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용 부동산 가격도 치솟고 있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상업용 부동산 가격도 치솟고 있다.

2 1,946 정윤성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이제는 주택에 이어서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 
 
왜 불경기에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가? 
 
이미 은행의 예금 이자율은 하향곡선인데다가 세금까지 공제하고 나면 예금의 이자 순수익율은 현시점에서 약 3% 정도이다. 그럼 이 예금을 인출하여 건물을 구입한다면 수익율은 얼마일까? 
 
불과 2-3년전만해도 8-9%의 수익율이 보장되지 않으면 매매가 어려웠으나 지금은 수익율이 6%까지 떨어져도 쉽게 매매된다. 참고로 2-3년전 은행의 상가 구입시 융자 이자율이 9-11% 였으나 지금은 5-7% 사이다. 물론 세입자의 비지니스의 전망과 리스계약의 상태, 그리고 융자 금액에 따라 주택의 융자 이자율보다 낮은 경우도 있지만. 은행 예금의 순수익이 3%정도라서 물가 상승율을 제하고 나면 진짜 이자 소득은 거의 없는 셈이다.  그 돈이 모두 부동산에 모이고 있기 때문이다.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수익율이 상업용 융자이자율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던 그 시절은 가고 있다. 지금은 상가 수익율과 이자율이 비슷하거나 수익율이 조금 더 앞서 가고 있다. 2년전부터 상가 구입을 고려하시다가 이젠 너무 올라 상가 구입을 포기한 고객도 있다. 그러나 이자율이 떨어지면 부동산 가격은 더 오를 수 밖에 없다. 수익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향후 이자율은 지난번 칼럼에서 기술했던 대로 하향국면이다. 그래서 2배 오른다는 말은 절대 과장된 말이 아니다. 시간의 문제일 뿐이다. 뉴질랜드 시민권자에게 호주 정부가 영주권을 주던 2000년도 초에 뉴질랜드 교민들은 탈출이라도 하듯이 몰려갔다. 
 
그리고 영주권 스탬프를 받은 그들의 대부분은 호주의 부동산 상황을 분석 또는 관망하다가 많게는 3배까지 오르는 것을 애타게 지켜보며 주택 구입의 시기를 놓쳐, 지금도 이들은 렌트를 살고 있다. 
 
관망하는 자세는 판단이 애매 모호할 때, 신중함으로 칭찬 받을 수 있겠지만 부동산의 상승 요인이 정확히 보일 때는 타이밍을 놓치게 되는 좋지 않은 방식이 될 수 있다.
 
세계의 중앙 은행들은 경기 부양을 위해 천문학적인 숫자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유동성은 낮은 이자율로, 뉴질랜드로, 부동산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언제까지?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일단 장기간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 1-2년동안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을 주도한 중국인들은 일단 불안해지는 중국내의 문제도 있었지만 5%의 이자율을 편하게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사실 필자도 5% 아래로 떨어진 이자율을 새로운 표준으로 이해하는 데는 꼬박 1년이 걸렸다. 부동산 구매을 망설이는 이들은 뉴질랜드에 오래 살았던 사람들이거나 현지인들이 많았다. 
 
왜냐하면 변동이자율이 12%까지 올랐던 2000년초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고, 그들의 표준은 아직 옛날에 머물러 있으며 현재의 낮은(?)이자율은 일시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자율이 갑자기 높아질 가능성, 오클랜드 인구가 줄어들 가능성, 도심에 대단위주택단지를 건설할 부지가 충분할 가능성, 예금이자가 오를 가능성, 경기가 뜨거워질 가능성 등등의 확률은 이미 아주 낮다. 
 
독자님들 투자 시기를 놓치지 마시라. 오클랜드의 부동산가격의 상승은 지금 그 어느때 보다 확률이 높을 때다.
 
jnj
옆구리 쿡쿡찌르지 마셈! ㅎㅎ 순진한작가(?)님! 아무리 돈이궁해도 그렇지,이런데서 함부러 사라,마라하다니..ㅎㅎㅎ 나중에 밤길조심해야할 상황이 올수도 있슴!
즐거운
jnj님 제가 순진한건 인정합니다. 그러나 저의 견해만 듣고서 큰 자금이 투입되는 상가구입을 결정하시는 분은 아직 만나지 못했습니다. 주택보다 상가의 투자는 부동산에 대해 한단계 더 높은 경험과 정보가 요구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경제 분석가들의 애매모호한 책임질 필요없는, 이래도 저래도 다빠져 나가는 글을 좋아 하지 않습니다. 전 책임을 져야 한다면 책임을 지더라도 정확한 견해를 밝히는 글이나 견해를 신뢰합니다. 

값산 리스부동산 구입 괜찮을까?

댓글 2 | 조회 1,884 | 2013.01.31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라는 말만 들어도 멜로디가 흥얼거릴 것이다. 예전부터 우리도 모르게 하나의 꿈처럼 생각해 왔던 ‘푸른 초원&rsq… 더보기

해피 ‘KNEW’ 이어!

댓글 0 | 조회 1,027 | 2013.01.16
또 다시 해가 밝았다. 우리는 보통 새해가 되면 여러가지의 계획을 세운다. 그 중에 대부분은 아마도 돈을 벌자, 모으자 그리고 아끼자가 대부분일 것이다. 과연 2… 더보기

She’ll be right?

댓글 0 | 조회 904 | 2012.12.21
누구나 자신의 Dream Home을 가지고 싶어하고 있다. 부동산 매매의 붐으로 많은 사람들의 focus가 주택 구입에 두고 있고 물론 부동산 구입시 주의점에 대… 더보기

집 렌트냐 VS 집구입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댓글 0 | 조회 2,462 | 2012.12.11
올라버린 집값, 렌트할까? 그래도 구입할까? 이 글은 은행융자외의 자금이 확보되어 있는 이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지난 두번에 걸쳐 부동산 가… 더보기

현재 상업용 부동산 가격도 치솟고 있다.

댓글 2 | 조회 1,947 | 2012.11.27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이제는 주택에 이어서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 왜 불경기에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가? 이미 은행의 예… 더보기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Ⅰ)

댓글 0 | 조회 2,793 | 2012.11.13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뉴질랜드에서 부동산 투자자겸 투자 컨설턴트이며 경제 및 부동산 관련 베스트셀러인 ‘올리 뉴랜드(… 더보기

어느 저녁 초대에 있었던 일

댓글 0 | 조회 1,342 | 2012.10.24
사람들마다 각기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람을 만나고 생활해 나간다. 필자의 가치관으로 보았던 나와 키위들과의 다른것 중에, 물론 이것은 개인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있… 더보기

Auction 갈때 왼손과 오른손

댓글 0 | 조회 1,570 | 2012.10.09
Auction은 요즈음 부동산 매매 방법의 대세다. 몇년전만 하더라도 고가의 부동산에서 사용되던 매매 방법인 Auction은 이제 대부분 주택매매시 사용되고 있다… 더보기

보험가입 거부하는 보험회사

댓글 0 | 조회 1,131 | 2012.09.25
벌써 네번째 보험회사가 뉴질랜드 보험시장에서 퇴장 당하고 있다. 가입되어 있는 모든 보험을 다른 곳으로 정리, 이전하라는 안내문과 이제 뉴질랜드를 떠나니까 서운하… 더보기

[후편]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1,919 | 2012.08.28
먼저 관련 보험사들의 해당 약관을 들여다 보자. 문장의 차이는 있지만 내용은 거의 비슷했다. ▶ Medical Tourism Benefit(MTB) If the … 더보기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Ⅰ)

댓글 0 | 조회 6,246 | 2012.08.14
‘뉴질랜드에서 가입하고 한국에서 치료를 받는다.’ 참으로 유혹적이지 않을 수 없다. 뉴질랜드 의료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하는 한인들은 특히 그럴… 더보기

왜 사고가 많나 보니...

댓글 0 | 조회 1,711 | 2012.07.24
여기 저기서 대형 교통사고들이 줄을 잇는다. 인사사고도 발생되고 있다. 왜일까? 예전보다는 훨씬 시야 확보가 어려운 탓이다. 모든 사고는 고의적인 음주운전 같은 … 더보기

ACC를 믿었더니....

댓글 0 | 조회 2,379 | 2012.07.10
사고보상공사(ACC)만 의지하면 낭패 볼 수도 있다. ‘으드득’. 신문을 읽고 일어날 때 등에서 나는 소리이다. ACC가 이 사고로 잃은 수… 더보기

어느 노부부의 파산

댓글 0 | 조회 3,657 | 2012.06.27
▶ Bucketlist sends couple broke 6월 중순 중앙 일간지에서 본 기사내용이다. 참 기가 막히는 이런 일이 우리 주변에 일어 나고 있다. 물… 더보기

융자브로커인 아빠, 융자고객인 아들

댓글 0 | 조회 1,872 | 2012.06.13
누가 이 시기에 감히 성공을 꿈꾸는가? 성공이란 이제 신화적인 얘기가 되버린지 오래다. 지금은 거의 모두가 두 부류중 하나다. ‘실패하는 이와 실패하지… 더보기

제시 이자율을 받아 들이지 마라

댓글 2 | 조회 2,582 | 2012.05.23
Bernard Hickey가 융자고객들에게 말하길: 제시 이자율을 받아들이지 마라! 곧장 은행 담당자에게 가서 더 낮은 이자율을 요청해라! 이것은 interest… 더보기

뉴질랜드 보험사 자격 기준 강화

댓글 0 | 조회 1,742 | 2012.05.08
지난달 말의 뉴질랜드 일간지에서 나온 기사에 뉴질랜드 보험사 부실 정도를 중앙 정부에서 관리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내용인즉 모든 보험사들은 내년부터 새로운 규정에… 더보기

벼랑 끝까지 가서 보니...

댓글 0 | 조회 1,465 | 2012.04.26
벼랑 끝은 주로 북한의 외교 정책을 일컬을 때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필자가 왜 서두에 극단적인 이런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Financial Advisor나 고…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Ⅱ)

댓글 0 | 조회 1,526 | 2012.04.12
Long Term Customer(장기고객)의 특혜에 대해 오래된 고객이 대접을 잘 받을까? 미안하지만 대부분 아니다.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1편에 이어서 이번…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Ⅰ)

댓글 0 | 조회 1,985 | 2012.03.28
7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융자를 받을 때, 왜 융자 브로커를 이용할까?왜 9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비지니스, 상가 보험을 가입할 때, 왜 보험 브로커를 이… 더보기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댓글 0 | 조회 1,464 | 2012.03.13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반대로 과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분쟁에서 승리하는가? ‘Don’t accept your liability.&rs… 더보기

돈이 몰려 온다

댓글 0 | 조회 1,563 | 2012.02.29
이번 칼럼은 필자가 현실에서 강하게 느끼는 경제 흐름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고 전문가들이 자주 참고하는 interest.co.nz의 기사를 번역해 보았다. 세계의 … 더보기

왜 뉴질랜드 보험료는 오를까?

댓글 0 | 조회 2,151 | 2012.02.15
물가 인상은 우리의 가정과 경제 생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고 보험료 역시 그러하다. 가정 보험의 종류로는 집 보험, 가재 보험, 개인용 자동차 보험, 의료… 더보기

골프 관련 책임 배상

댓글 0 | 조회 1,857 | 2012.01.31
화창한 여름 날씨, 뜨거운 여름은 으스스한 겨울 추위를 견뎌 내는 뉴질랜더들의 에너지다. ‘Jump Into Summer!’ 잘생긴 젊은 남… 더보기

영원히 사는 방법

댓글 0 | 조회 1,507 | 2012.01.17
60년만에 온다는 흑룡의 해, 임진년 2012년의 새 아침이 밝았다. 모두가 또 한 해를 선물 받았다. 그러나 경제의 청신호 보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