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밥과 밥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쌀밥과 밥심

0 개 1,316 박명윤

f2eadaa073e4c4e407b223e20a8007a2_1540014306_9899.jpg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에는 쌀이 귀하여 명절, 제사, 생일 등 특별한 날에만 ‘쌀밥’을 먹을 수 있었다. 심지어 60년대에도 이른바 ‘보릿고개’, 즉 농촌에서 가을에 추수한 곡식은 다 떨어지고 봄의 햇곡식(보리)은 익지 아니하여 식량이 궁핍한 춘궁기(春窮期)에 끼니를 굶는 농가가 많았다. 필자도 Pine Tree Club 회장을 맡았을 당시인 1961년 3월에 절량농가(絶糧農家)를 도우기 위하여 회원들의 모금을 비롯하여 가두(街頭)모금활동을 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로 우리는 80년대 이후 끼니 걱정 없이 잘 살고 있다. 

 

한편 북한의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 세습 독재정권은 인민들에게 ‘이밥(쌀밥)과 고깃국’을 먹이는 것이 목표이나 경제사정으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평화통일이 되면 대한민국의 쌀을 북한 주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은 지난 9월 27일 “북한이 올여름 폭염과 가뭄으로 올해 쌀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확 시기를 맞아 개인적인 알곡 유통을 전면 금지했다”고 전했다. 

 

또한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이 방송에서 “북한은 군대를 비롯해 평양시민, 기관 직원들과 대형 국영기업에서 아직도 배급제(配給制)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 줄 식량을 확보하지 못하면 내년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쌀밥은 수천 년간 한국인의 주식(主食)이었으며, ‘밥을 먹고 생긴 힘’을 ‘밥심’ 이라고 했다. 우리나라 전통 한식(韓食)은 쌀밥에 국, 김치 등을 포함한 기본 음식에 나물, 채소, 생선, 고기 등 다양한 부식(반찬)을 곁들인 균형식(均衡食)으로 비만과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健康食)이다. 

 

요즘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밥=쌀’ 이란 등식은 유효하지 않으며, 먹을 게 많아져서 ‘쌀밥’이 ‘찬밥’ 신세가 되고 있다. 즉 경제가 발전하면서 식생활도 풍요로워서 밥을 먹지 않아도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쌀밥 대신 건강식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서양(西洋)식단이 유행하면서 쌀 소비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조선일보(friday)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쌀밥을 먹지 않는 이유로‘건강ㆍ몸매 관리를 위해서’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아 32.1%를 차지했으며, ‘밥 외에도 먹을거리가 많아서’는 28.6%, ‘시간이 부족하고 귀찮아서’는 25.0%, ‘맛이 없어서’는 7.1%, ‘포만감이 커서’는 3.6%로 나타났다. 쌀밥 대신 선호하는 음식으로 빵(20.6%), 고구마ㆍ감자ㆍ과일 등 자연식(14.4%), 고기(10.2%), 시리얼(6.5%), 선식ㆍ셰이크 등 간편 영양식(5.6%), 샐러드(5.1%) 등을 꼽았다.

 

쌀밥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면서 쌀 소비가 줄고 있다. 즉 쌀밥은 탄수화물 덩어리로 당뇨병의 주범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이 쌀밥을 멀리하고 있다. 그러나 쌀밥 한 그릇(공기)은 약 210g이며, 열량은 313kcal이므로 높은 편은 아니다. 쌀의 영양성분을 보면 탄수화물 외에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 우리 몸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일반 백미(白米ㆍWell polished rice, Japonica type) 100g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 372kcal, 수분 10.8g, 탄수화물 81.9g, 단백질 6.4g, 지질 0.5g, 회분 0.4g, 섬유소 0.3g, 칼슘 4mg, 인 140mg, 철 0.4mg, 나트륨 66mg, 칼륨 163mg, 비타민A 0, 비타민B1 0.11mg, 비타민B2 0.04mg, 나이아신 1.5mg, 비타민C 0. 

 

쌀밥은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飽滿感)을 주며, 열량을 내는 에너지원으로 밀가루 음식보다 혈당(血糖)을 천천히 올리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적당히 먹으면 비만이나 혈당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싱거운 채식 위주 반찬으로 식단을 구성하면 건강에 좋은 한 끼 식사가 된다. 밥을 먹을 때 짜고 매운 반찬은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8kg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으며, 1980년대 쌀 소비량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즉, 1975년에는 123.6kg, 1985년 128.1kg, 1995년 106.5kg, 그리고 2005년에는 80.7kg을 소비했다. 1인당 하루 쌀 소비량도 169.3g으로 밥 한 공기가 쌀 90g 기준이므로 하루에 두 공기를 채 먹지 않는 셈이다. 밥공기 용량도 현재는 300cc로 1975년 450cc에 비해 30% 이상 줄어들었다. 옛날 조선시대에는 밥이 중요한 에너지원(源)이었기에 현재 우리가 먹는 밥의 4배 이상을 먹었다. 

 

일본 농림수산성 통계에 따르면 소식(小食)을 하는 일본인들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1965년 111.7kg, 1975년 88.0kg, 1995년 67.8kg으로 떨어지더니 2011년 이후는 거의 50kg대이며, 작년은 54.2kg로 나타났다. 이에 일본은 쌀 소비량 감소세가 거의 멈추었다고 본다. 최근 일본 하쿠호도 광고회사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쌀밥을 하루에 한 끼도 안 먹으면 기운이 안 나는가?’ 라는 질문에 ‘그렇다’는 대답이 49.6%로 지난 1992년 71.4%에 비해 20%가 줄었다. 즉, 응답자의 절반 정도는 쌀밥을 아예 안 먹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식비를 줄이려고 반찬이나 반쯤 조리된 식품을 구입하여 집에서 밥을 지어 먹는 나카쇼쿠(中食)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체 쌀 소비는 줄었지만 간편식 ‘햇반’ 판매량은 늘었으며, 외식비가 비싸서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1인 가구가 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 수는 2000년 222만 가구에서 2017년 562만 가구로 2.5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체 1967만 가구의 28.6%에 달했다. 통계청 추계대로라면 1인 가구는 앞으로 계속 늘어나 2030년 33.3%, 2040년에는 35.7%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요즘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밥심’ 대신 ‘빵심’ 이나 ‘면(麵)심’이 중요해지고 있다. 즉, 쌀밥 위주의 식단은 식사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간 여유가 있는 평일 저녁이나 주말을 제외하고 빵과 국수로 식사를 대신하는 날이 많다.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ㆍ일과 삶의 균형)도 쌀밥 의존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꼽힌다. 즉, 주 52시간 근무가 시작된 이후 점심을 카페에서 커피와 샌드위치, 샐러드로 간단히 먹고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하는 직장인이 많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穀物自給率)은 최근 3개년(2013-2015) 평균 23.8%로 세계에서 꼴찌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전세계 평균 곡물자급률은 102.5%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호주가 275.7%로 가장 높았으며, 캐나다 195.5%, 미국 125.2%로 100% 자급 수준을 초과했다. 상대적으로 중국(97.5%)과 일본(27.5%)은 100%를 밑돌았지만, 그래도 우리나라보다는 높다. 

 

곡물자급률은 한 나라의 식량안보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이는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확산되면서 정치와 경제적 분쟁에 따라 농산물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식량의 무기화(武器化)’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농지 전용(轉用) 가속화,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에 따른 다양한 먹을거리 수입 증가 등으로 곡물자급률이 세계 최하위권에 속한다. 이에 국내산 곡물의 소비를 늘이고, 생산기반 확대 등 곡물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절실하다. 

 

최근에는 세계 곳곳이 기상이변(氣象異變)으로 곡물 생산에 타격을 받아 국제 곡물가격이 오르고,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국제 곡물 수급불안 우려는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 곡물 수급불안 대응체계도 취약하다. 예를 들면, 자급률이 낮은 곡물을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취지로 추진된 정부의 ‘해외농업개발사업’은 일부 사업이 폐기될 정도로 지지부진하다. 

 

매년 쌀 소비가 줄어 쌀농사 포기 및 타(他)작물 이동 등으로 이어져 쌀 자급 기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국민의 주식(主食)을 외국에 의존하면 국가 식량안보 기반이 붕괴될 수 있다. 이에 건강과 안전을 추구하는 소비추세에 맞춰 친환경 쌀 재배를 늘리고 밥맛 좋은 쌀로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아야 한다. 국내 쌀 산업을 보호 및 육성하는 것은 식량안보와 우리 농업을 지키는 일이다.

 

조현병(調絃病)

댓글 0 | 조회 1,944 | 2019.05.11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해 발생한 ‘묻지마 범죄’로 인하여 조현병에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지난 4월 17일 경남 진주시 가좌동 주공아파트의 방화ㆍ살인 사건으로 … 더보기

노니(Noni)와 커피(Coffee)

댓글 0 | 조회 3,183 | 2019.04.19
베트남을 관광하는 한국인이 즐겨 구입하는 품목에는 노니(Noni)와 커피(Coffee)가 있다. 필자가 지난 3월 가족여행으로 택한 베트남 관광지 방문코스에도 노… 더보기

출산율 재앙

댓글 0 | 조회 1,821 | 2019.04.06
2018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한 ‘출산율 1명 미만’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인구동향조사 출생ㆍ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 더보기

농축산물(農畜産物) 생산 타격

댓글 0 | 조회 1,852 | 2019.03.23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세계 건강 10대 위협(Ten threats to global helath in 2019) 중 대기오염과 기후변화(Air pol… 더보기

조용한 살인마(殺人魔) 미세먼지

댓글 0 | 조회 1,781 | 2019.03.09
세계보건기구(WHO)는 황산염, 질산염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추가 연구결과로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제… 더보기

행복한 슬로 라이프(Slow Life)

댓글 0 | 조회 1,518 | 2019.02.23
“바람이 불면 낙엽이 떨어진다/ 낙엽이 떨어지면 땅이 비옥해진다/ 땅이 비옥해지면 열매가 열린다/ 차근차근, 천천히...”이 시(詩)구절 같은 글귀는 지난 주말 … 더보기

겨울철 굴

댓글 0 | 조회 1,668 | 2019.02.18
‘바다에서 나는 우유(牛乳)’, 돌에 붙은 꽃처럼 생긴 석화(石花) 등은 모두 굴(oyster)을 비유한 말이다. 전남 진도에서는 굴을 ‘꿀’이라고 부른다. 굴맛… 더보기

비만(肥滿)의 사회경제적 비용

댓글 0 | 조회 1,324 | 2019.01.26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배가 불뚝 나온 것을 ‘사장님 배’ 라고 부르면서, 비만이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朴正熙(1917-1979) … 더보기

황금돼지해 기해년(己亥年)

댓글 0 | 조회 1,414 | 2019.01.12
2019년 기해년(己亥年)은 60년 만의 ‘황금돼지해’라고 한다. 동양철학 중에서 역학(易學)에서 우주 만물을 이루는 5가지 요소(Five Elements)를 오… 더보기

암(癌)을 손님처럼 대접하기

댓글 0 | 조회 1,359 | 2018.12.21
<나는 삶을 고치는 암 의사입니다> 최근 발간된 이병욱 박사의 저서 제목이다. 그는 외과 의사로 15년 그리고 보완통합의학 전문의로 15년, 총 30년… 더보기

먹거리 안전성 문제

댓글 0 | 조회 1,832 | 2018.12.08
청와대는 지난 5월 21만6886명이 참여한 ‘GMO 완전표시제 촉구 국민청원’과 관련하여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해 개선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개… 더보기

김치 宗主國의 김장문화

댓글 0 | 조회 1,505 | 2018.11.24
최근 우리나라 사계절은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여름은 지나치게 빨리 와서 늦게 떠난다. 한편 가을은 너무 늦게 오고, 그리고 너무 빨리 떠나 우리를 아쉽게 한다… 더보기

감기, 독감, 비염

댓글 0 | 조회 1,909 | 2018.11.10
독감 예방접종 시기가 돌아왔기에 필자는 몇 일전에 동내 내과의원에서 무료로 맞았다.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의하여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 더보기
Now

현재 쌀밥과 밥심

댓글 0 | 조회 1,317 | 2018.10.20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에는 쌀이 귀하여 명절, 제사, 생일 등 특별한 날에만 ‘쌀밥’을 먹을 수 있었다. 심지어 60년대에도 이른바 ‘보릿고개’, 즉 농촌에서 … 더보기

인생을 마무리하는 지혜

댓글 0 | 조회 1,494 | 2018.10.06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470?-399 B.C.)는 죽음을 준비하며, “삶에서 멀어질수록 진리(眞理)에 가까워진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더보기

코피 아난 UN사무총장

댓글 0 | 조회 1,423 | 2018.09.22
아프리카계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사무총장(제7대, 재임 1997-2006)을 역임한 코피 아난(Kofi Atta Annan)이 지난 8월 18일 향년 80세를… 더보기

폭염과 온열질환자

댓글 0 | 조회 1,440 | 2018.09.08
전국이 불볕더위로 펄펄 끓고 있다. 8월 첫 날 서울 낮 기온이 39.6도까지 오르고 강원도 홍천은 41.0도를 기록하여 공식관측소 기록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 더보기

백세인(百歲人) 이야기

댓글 0 | 조회 1,392 | 2018.08.18
백세인(百歲人, Centenarian)이란 100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말한다. 미국의 노년학연구그룹(Gerontology Research Group)은 현대적 … 더보기

인생주기와 생로병사(生老病死)

댓글 0 | 조회 1,688 | 2018.08.04
“나는 이제 생로병(生老病)은 다 거쳤고 사(死)만 남은 사람이다.” 이는 운정(雲庭) 김종필(金鍾泌) 전 국무총리가 노환(老患)으로 병석에 누워있으면서 한 말이… 더보기

폐암(肺癌) 유발 ‘라돈’

댓글 0 | 조회 1,636 | 2018.07.21
피해자가 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라돈’ 침대는 얼마나 위험한가? 원자력안전위원회(原子力安全委員會ㆍ원안위)가 라돈(Radon)이 함유된 대진침대 매트리… 더보기

미세먼지, 해결책은?

댓글 0 | 조회 1,308 | 2018.07.07
요즘 신혼부부들의 혼수(婚需) 가전제품 목록에는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로봇 청소기 등이 반드시 포함된다. 결혼 성수기인 1분기에는 주요 가전 전체 매출에서 혼수품… 더보기

플라스틱 오염

댓글 0 | 조회 1,485 | 2018.06.26
“비닐봉지를 제조,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사람은 징역(1년-4년) 또는 벌금(韓貨로 약 2100만원-4300만원)형에 처한다.” 세계에서 비닐봉지를 가장 강력하게 … 더보기

저출산ㆍ고령화 악몽(惡夢)

댓글 0 | 조회 1,580 | 2018.06.23
우리나라는 저출산(低出産)ㆍ고령화(高齡化)로 인하여 인구 구조가 소산다사(少産多死)형으로 바뀌고 있다. 즉 신생아 수는 1970년 106만명에서 2018년에는 3… 더보기

저출산,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2,218 | 2018.06.0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원장 金皓)과 보건대학원총동창회(회장 朴明潤)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2회 한마음 대축제’가 지난 5월 19일 관악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 더보기

구본무 회장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댓글 0 | 조회 2,846 | 2018.05.29
“베풀며 살아라” 어머니의 뜻을 평생 지킨 우리나라 재계를 대표하는 화담(和談) 구본무(具本茂) LG그룹 회장이 5월 20일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지난 1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