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0 개 3,537 정동희

2015년의 마지막 칼럼 직후에 이민부의 한-뉴 FTA 후속조처에 대한 이민법의 변경이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16년도 쿼터부터 한국인 워킹홀리데이가 연간 3,000명으로 상향 조정되어 시행될 것이며 “1고용주-3개월 근무제한법”의 폐지 역시 확정되어 교민사회에 큰 기대를 안겨주었습니다. 올해부터는 보다 많은 젊은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어 교민사회에 활력소가 되길 소원합니다.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을 통하여 정기, 부정기적으로 변경되는 이민법에 대한 고지를 하고 있으며 이는 올해도 변함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은 지난 해 12월에 발표된 장/단기 부족 인력군 리스트에 대한 내용을 질의/응답 식으로 실어보고자 합니다. 다음은 이 리스트를 설명하는 이민부의 취지문입니다.

 

Essential Skills in Demand list review 2015

The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and Employment has completed its annual review of two of the Essential Skills in Demand (ESID) Lists - the Long Term Skill Shortage List (LTSSL) and the Immediate Skill Shortage List (ISSL). The Ministry regularly reviews the ESID lists to ensure that they meet the changing needs of the labour market, and to ensure opportunities for New Zealanders first. The ESID changes will take effect in the next operational policy release in March 2016, except for the Dairy and Beef Farming occupations which will take effect from 30 May 2016. 

      ---- INZ website/ Friday, December 18, 2015

 

문 : 부족 인력군 리스트가 무엇인가요?

답 : 이민부는 장/단기 부족 인력군 리스트(Long Term Skill Shortage List/LTSSL & Immediate Skill Shortage List/ISSL)로 이루어진 “부족한 필수 기술 인력 리스트(Essential Skills In Demand List/ESID)를 매년 2번 정도 업데이트하면서 뉴질랜드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문인력을 끌어들이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문 : 장기 부족 인력군 리스트(이하, 장기 리스트)는 어느 곳에 활용합니까?

답 : 크게 2가지에 쓰입니다. 기술이민의 보너스 점수 클레임과 취업후 이민 카테고리(Work To Residence or Residence From Work category)를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신청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문 : 단기 부족 인력군 리스트(이하, 단기 리스트)도 마찬가지입니까?

답 : 아닙니다. 단기 리스트에 있어서 잇점은요. 일반 워크비자(Essential skills work instructions) 신청시 노동시장 검증의 칼날을 피한다는 점이 대표적일 뿐 위에서 설명한 장기 리스트가 지닌 2가지 잇점은 갖지 못합니다.

 

문 : 이번 발표로 변경되는 내용은 언제 시행되나요?

답 : 2016년 3월부터 적용됩니다. 즉, 적어도 2월말까지는 현 리스트들이 변함없이 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낙농업 관련 직종은 2016년 5월 30일에 시행될 예정이라네요.


문 : 새로운 장기 리스트에서 제외될 직종은 무엇인가요?

답 : Social worker와 Statistician(Fisheries Modeller) 딱 이렇게 2가지입니다.

 

문 : 항상 주목 받는 요리사(Chef)도 제외되나요?

답 : 아닙니다. 변함없이 장기 리스트에 있을 거라는 희소식입니다. 쉐프는 장기 리스트의 터줏대감입니다. 리스트에 등재된 지 참으로 오래 되었습니다만 늘 빠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문 : 그렇다면 cook은 어떤가요? Cook도 요리사 아닌가요?

답 : 엄연히 다르게 인식됩니다. Cook은 chef보다 낮은 단계의 직업에 속해 있으며 cook은 단 한번도 장/단기 리스트에 오른 적이 없습니다.

 

문 : baker는 어떠합니까?

답 : baker는 단기 리스트에 올라 있습니다. 하지만 오는 3월의 새 리스트에는 그 자격요건이 강화된 상태로 등재됩니다. 그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with the qualifications for using the ISSL tightened to require two years relevant post-qualification work experience 

 

현재 baker는 관련 레벨 4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자라면 경력이 없이도 단기 리스트에서 자격자로 인정받지만, 앞으로는 학력 취득 이전의 baker 경력이 2년 이상 되는 자라야 리스트의 수혜를 받게 됩니다. 그렇습니다. Baker는 장기가 아닌 단기 리스트에 있습니다.

 

문 : 단기 리스트에서 제외되는 직종도 있습니까?

답 : 다음과 같은 직종이 오는 3월부터 제외됩니다.

 

● Chemical Plant Operator 

●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dvisor

● Gas or Petroleum Operator 

● Production Manager

● Geologist

● Safety Inspector

● Geophysicist and Petrophysicist 

● Accountant

● Photographer (Medical)

● Chemist (including Analytical Chemist)

● Rheumatologist

● Orthopaedic Surgeon

● Science Technician (Flat Weaving Specialist/ Technologist)

 

문 : 기술이민 신청시 장기 리스트에 요리사(chef)가 있어서 잇점이 있습니까?

답 : 아래의 이민법 조항에서 명시하듯, 보너스 점수가 존재합니다. 

 

SM8.5 Points for employment in an identified future growth area or area of absolute skills shortage

An offer of skilled employment or current skilled employment in New Zealand in an identified future growth area or an area of absolute skills shortage qualifies for 10 points.

 

정확히 10점이 모자라서 의향서가 채택되지 못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점수가 될 수 있지만, 어차피 학력, 잡오퍼와 나이 이 3가지의 조합만으로도 100점이 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에 이 보너스 점수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보여지네요.

 

문 : 요리사(chef)가 장기 리스트에서 제외되면 부족 인력군 이민(소위, 탤런트 비자/Residence from work/Work to residence category)을 통한 워크비자는 신청할 수 없나요?

답 : 그렇습니다. 신청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문 : 이미 그 카테고리로 관련 워크비자를 받아 놓은 상태에서 리스트에서 빠지면요?

답 : 안전합니다. 소급하여 적용하겠다는 법이 따로 발표되지 않는 한, 기 받으신 분들에게는 무관한 일입니다.

 

문 : 일반 워크비자와 장기 리스트에서의 요리사(chef)의 자격요건이 다르다는데 사실입니까?

답 : 그렇습니다. 일반 워크비자와 기술이민에서의 요리사(chef)는 요리 학력 레벨 5 또는 관련 경력 3년 이상 자로 규정되어 있는 반면, 장기 리스트상에서 정의하는 요리사(chef)는 요리 학력 레벨 4 또는 5 와 “관련 경력 5년” 이상 자입니다. “관련 경력 5년”에 대한 정의도 따로 정해져 있으므로 이 부분은 이민 전문가와 상담하셔야 하겠습니다. 한편, 정확한 자격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One of the following qualifications: - New Zealand Certificate in Cookery (NZQF Level 4) - National Certificate in Hospitality (Cookery) (NZQF Level 4) - New Zealand Diploma in Cookery (Advanced) (NZQF Level 5) - Diploma in Professional Cookery (NZQF Level 5) 

AND 

a minimum of five years’combined experience in establishments offering a la carte/banqueting or commercial catering, with a minimum of two years at Chef de Partie (Section Leader level or higher)

 

문 : 자동차 정비사는 장/단기 리스트에 없나요?

답 : 자동차와 관련된 정비사는 다음과 같은 직종이 장기 리스트에 올라 있네요. 

 

● Automotive Electrician

● Diesel Motor Mechanic

 

하지만, 일반 정비사(Motor Mechanic-General Automotive technician)을 리스트에 포함시켜 달라는 관련 업계의 요청이 거절되었다고 이민부는 공지하였습니다. 그러므로 3월 이후에도 일반 자동차 정비사는 장/단기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新이민정책과 최신 이민뉴스

댓글 0 | 조회 3,415 | 2022.05.25
실로, 오랜만에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었습니다. 코로나(COVID-19) 이전의 시절처럼, 5월 2일부터는 한국인 국적자가 무비자 신분으로 뉴질랜드에 도착하고 있답… 더보기

어서와, 파트너쉽 비자는 처음이지

댓글 0 | 조회 3,434 | 2023.03.15
한국적인 정서상, “파트너-partner”라고 하면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부가 이해하는 파트너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합법적으로 결혼할… 더보기

변하지 않을 파트너쉽 비자 철칙

댓글 0 | 조회 3,439 | 2022.06.29
세월이 흐르면서 세상도 변하고 그에 따라 법도 변하기 마련입니다. 최근 한 고객께서 “인도주의 이민”과 “형제초청 이민”에 대한 문의를 해 온 적이 있습니다. 너… 더보기

유학후이민 학과 선택을 위한 2017 필독서

댓글 0 | 조회 3,460 | 2017.03.07
인생지사 새옹지마 라는 말, 개인적으로 저는 참 좋아합니다.꿈에도 그리던 영주권을 손에 쥐었으나 몇 년 가지 않아 이별하는 커플도 보았으며, 영주권 승인 2년 후… 더보기

이민법 변경에 따른 현.가.영

댓글 0 | 조회 3,473 | 2022.12.21
이렇게까지 따라잡기 어려웠던 적은 없었습니다. 올 2022년, 특히 최근 몇 개월간은 최고치였지요. 이민법무사의 엄중한 책무 중 하나는 이민과 관련된 각종 언론기… 더보기

2019년 3/4분기 HOT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3,481 | 2019.10.23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사이트에도… 더보기

내가 몰랐던 파트너쉽 관련 이민법

댓글 0 | 조회 3,488 | 2018.12.24
파트너쉽을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취득은 합법적인 부부, 혹은 사실혼 관계에 있는 커플들에게는 참으로 중요한 문제입니다. 21년차 이민컨설팅 전문가인 저의 201… 더보기

특별법 영주권 상황 리포트

댓글 0 | 조회 3,490 | 2022.01.26
2021년의 大尾는 특별법 영주권 신청과 승인소식으로 장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기존에 신청해 놓은 영주권의 심사소식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오던 분… 더보기

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댓글 0 | 조회 3,492 | 2015.06.09
어느 나라든지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visa)라는 입국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방문비자(visitor visa) 안내서… 더보기

ETA를 받아야 하는 者와 받지 않는 者

댓글 0 | 조회 3,507 | 2019.04.10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업으로 한지 20년이 지나던 시점에서 크게 인식하게 된 사실이 있다면 뉴질랜드 이민법이 해를 거듭하면서 복잡다단해지고 있으며 점차 해외의 이…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를 쥐락펴락하는 3가지

댓글 0 | 조회 3,517 | 2020.08.11
아무리 뉴 노멀의 시대라 해도 기존 법은 그대로입니다. 달라진 이민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케이스들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법을 따라야 하며 각각의 개별적인 케이스에… 더보기

황금같은 2019년 마지막 이민 뉴우스

댓글 0 | 조회 3,522 | 2019.12.20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더보기

현재 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댓글 0 | 조회 3,538 | 2016.01.27
2015년의 마지막 칼럼 직후에 이민부의 한-뉴 FTA 후속조처에 대한 이민법의 변경이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16년도 쿼터부터 한국인 워킹홀리데… 더보기

이민부가 제공하는 일반워크 비자 종합 안내서

댓글 0 | 조회 3,558 | 2015.05.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최근 비자 심사기간과 실제 사례

댓글 0 | 조회 3,573 | 2020.12.23
안녕하세요. 2009년부터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로 활동해 온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지난 한 달간 이민과 관련한 큰 이슈가 없는 관계로 칼럼을 쉬었답니다. … 더보기

가디언비자, 이만큼은 알고 살자!!

댓글 0 | 조회 3,600 | 2014.03.25
유학생 자녀와 함께 뉴질랜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당신. 귀하가 편하게 받으실 비자는 당연히 가디언 비자겠지요. 그러나, 이 비자의 성격과 진실을 잘 몰라서 후회할 … 더보기

기술이민, 그건 오해야 오해(1탄)

댓글 0 | 조회 3,613 | 2014.09.24
세상사 살다 보면 오해도, 억울한 일도 많습니다. 특히나, 각종 비자 및 영주권 관련한 정보가 너무 넘치고 흘러 때론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 당황스러울 때가 많지요… 더보기

노동당이 생각해 온 이민정책이란?

댓글 0 | 조회 3,633 | 2017.11.07
9년만의 재집권에 기적적으로 성공한 노동당. 새 집권당의 새 이민부 장관은 Iain Lees-Galloway 라는 1978년생의 30대 정치인입니다. 그는 야당 … 더보기

“카더라”를 바로 잡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646 | 2019.07.24
20년 넘는 이민컨설팅 경력을 꿰뚫어 요즘처럼“카더라”통신이 차고 넘치는 시절은 참으로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카더라” 통신도 모자라 아예 가짜 뉴스조차 기정사… 더보기

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댓글 0 | 조회 3,670 | 2021.01.13
예기치 않던 일의 파도 속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모든 것이 혼돈의 시기였던 2020년보다는 조금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 더보기

아직도 요리학과란 말입니다

댓글 0 | 조회 3,680 | 2016.04.14
지겨울 때도 되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 유학 후 이민, 기술 이민 등을 말할 때 또는 이민 컨설팅을 받을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학과”. 무엇이 이…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엄선한 최신 이민 뉴스

댓글 0 | 조회 3,682 | 2018.06.12
뉴질랜드 정부 공인 이민법무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일 중에 이민과 유학에 대한 최신 정보와 소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들어… 더보기

칠칠 특별이민법 핵심만 착착착

댓글 0 | 조회 3,688 | 2020.07.15
12개월간의 한시적이지만 특별한 권한을 이민부 장관에게 주어 코로나19로 인하여 곤란하게 된 수많은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신청자 및 영주권 신청자/승인자에게 신속… 더보기

이래니 저래니 해도 학력이 Key!

댓글 0 | 조회 3,717 | 2017.10.10
지난 8월28일의 법 변경 이후로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 취득을 원한다면 이제는 학력이 이전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학력은 그 자체의 점수뿐만 아니라 … 더보기

人生을 바꿀 수도 있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721 | 2020.08.26
희망차게 시작했던 2020년이 코로나 19의 예기치 않은 습격으로 인하여 어언 3분의 2가 휘이익 지나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무섭다는 것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