거 하는 시기여서 안 버… 더보기

현재 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댓글 0 | 조회 1,618 | 2015.05.26
자기 존재를 너무 드러내는 것은 사실 사랑이 아닙니다.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게 해주는 게 사랑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구나’ 하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