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에 비천상을 새긴 마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종에 비천상을 새긴 마음

0 개 290 템플스테이

오대산 상원사 동종 비천상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112_7736.png
 

종에 비천상을 새겨 넣은 것도 슬프다.

슬픈 것도 감정이다.

모든 감정이 나타났다 사라지도록 놔둔다.

종소리, 여향, 정적…

‘혼의불서하’든 ‘석가모니불’이든 다 흩어지는 것이니

나는 허무를 터득하겠노라.


이곳이 극락이고, 서방정토구나. 부처님이 계신 깨달음의 자리구나. 범종이 울리면 공후와 생황을 연주하는 하늘 사람이 구름을 타고 나타나 천상의 음악을 연주하고, 듣는 이들은 입체영상이 펼쳐지는 아이맥스 화면 같은 판타지 속에서 천국을 경험하게 된다. 중생들은 적어도 지상에서 삶의 고통과 시련을 잠시 잊고 지금 이곳이 극락이 되는 기쁨을 얻게 될 것이다.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136_6069.png
 

주악비천상에 두근두근


상원사 동종을 만들고, 비천상을 담은 이의 연출 의도는 이랬을 것이다. 그리고 1,3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마음은 생생하게 전해져 보는 사람들의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진 현존하는 우리나라 범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국보 상원사 동종. 종의 중심부에 양각으로 고악기를 연주하는 두 천인을 표현하여 주악비천상이라 일컫는다.


지구 밖의 존재인 E.T.는 생김새와 성질을 알 수 없는 미지의 것이어서 외계인이라고 부르지만 우리가 모르는 전혀 다른 형태로 있을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어떤 이는 음악이 외계의 존재일 수도 있다고 상상력을 펼치곤 한다. 우리 곁에 늘 있으면서도 변화무쌍하게 제각각 다른 선율과 리듬으로 다가와서 사람의 마음과 감정을 후벼 파기도 하고, 다른 세계를 열 수 있도록 영감을 주기도 하는 음악이라는 미지의 존재. 바흐에서 비틀즈까지, 아프리카 타악곡에서 인디언 피리소리까지, 사이키델릭한 일렉트로닉 사운드에서 재즈와 구음 시나위까지 천변만화하고 다종다양한 음악이 어쩌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다.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162_6248.png
 

상원사 동종을 자세히 보면 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의 용이 조각되어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연꽃과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범종은 용을 상징하고, 종을 치는 나무인 당목은 고래를 상징한다. 고래를 만나 놀란 용의 비명이 바로 종소리인 것이다. 그 날카로운 울음소리가 지옥에 떨어져 있는 중생들까지 깨워 모두를 해탈시키는 것이 종의 목표다.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안동의 『영가지』에 의하면 안동루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에 예종의 국명에 의하여 상원사로 옮겼다고 하는데, 원래 있던 곳에 36개의 연뢰 중에 하나를 잘라 두었다고 전해진다. 상원사동종을 자세히 보면 정말로 연뢰 하나가 부러져 없는 것을 알수 있다.


공후와 생황 악기 소리


상원사 동종의 주악비천상에 등장하는 천인은 인간의 형체를 하고 있지만 어쩌면 인격화된 음악의 신일 것이다. 1,300년 전 천인이 연주하는 악기인 공후와 생황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연주된다. 생황은 입으로 불거나 빨아 소리를 내는데 화음을 낼 수 있는 특별한 악기이고, 공후는 작은 하프라고 보면 된다. 소리를 들어보면 공후는 빗방울이 부딪쳐 내는 소리를 닮았고, 생황은 바람이 만들어 내는 소리를 연상케 한다.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188_7992.png
 

맨 처음 악기들은 자연의 소리에서 착안하여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리고 고대인들은 자연을 신이라 여겼을 것이다. 동종에 주악비천상을 담은 것은 종소리에 신성을 깃들게 하려는 것일 터. 댕, 하는 소리에 삼라만상 모든 중생들의 해탈을 기원하는 마음에 더하여 신의 축원까지 받고자 함일 것이다.


그런데 소리는 소리일 뿐, 모든 것이 나타났다 사라지는데 소리 또한 마찬가지임을 모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제행무상(諸行無常)한 가운데 또 무상하게 종소리 하나를 보태는 것은 또 무슨 헛됨일까.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해서 영원을 추구한 것일까. 아침저녁으로 범종을 쳐서 자꾸자꾸 미망에 빠지는 중생들을 끝없이 일깨우기 위함일까. 자꾸자꾸 허무에 빠지는 인간들을 깨워서 허무를 벗어나게 하기 위함일까.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203_0439.png
 

허무는 터득하는 것


영화가 끝나면 환히 불이 켜지고 한 꿈에서 깨어나듯이, 종소리가 사라지면 고통은 계속되고 지난한 삶이 되돌아온다. 그것을 안다는 것, 그래서 가장 무서운 병이 허무 병이다. 과연 이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50년 넘게 한 길을 고수해온 독일 재즈클래식 레이블인 ECM이 추구하는 음악은 ‘침묵 그 다음으로 아름다운 소리’라고 한다. 소설가 황석영은 지난해 작고한 어느 시인을 추모하는 글에서 ‘여향(餘響)’에 관해 이야기했다.


“여향은 어떤 것입니까?” 소리꾼이 스승에게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먼 산사에서 범종을 칠 때 마지막으로 당목을 때리고 나서 그치면 뎅 하는 소리가 울리고 잔음이 길게 여운을 끌며 퍼져 나간다. 데에에엥 하며 소리의 여운은 길게 아주 천천히 사라져 간다. 그리고 어느 결에 사방은 고요한 정적에 이른다. 그 고요한 정적이 여향이니라.”


침묵과 정적이 가장 아름다운 소리라는 이 아이러니. 부처님은 인생이란 근원적인 허무를 뒤집어서 깨달음의 길을 걸어가셨다. 허무가 없으면 허무에서 빠져나오는 방법도 없는 것 아닌가. 우리는 허무를 딛고 허무를 통해 허무의 안과 밖을 뒤집어서 허무를 벗어나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래서 ‘허무를 잊는다’에서 ‘허무를 터득한다’로 고쳐 써보는 것이다.


적멸보궁을 향해 한 걸음


오대산 상원사의 동종 옆에 앉아 오래도록 상념에 사로잡혔다. 그때 부산에서 왔다는 대규모의 순례자들이 경내로 들어왔다. 봄기운을 받아 참배객들의 볼은 상기되어 있었고, 말끔하게 정돈된 상원사는 비현실적인 조도로 빛나고 있었다. 저 사람들 한 분 한 분마다 사연과 상처가 있을 것을 생각하니 슬퍼졌다. 슬픔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모든 감정도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일 텐데.


몸을 일으켜 적멸보궁을 향했다. 한 발 한 발 계단을 오르면서 슬픔, 기쁨 따위들을 흘려보냈다. 나타났다 사라지는 감정들을 그대로 두고 그저 걸어 올라갔다. 먼저 사자암을 만나게 된다. 중대 사자암은 산의 지형을 이용하여 매우 특이하게도 경사면에 계단식으로 층층이 전각을 지었다. 오대산은 중대로 불리는 비로봉을 주봉으로 한다. 이곳 중대에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곳으로 사자암을 지었다. 그리고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을 두었다. 사자암에서 600m를 더 올라가면 드디어 적멸보궁이다.


“혼의불서하, 혼의불서하”


적멸보궁에 들어가 참배하는데 스님 한 분이 혼신을 다해 염불을 외고 있었다. 혼의불서하, 혼의불서하, 혼의불서하…. 온몸을 흔들어가며 열창을 하는 가수처럼 무한반복으로 외우는 그 혼의불서하의 뜻이 궁금했다. 그 뜻만 알면 조금 깨달을 것도 같았다. 적멸보궁 앞에 쪼그리고 앉아 검색 창에 적었다. 혼.의.불.서.하. 그때 알았다. 혼의불서하로는 아무 것도 검색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을 때, ‘혼의불서하’는 ‘석가모니불’이었다.


그러니까 스님은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이렇게 염불을 외고 계셨던 것이고, 누구는 혼의불서하, 혼의불서하, 혼의불서하…로 들었던 것이다. 뭣이 중한가. 석가모니불이든 혼의불서하든 그것은 아무 상관이 없다는 것을 나는 그때 알았다. 나는 이것이 허무를 단번에 뒤집는 힌트일 수 있겠구나 싶었다. 혼의불서하든 석가모니불이든 개똥지빠귀든 둥그레당실이든…. 소리는 소리일 뿐이고, 정적과 고요가 본래 자리이고 그 자리가 곧 해탈의 자리, ‘나’의 자리란 것을 알 것도 같고 모를 것도 같았다.


적멸보궁에서 내려와 다시 상원사로 갔다. 유리로 된 상자 안에 고이 보관된 동종 앞에서 눈을 감았다. 우주 같은 캄캄한 어둠 속에서 비천상의 잔영이 어른거렸다. 종소리의 여향에서 얼핏 하늘 사람이 연주하는 생황과 공후의 노래가 들려오는 것 같았다. 부처님의 깨달음과 누군가의 허무를 축복하는 지극한 아름다움이 거기 있었다.


9d8264628f9fecb3d3980aa43c8a3dfd_1701201256_0591.png
 

비천상은 주로 절의 범종에서 볼 수 있으나 때로는 석등, 부도, 불단 등에도 표현해 놓았다. 비천상은 천인상이라고도 하는데 천국에서 허공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추면서 꽃을 뿌려 부처님을 공양, 찬탄하는모습을 하고 있다. 상원사 동종에 새겨진 주악비천상뿐 아니라 에밀레종이라 불리는 성덕대왕신종에 표현된 것도 아름다워 자개로 표현된 기념품이 서울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홍보관에 있다.


■ 출처: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매거진(vol.61)



휴가 동안 소규모 비즈니스의 현금 흐름

댓글 0 | 조회 703 | 2023.12.23
올해에는 사업에서 휴가를 즐길 계획이신가요?올해 이 시기는 소규모 비즈니스에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출은 계속되고 채권자들이 휴가에 들어가면 현금 흐름이 타격을… 더보기

기왕 이렇게 된 것

댓글 0 | 조회 634 | 2023.12.2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지글지글 끓는 날에더워진 논물 담은 논두렁에서올챙이들이 잘 자라고 있는지들여다 봤어야 했다반나절 걸려서 찾아간 양구스물 다섯 살짜리 군인이 … 더보기

흔적의 역사(歷史), 미룰 수 없는 전법(傳法)

댓글 0 | 조회 397 | 2023.12.23
경주 남산 삼릉 ~ 금오봉 순례경주 남산이 불국토(佛國土)인 것은,경주가 불국토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그래서 신라의 왕들은 남산에 묻히기를 원했을지 … 더보기

그의 끝나지 않은 사랑

댓글 0 | 조회 661 | 2023.12.22
그의 아내는 장난끼 많은 남편 곁에서 늘 어린애처럼 즐거워했다. 어릿광대처럼 아무에게나 장난을 걸어도 깔깔거리고 웃었다. 그런 아내의 모습을 지켜보며 그지없이 행… 더보기

한해를 되비추는 예술의 힘

댓글 0 | 조회 425 | 2023.12.22
▲ 영화 ‘괴물’. 미디어캐슬 제공12월의 첫 주말, 저녁 산책을 하며 한해를 되돌아보니 무엇보다 대립과 증오로 넘친 1년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지구촌 두곳… 더보기

단전은 기운의 저수지

댓글 0 | 조회 369 | 2023.12.22
단전은 저수지입니다. 항상 어딘가로부터 모이는 곳이 저수지잖아요? 단전도 기운의 저수지이기 때문에 배를 들락날락 안 해도 그냥 기운이 모입니다. 다 열리면 피부나… 더보기

감 잡았다, 고용주 인증 워크비자(AEWV)

댓글 0 | 조회 1,890 | 2023.12.21
뉴질랜드에서 일하고 싶다고 해서 누구나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합법적인” 비자상태를 득한 후에 가능한 일이 “합법적인 노동”이지요. 노동(근… 더보기

행복해진다는 것

댓글 0 | 조회 644 | 2023.12.21
시인 헤르만 헤세인생에 주어진 의무는다른 아무것도 없다네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세상에 왔지그런데도그 온갖 도덕온갖 계명을 갖고서도사람… 더보기

여름철 건강을 잘 지키는 요령

댓글 0 | 조회 444 | 2023.12.21
여름을 준비하시고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이번 여름을 건강하게 잘 보낼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크리스마스 전의사, 의료 기관 또는 약국의 영업시간이 변경… 더보기

비만(肥滿) 이야기

댓글 0 | 조회 577 | 2023.12.19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가 올 한 해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로 선정하는 ‘올해의 혁신’에 장(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분비 조절 호…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706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연장된 워크비자 기간 및 시행 기간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1,091 | 2023.12.13
2023년 11월 27일부로 자격 인증 고용주 근로비자 (AEWV)는 중간 시급(median wage) 이상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위해 워크비자 기간이 3년에서 … 더보기

하동

댓글 0 | 조회 459 | 2023.12.13
시인 이 시영하동쯤이면 딱 좋을 것 같아. 화개장터 넘어 악양면 평사리나 아, 거기 우리 착한 남준이가 살지. 어쩌다 전화 걸면 주인은 없고 흘러 나오던 목소리.… 더보기

무릎 통증 없이 하체 운동하는 법

댓글 0 | 조회 774 | 2023.12.13
만성 무릎 통증으로 고생중이신가요?하체운동 혹은 걷기, 달리기 등 다리근육을 사용해야 하는 유산소 운동을 할 때 무릎이 자주 아프신가요?오래 앉아 일하고 나면 골… 더보기

선한 마음 사이로도 차별이 샐 수 있다

댓글 0 | 조회 506 | 2023.12.13
▲ 단편 영화 ‘빠마’의 한 장면으로 방글라데시에서 농촌으로 시집 온 니샤의 일상을 통해 우리 농촌에 사는 이주여성에게 부과된 삶의 무게를 보여준다. 한글교실에서…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과 전화상담

댓글 0 | 조회 369 | 2023.12.13
기술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대면을 통해서가 아니라 온라인이나 전화를 통해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방법이 희망적이고 편리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더보기

지금 인도는 K-불교에 ‘Holic 중’

댓글 0 | 조회 468 | 2023.12.13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교류행사 참관기인도는 한국에게 멀지만 가까운 나라다. 비행기로만 6시간 이상을 날아가야 도착할 수 있는 곳이지만, 한국인에게 인도는 부처… 더보기

갑자기 호흡이 곤란하고 가슴에 통증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514 | 2023.12.12
누구든 중요한 시험을 치거나 면접 또는 검사를 받을 때면 긴장되고 불안해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긴장감이나 불안감이 심해지면 갑자기 어지럽거나 뒷목이 뻐근하고 심장… 더보기

대한민국 소멸(Disappearing)?

댓글 0 | 조회 520 | 2023.12.12
국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 인구는 2019년 5185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하락하여 지난해 5144만명으로 전년(2021년)보다 20만명(0.4%) 줄었다.… 더보기

영주권 받고 2년 되가는 우리는

댓글 0 | 조회 3,293 | 2023.12.12
돌이켜보면, 무척 감격스러운 승인소식이었지요. 비록 여권에 라벨로 딱 붙어 나오는 영주권은 아니었더라도 믿어지지 않았던 영주권 승인이었습니다. 세월은 흘러, 귀하… 더보기

12월

댓글 0 | 조회 447 | 2023.12.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그냥 설레고순수함이라고 말하려다가한 해가 저물기에 엄숙해집니다첫째목동 역을 맡아구유에 누인 아기를 보러 가세어색하게 외치던 유년의 성극성탄을… 더보기

단전호흡이란?

댓글 0 | 조회 483 | 2023.12.12
단전호흡이란 정확히 배꼽 아래 단전으로 호흡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곳에서 명상을 배우신 분들 중에서 더러 흉식호흡이나 복식호흡을 하는 분이 계신데, 그렇게 하… 더보기

환갑을 맞은 라면

댓글 0 | 조회 640 | 2023.12.12
우리나라의 라면 역사가 오래된 줄은 알았지만 알아보니 정확히 올해로 환갑이란다. 그러니까 1963년 9월 15일에 삼양식품에서 라면을 출시했다. 북한에서는 라면(… 더보기

김치의 날

댓글 0 | 조회 487 | 2023.12.08
‘국민 대통합 김장 행사’가 경기도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11월 27일 열렸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흰색 가운에 앞치마를 입고 두건… 더보기

‘전쟁의 해’ 2023년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댓글 0 | 조회 491 | 2023.11.29
▲ 지난 5일(현지시각)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상공에서 이스라엘군이 쏜 조명탄이 빛나고 있다. AFP 연합뉴스2023년이 이제 저물어간다. 2023년은 깊어져 가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