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저녁 초대에 있었던 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어느 저녁 초대에 있었던 일

0 개 1,342 정윤성
사람들마다 각기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람을 만나고 생활해 나간다. 필자의 가치관으로 보았던 나와 키위들과의 다른것 중에, 물론 이것은 개인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있겠지만, 내가 배우고 싶은 것이 있어 적어 보았다.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이다. 한국의 경쟁사회에서 살아 왔던 필자는 그들의 사고를 50%(?) 정도까지 내 몸에 체화시키는 데에도 20여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굳이 체화(?) 시키려 했던 이유는 그게 더 좋기 때문이다. 난 살아온 세월 동안 나의 주변에 있는 이들을 바꾸려고 노력해 보았으나 언제부턴가 나를 바꾸는 노력으로 대체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얻는 마음의 평화, 가족간의 평화는 훨씬 쉽게 다가왔기 때문이었다. 특히 College 학생을 둔 그들에게 자녀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를 확인 해 보니 낙천의 고수(?)인 그 키위 친구들도 만만치는 않았지만, 공부를 하라고 압력을 가하는 부모는 필자의 시야에는 보이지 않았다. 꼭 내버려두는 것 처럼 보인다.

큰 아이의 졸업식에서 아이의 친구 단짝 5명 중 2명이 외국을 간단다. 대학도 이런 아이들을 더 환영한다고 설명을 덧 붙인다. 더 성숙해서 돌아 온 아이들은 더 열심히 살기 때문에. 난 한 아이 중 벨지움(벨기에)으로 고 3을 한번 더 보내는 아빠인 Sean에게 ‘너 아들을 벨지움 군대(?)에 보내는구나.’ 하니 바로 알아 듣는다.  지옥 훈련도 시켰으면 더 좋겠단다. 한마디로 고급형 뉴질랜드식 재수다. 생각해 보면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온 나로서는 분명 그 아이는 입시에 실패한 아이다. 그런데 아이도 아빠도 여유만만이다. 꼭 경제적인 여유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어떤 아이의 아빠는 아이가 벌써 빌더 일을 배우고 있단다. 아이가 재미있어 한단다. 동정어린 마음으로 대하는 나를 무시라도 하듯이 아버지와 아들은 작업장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가지고 웃고 떠든다. 6년이란 짧지 않은 시간을 가족간 왕래하면서 만난 이 사람들은 온통 Winner만 존재한다. 아무리 고삼 수험생의 부모를 만나도 학업의 셩취도를 묻기 보다는 내년에 무엇을 준비하느냐가 관심사다. 그것이 무엇이든 세련된 칭찬도 준비되어 있다. 마시던 와인의 맛도 한결 부드러워진다. 위로 받을 사람이 없다. 축하와 격려만이 존재한다. 
 
1.5세대와는 달리 이 나라에서 태어난 우리 아이들에게 ‘아시안이기에 키위보다 더 열심히 공부해서 더 잘되야 된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실수와 실패에도 끊임없이 용서하고 기다려주는 부모가 가정의 평화를 누릴 것은 당연하다. 한마디 더하자면 기계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친구 Jack을 아이들 스포츠 클럽에서 만났는데,  3년간 그리스와 지중해에서 실컷 놀다가 와도 동종의 직업을 다시 구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물론 혹자는 키위이기 때문에라고 할 수도 있겠고 필자는 한국 보다 기술 수준이 떨어지는 뉴질랜드라서 가능했을거라고 속으로 생각도 했지만, 복귀도 쉽게 허용하는 뉴질랜드는 우리 아이들에게 좀더 인간적으로 살아 갈 수 있는 또 다른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했다. 난 지금 우리 세 아이 중, 누군가가 직선으로 가는 인생이 아닌 ZigZag 같은 인생을 산다면 박수 칠 수 있는 부모가 되려고 마음을 연마하고 있다. 그것은  Loser의 인생이 아니라 삶을 더 퐁요롭고 재미있게 살아가는 또 다른 방법인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더욱 그런 것 같다.  키위 친구들 중, 빌더 일을 하다가 Accounting을 다시 공부해 노쇼의 큰 회계법인 사장이 된 Sean,  변호사를 하다가 보험브로커를 하고 있는  James,  호주의 공군 장교로 있으면서 아버지의 막강한 백으로 미래의 참모 총장을 꿈꾸던  Nick이 뉴질랜드 여자에게 붙잡혀 바로 아이 네 명의 아빠로서, 세일즈 매니저로서 바쁘게 살아가는 그들은 Loser가 아니라 이 사회의 리더들이다. 우린 늘 직선으로만 간 인생의 성공담을 듣고 살아가고 있다. 정작 직선으로만 살았던 사람들에게 인생의 행복이 보장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들이 지금 이 나이에 왜 그렇게 많이 보이는지. 직선으로만 살았던 사람들은 Zigzag으로 가 보아야 느낄수 있는 행복의 방법을 제대로 인식하기 힘들 것이다.

필자도 엔지니어로서 열심히 미래를 꿈꾸다 20대 후반 어느날 뉴질랜드에 와서 보험을 시작하고 파이넌스까지 하게 되었다. 꺽어진 인생, 세월이 지난 지금 세 아이의 아빠다. 자녀를 대학 입학시킨 뒤, 부모 자식간 안보고 산다는 어느 가족의 일화는 한국에서 살았던 필자가 일부 이해는 하지만 주객이 분명 전도되었다. “명예와 돈이 없는 가족은 행복할 수 있어도 사랑이 없는 가족은 행복할 수 없습니다.”라고 어제 저녁 암 투병중인 교장선생님의 마지막 스피치의 한 구절은 결국, 사랑은 내가 얼마든지 줄 수 있는 것이라면, 그렇다면 행복은 내가 선택하면 되는 것이 아닐까.
 
 

값산 리스부동산 구입 괜찮을까?

댓글 2 | 조회 1,884 | 2013.01.31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라는 말만 들어도 멜로디가 흥얼거릴 것이다. 예전부터 우리도 모르게 하나의 꿈처럼 생각해 왔던 ‘푸른 초원&rsq… 더보기

해피 ‘KNEW’ 이어!

댓글 0 | 조회 1,027 | 2013.01.16
또 다시 해가 밝았다. 우리는 보통 새해가 되면 여러가지의 계획을 세운다. 그 중에 대부분은 아마도 돈을 벌자, 모으자 그리고 아끼자가 대부분일 것이다. 과연 2… 더보기

She’ll be right?

댓글 0 | 조회 904 | 2012.12.21
누구나 자신의 Dream Home을 가지고 싶어하고 있다. 부동산 매매의 붐으로 많은 사람들의 focus가 주택 구입에 두고 있고 물론 부동산 구입시 주의점에 대… 더보기

집 렌트냐 VS 집구입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댓글 0 | 조회 2,462 | 2012.12.11
올라버린 집값, 렌트할까? 그래도 구입할까? 이 글은 은행융자외의 자금이 확보되어 있는 이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지난 두번에 걸쳐 부동산 가… 더보기

상업용 부동산 가격도 치솟고 있다.

댓글 2 | 조회 1,947 | 2012.11.27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이제는 주택에 이어서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 왜 불경기에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는가? 이미 은행의 예… 더보기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Ⅰ)

댓글 0 | 조회 2,793 | 2012.11.13
‘부동산 가격이 두배로 오른다.’ 뉴질랜드에서 부동산 투자자겸 투자 컨설턴트이며 경제 및 부동산 관련 베스트셀러인 ‘올리 뉴랜드(… 더보기

현재 어느 저녁 초대에 있었던 일

댓글 0 | 조회 1,343 | 2012.10.24
사람들마다 각기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람을 만나고 생활해 나간다. 필자의 가치관으로 보았던 나와 키위들과의 다른것 중에, 물론 이것은 개인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있… 더보기

Auction 갈때 왼손과 오른손

댓글 0 | 조회 1,570 | 2012.10.09
Auction은 요즈음 부동산 매매 방법의 대세다. 몇년전만 하더라도 고가의 부동산에서 사용되던 매매 방법인 Auction은 이제 대부분 주택매매시 사용되고 있다… 더보기

보험가입 거부하는 보험회사

댓글 0 | 조회 1,131 | 2012.09.25
벌써 네번째 보험회사가 뉴질랜드 보험시장에서 퇴장 당하고 있다. 가입되어 있는 모든 보험을 다른 곳으로 정리, 이전하라는 안내문과 이제 뉴질랜드를 떠나니까 서운하… 더보기

[후편]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1,919 | 2012.08.28
먼저 관련 보험사들의 해당 약관을 들여다 보자. 문장의 차이는 있지만 내용은 거의 비슷했다. ▶ Medical Tourism Benefit(MTB) If the … 더보기

추적! 한국에서 보상되는 뉴질랜드 의료보험의 허와 실(Ⅰ)

댓글 0 | 조회 6,246 | 2012.08.14
‘뉴질랜드에서 가입하고 한국에서 치료를 받는다.’ 참으로 유혹적이지 않을 수 없다. 뉴질랜드 의료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하는 한인들은 특히 그럴… 더보기

왜 사고가 많나 보니...

댓글 0 | 조회 1,711 | 2012.07.24
여기 저기서 대형 교통사고들이 줄을 잇는다. 인사사고도 발생되고 있다. 왜일까? 예전보다는 훨씬 시야 확보가 어려운 탓이다. 모든 사고는 고의적인 음주운전 같은 … 더보기

ACC를 믿었더니....

댓글 0 | 조회 2,379 | 2012.07.10
사고보상공사(ACC)만 의지하면 낭패 볼 수도 있다. ‘으드득’. 신문을 읽고 일어날 때 등에서 나는 소리이다. ACC가 이 사고로 잃은 수… 더보기

어느 노부부의 파산

댓글 0 | 조회 3,657 | 2012.06.27
▶ Bucketlist sends couple broke 6월 중순 중앙 일간지에서 본 기사내용이다. 참 기가 막히는 이런 일이 우리 주변에 일어 나고 있다. 물… 더보기

융자브로커인 아빠, 융자고객인 아들

댓글 0 | 조회 1,872 | 2012.06.13
누가 이 시기에 감히 성공을 꿈꾸는가? 성공이란 이제 신화적인 얘기가 되버린지 오래다. 지금은 거의 모두가 두 부류중 하나다. ‘실패하는 이와 실패하지… 더보기

제시 이자율을 받아 들이지 마라

댓글 2 | 조회 2,582 | 2012.05.23
Bernard Hickey가 융자고객들에게 말하길: 제시 이자율을 받아들이지 마라! 곧장 은행 담당자에게 가서 더 낮은 이자율을 요청해라! 이것은 interest… 더보기

뉴질랜드 보험사 자격 기준 강화

댓글 0 | 조회 1,742 | 2012.05.08
지난달 말의 뉴질랜드 일간지에서 나온 기사에 뉴질랜드 보험사 부실 정도를 중앙 정부에서 관리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내용인즉 모든 보험사들은 내년부터 새로운 규정에… 더보기

벼랑 끝까지 가서 보니...

댓글 0 | 조회 1,465 | 2012.04.26
벼랑 끝은 주로 북한의 외교 정책을 일컬을 때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필자가 왜 서두에 극단적인 이런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Financial Advisor나 고…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Ⅱ)

댓글 0 | 조회 1,526 | 2012.04.12
Long Term Customer(장기고객)의 특혜에 대해 오래된 고객이 대접을 잘 받을까? 미안하지만 대부분 아니다.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1편에 이어서 이번… 더보기

왜 하필 브로커일까?(Ⅰ)

댓글 0 | 조회 1,985 | 2012.03.28
7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융자를 받을 때, 왜 융자 브로커를 이용할까?왜 90% 이상의 뉴질랜드인들은 비지니스, 상가 보험을 가입할 때, 왜 보험 브로커를 이… 더보기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댓글 0 | 조회 1,464 | 2012.03.13
과감하게 과실을 인정해라. 반대로 과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분쟁에서 승리하는가? ‘Don’t accept your liability.&rs… 더보기

돈이 몰려 온다

댓글 0 | 조회 1,563 | 2012.02.29
이번 칼럼은 필자가 현실에서 강하게 느끼는 경제 흐름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고 전문가들이 자주 참고하는 interest.co.nz의 기사를 번역해 보았다. 세계의 … 더보기

왜 뉴질랜드 보험료는 오를까?

댓글 0 | 조회 2,151 | 2012.02.15
물가 인상은 우리의 가정과 경제 생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고 보험료 역시 그러하다. 가정 보험의 종류로는 집 보험, 가재 보험, 개인용 자동차 보험, 의료… 더보기

골프 관련 책임 배상

댓글 0 | 조회 1,857 | 2012.01.31
화창한 여름 날씨, 뜨거운 여름은 으스스한 겨울 추위를 견뎌 내는 뉴질랜더들의 에너지다. ‘Jump Into Summer!’ 잘생긴 젊은 남… 더보기

영원히 사는 방법

댓글 0 | 조회 1,507 | 2012.01.17
60년만에 온다는 흑룡의 해, 임진년 2012년의 새 아침이 밝았다. 모두가 또 한 해를 선물 받았다. 그러나 경제의 청신호 보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