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쉽 워크비자와 영주권에 스포트라이팅!!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파트너쉽 워크비자와 영주권에 스포트라이팅!!

0 개 6,972 정동희

67409a5ca99df36a269401b5426c7558_1482283686_3715.jpg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국민(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진정한 사랑의 파트너”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비자 카테고리를 시행함으로써 충분한 배려를 해오고 있습니다. 관련법 중에서 가장 유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스포트라이트를 쫘악 비추오니 해당자 여러분들에게 환한 빛이 되길 바랍니다.

 

법적으로 혼인이 되어 있어야만 하나?

그렇지 않습니다. 이에 관하여 이민부의 관련 Q & A는 다음처럼 안내합니다.

 

 Do we have to be married to qualify under the Partnership policies?

- Marriage is not a mandatory requirement in the Partnership policies.

- Both married, civil union and de facto couples (now referred to in policy as partners) are treated on the same basis when applying for visas under either residence or temporary class immigration policies. De facto partnerships include heterosexual as well as homosexual partnerships.

 

법적인 결혼은 파트너쉽의 정의에서 의무사항은 아니랍니다. 

 

결혼은 물론, 동성혼과 사실혼은 영주권과 비영주권 비자 신청시 똑같이 인식되어 집니다.

 

그렇습니다. 뉴질랜드는 사실혼을 중요시합니다. 사실혼이란, 하나의 거주지에서 같이 거주하는 것을 의미하지요. 아무리 법적으로 결혼상태라 할지라도 너무 오래 떨어져 있다면, 영주권이든 비영주권 비자든 간에 문제의 소지가 됩니다. 둘 중 한 분이든 둘 다든 법적으로 타인과 혼인상태인 것 역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파트너쉽의 지속기간에 대한 심사

영주권 신청시에는, 심사 개시일로부터 지난 12개월 이상을 공동 거주해 왔어야만 하며, 비영주권 비자 시에는 공동거주 기간의 길이와 진실성 여부를 함께 심사하며, 이는 12개월 이상 같이 살지 않았다 해도 신청이 가능하다는 말이 되지요. 하지만, “6개월 동거 = 6개월 비자 승인”의 단순한 논리는 성립되지 않는 답니다.

 

시민권자의 파트너에 대한 특혜

이민부는 조언합니다.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배우자이면서 지난 5년 이상 뉴질랜드 이외의 나라에서 함께 거주하였다면, 아예 영구영주권 신청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뉴질랜드 내에서 신청하고자 한다면 입국 후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지만 해외에선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If your partner is a New Zealand citizen and the two of you have been living together outside of New Zealand for 5 years or more, you may be eligible for a permanent resident visa. Your partner will need to be either overseas when you apply, or have been back in New Zealand for less than 3 months.​

 

 

서포트하는 NZ스폰서의 경찰 신원조회 

배우자/파트너의 영주권 신청을 support하는 스폰서인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는 뉴질랜드 이민부가 요구하는 신원조회상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기에, 지난 7년 이내에 1년 이상 체류한 나라가 있다면, 그 나라의 경찰 신원조회서도 필수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러시면 곤란한 영주권 스폰서

아래에 해당되는 분들께서는 죄송하지만, 배우자에게 영주권을 스폰서 하기에“대략 난감”하다고 이민부는 안내하네요. 

 

● 지난 7년 이내에 가정폭력이나 성범죄에 연루된 적이 있는 경우

● 지난 5년 이내에 파트너쉽 카테고리를 통하여 다른 파트너를 스폰서한 경우

● 지난 5년 이내에 파트너쉽 카테고리를 통하여 스폰서 본인이 영주권을 받았으나 그 파트너와 헤어지고 이번에 다른 파트너의 스폰서가 되는 경우

● 지난 7년 이내의 타국과 뉴질랜드 경찰 신원조회서에 문제가 있어서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

 

진실되고 안정적인 파트너쉽

두 사람의 파트너쉽을 증명할 증거자료는 다다익선일수록 유리합니다. 공동거주 증명서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지요.

 

● 공동 구좌 증빙서류

● 공동 거주를 나타내는 각자의 우편물

● 지인 등의 추천서 및 관계 확인서류

● 전기, 전화, 자동차, 보험 등의 공동 서류

● 사실혼 관계에 대한 본인들의 설명 레터

 

전화/대면 인터뷰도 대비해야 !

인터뷰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케이스가 그렇지는 않으며 이민부는 심사 중에 다음과 같이 어프로칭해 올 수 있다는 것이 저의 경험이지요.

 

● 이메일 또는 전화로 신청자 또는 에이젼트에게 간단한 질문 또는 간단한 추가서류를 요청해 온다.

● 보충한 서류가 부족하다고 여길시, 이민관은 모월 모시에 특정 이민부 브랜치로 두 사람을 인터뷰에 초청할 수 있다.

● 대면 인터뷰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동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주 세부적인 질문을 해 올 수 있다.

 

파트너쉽 써포팅은 몇 번? 

진실한 관계는 몇 번이든 있을 수 있으나, 안타깝게도 이 부분에선 이민부가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어 놓고 있습니다. 다음은 관련법조항입니다.

 

 F2.10.10 Definition of ‘eligible to support a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 under the Partnership Category’

a. For a New Zealand partner (F2.10.2) to be eligible to support a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 under the Partnership Category they:

  i. must not have acted as a partner in more than one previous successful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 and

  ii. must not have acted as a partner in a successful application for a residence class visa in the five years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the current application is made; and……

 

한 번 성공은 괜찮은데, 두 번째부터는 안됩니다.  더군다나, 본인이 영주권을 서포트했든 취득했든 향후 5년간은 신청이 불가능하지요. 그렇다면, 파트너쉽 하의 뉴질랜드 스폰서는 어떤 사람을 말하는 지는 다음의 관련법이 말해 줍니다.

 

 A New Zealand partner is considered to have acted as a partner if they previously:

i. supported a successful Partnership Category application for a residence class visa; or

ii. were the principal applicant in a successful Partnership Category application for a residence class visa; or

iii. were the principal applicant in a successful application for a residence class visa that included a secondary applicant partner, excluding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s made under RV After the grant of a resident visa; or

iv. were a secondary applicant partner in a successful application for a residence class visa, excluding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s made under RV After the grant of a resident visa.

 

이것이 핵심입니다. 본인이 파트너쉽으로 영주권을 받았거나 또는 누구를 서포팅해서 주었거나 이 두 가지 경우를 다 포함합니다. 정리하자면, 결혼과 파트너쉽을 통해 영주권을 받은 사람이 원래 그 배우자/파트너와 헤어져 혼자 살다가 새로운 사람을 만나서 그 새로운 배우자/파트너의 영주권/오픈워크비자를 서포팅하려면 단 한번, 그것도 본인이 영주권을 취득한 지 5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것이죠.    

 

해외에서의 공동거주 기간도 인정

뉴질랜드 뿐 아니라 해외에서의 공동거주 기간도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증빙서류가 확실해야 합니다. 단지 혼인신고 이후로 시간이 많이 흘렀다는 것 만으로는 역부족입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사실혼은 공동거주(동거)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신빙성 있는 서류가 뒷받침되어야만 합니다. 

 

비영주권 파트너쉽 비자의 종류와 선택

파트너쉽을 통한 비영주권(임시체류,temporary class)비자에는 오픈 워크비자와 비지터(방문)비자 이렇게 두 가지가 있으며 본인의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신청하시게 됩니다. 아무래도 액면가로 보자면, 오픈 워크비자가 훨씬 유리하지만 “입국일로부터 최장 2년” 이라는 법조항에 발목 잡힐 수도 있으니 전문가와의 심도 있는 상담이 요구되네요. 방문비자는 기존의 최장 12개월 법과는 무관하게 스폰서의 비자 기간만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스폰서의 여권제출도 의무사항

필수 제출 서류 중 하나이오니, 스폰서의 여권 원본 또는 사진면과 비자면에 대한 원본 대조필을 제출하셔야만 한답니다. 원본 대조필은 JP나 변호사 등으로부터 받을 수 있지요. 

 

여권은 바뀌었는데 비자는 살아있다면?

요즘은 거의 모든 비자가 온라인으로 발급됩니다. 언제나 인쇄할 수 있는 종이란 말이죠. 그렇다고 해서, 분실 또는 신규 발급으로 여권이 변경된 경우에 그냥 그대로 있으시면 절대 안됩니다. 비자 트랜스퍼 신청을 해서 새로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왜냐구요? 여권 번호가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받으신 비자에는 그 당시 제출한 여권번호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신여권이 발급되면 그 여권번호가 원래의 비자에 명시되어야만 합니다. 무엇이든 잘 챙기는 당신이시길 ~~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2017 이민환경의 변화를 말하다

댓글 0 | 조회 5,061 | 2017.01.11
모든 것은 환경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부터 환경이 변화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 더보기
Now

현재 파트너쉽 워크비자와 영주권에 스포트라이팅!!

댓글 0 | 조회 6,973 | 2016.12.21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국민(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진정한 사랑의 파트너”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비자 카테고리를 시행함으로써 충분한 배려를 해오고 있습니다. 관련… 더보기

주도면밀한 사람이 영주권을 잘 딴다 !!

댓글 0 | 조회 3,749 | 2016.12.06
잡오퍼를 포함하여 딱 100점이 되더라도 기술이민으로 얼마든지 영주권에 도전할 수 있었기에 그 외의 5점, 10점의 가치가 전혀 존중되지 않았던 지난 10월 12… 더보기

너무도 소중한 5점을 어디서 찾을까?

댓글 0 | 조회 3,005 | 2016.11.23
참으로 묘합니다. 아시안에게만 핵폭탄인 변경 이민법이 시행된 지난 10월 12일 이후로 우연의 일치인지 몰라도 경기가 안 좋아졌다고들 합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 더보기

나는 언제 160점이 될까? (신기술이민법 분석 2탄)

댓글 0 | 조회 4,809 | 2016.11.09
지난 호에서는 기술이민의 대폭적인 강화와 부모초청이민의 잠정적 중단을 포함한 10.12 이민법 개정에 대한 주요 변경 사항을 짚어보았는데요. 오늘은 과연, 어떻게… 더보기

악! 소리 나는 신기술이민법에 스포트라이팅 !! (1탄)

댓글 0 | 조회 4,550 | 2016.10.27
공교롭게도, 지난 582호 칼럼이 구법 의향서의 마지막 분석이 되고 말았습니다.“채택이 너무 넘쳐나므로 곧 이민부의 대책이 나올 것이며 법을 강화하여 의향서 채택… 더보기

최근 2개월간의 기술이민 의향서(EOI) 채택 동향

댓글 0 | 조회 5,147 | 2016.10.12
투자이민 2법과 기술이민에 적용되고 있는 의향서 제도는 외국에서 보기엔, 조금 복잡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주 옛날 법은 본인과 에이젼트가 머리 맞대고…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지난 3개월 뉴스레터 모음

댓글 0 | 조회 3,101 | 2016.09.29
※ 최근 들어 저의 칼럼을 무단 도용하여 마치 본인의 글처럼 사용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한 저작권은 분명히 저에게 있으므로 글의 부분이나… 더보기

요리괴담,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3,834 | 2016.09.15
우리는 흔히, 괴이하고 이상한 이야기를 “괴담”이라고 부릅니다. 특정인, 특정그룹에 의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이야기일수도 있고 “카더라” 통신에 의해 슬… 더보기

알아야 받든 말든 하지, 너, 가디언 비자 !!

댓글 0 | 조회 3,999 | 2016.08.24
한때는 말이죠. 큰 돈을 들여서 유학생(International student)으로 아이를 뉴질랜드에서 유학을 시키면서도 정작, 가디언인 부모는 체류할 비자가 마… 더보기

내 머리 속의 워크비자 수납상자 2호

댓글 0 | 조회 2,908 | 2016.08.11
지난 칼럼에서 워크비자 수납상자 1호를 열어드렸지요? 이제 그 두번째 상자를 열어보렵니다.■ 많고도 많은 워크비자의 종류TV라고 해서 다 같은 기능을 하지 않듯,… 더보기

내 머리 속의 워크비자 수납상자 1호

댓글 0 | 조회 2,756 | 2016.07.27
오래된 이민법무사에게 거는 기본적인 기대랄까, 아니면 만족치랄까 하는 것들이 있지요. 아무 것도 참조하지 아니하고 그냥 정면을 응시하면서 뉴질랜드 비자의 종류엔 … 더보기

“유학후 이민”을 통한 영주권 사례 모음

댓글 0 | 조회 4,775 | 2016.07.14
대한민국 국적의 월평균 뉴질랜드 영주권 승인자가 몇 명인지 대충 아시는지요?지난 6월 30일로 마감된 이민부의 2015/2016 회계연도의 통계자료가 아직 발표되…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2016년 6월 뉴스레터

댓글 0 | 조회 2,668 | 2016.06.23
뉴질랜드 이민부 브랜치 중 하나인 Auckland Henderson Branch는 공인이민법무사 및 이민 컨설팅 관계자들에게 보내는 정기 뉴스레터를 통해 최신 업… 더보기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3탄

댓글 0 | 조회 2,610 | 2016.06.09
“아,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그 동안 무슨 근거로 영어면제가 되는지 전혀 알 수가 없었는데 (법무사님)덕분에 이젠 제가 법무사가 된 기분입니다.”지난 두 번의… 더보기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2탄

댓글 0 | 조회 3,361 | 2016.05.26
유학후이민 학과들 중에 어떤 코스를 마치면 “탁월한 선택”으로 기억되면서 기술이민 카테고리를 통한 영주권 취득에 성공하게 될까요?매일 접하는 상담내용이지만 참으로… 더보기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1탄

댓글 0 | 조회 3,169 | 2016.05.12
뉴질랜드가 되었든 어느 나라가 되었든 지간에 타국에 가서 정착하고자 한다면 그 나라의 공식언어(Official language)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구사해야 한… 더보기

기술이민, 이것이 궁금했다!!

댓글 0 | 조회 3,870 | 2016.04.28
이민 컨설팅 18년차인 저에게 기대하는 답변이 있습니다. “됩니다”라는 단 한마디가 그것이 가장 듣고 싶은 거지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대답은 “승인이냐, … 더보기

아직도 요리학과란 말입니다

댓글 0 | 조회 3,680 | 2016.04.14
지겨울 때도 되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 유학 후 이민, 기술 이민 등을 말할 때 또는 이민 컨설팅을 받을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학과”. 무엇이 이…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2016년도 첫 뉴스레터

댓글 0 | 조회 2,470 | 2016.03.24
뉴질랜드 이민부 브랜치 중 하나인 Auckland Henderson Branch는 매월 이민법무사 및 이민 컨설팅 관계자들에게 보내는 뉴스레터를 통해 최신 업데이… 더보기

인트림비자 (Interim visa)와 불법체류

댓글 0 | 조회 4,379 | 2016.03.10
뉴질랜드 내 “의도하지 않았던” 불법체류의 시대는 인트림 비자법 시행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되는데요. 2011년 2월에 도입된 이 법으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의도… 더보기

영어조항이 없는 영주권을 탐하다

댓글 0 | 조회 12,178 | 2016.02.25
초청이민과 80억 투자이민 카테고리가 아닌 이상, 일정 정도의 영어 실력 없이는 뉴질랜드 영주권을 취득하기란 하늘의 별따기 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틈새… 더보기

4월 요리학과를 준비하는 당신에게

댓글 0 | 조회 3,932 | 2016.02.11
올해로 18년째를 맞는 이민컨설팅이지만 지난 몇 년간은 “거두절미하고 유학후 이민, 단연코 요리학과 !!”라는 결론부터 말하면서 이민상담을 진행해 왔지요.2016… 더보기

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댓글 0 | 조회 3,538 | 2016.01.27
2015년의 마지막 칼럼 직후에 이민부의 한-뉴 FTA 후속조처에 대한 이민법의 변경이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16년도 쿼터부터 한국인 워킹홀리데… 더보기

요리 대신 Hospitality로 영주권에 도전할까?

댓글 0 | 조회 4,755 | 2016.01.14
18년 이민컨설팅 경력자인 저에게 2016년도 이민전망에 대해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저의 대답은 1년 전과 동일하게도, “거두절미하고. 대세는 역시 요리학과지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