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민, 그건 오해야 오해(1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기술이민, 그건 오해야 오해(1탄)

0 개 3,618 정동희
세상사 살다 보면 오해도, 억울한 일도 많습니다. 특히나, 각종 비자 및 영주권 관련한 정보가 너무 넘치고 흘러 때론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 당황스러울 때가 많지요. 처음 또는 중간에서라도 잘못된 길로 들어서면 결론은 이미 정해져 있듯, 수많은 “카더라” 통신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어느새 눈앞이 캄캄해집니다. 

한국인으로서 영주권 취득하는 가장 일반적인 카테고리인 기술이민. 오늘은 이 카테고리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상식에 대해 집중 탐구해 보도록 하지요.

1년 경력이면 영어가 면제라고?
아주 많이 문의하는 질문 중 하나랍니다. 정확한 답을 먼저 드리자면 “면제”가 아니라 “면제요청 자격을 득” 하게 되는 것이죠. 기술이민법의 영어관련 조항은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IELTS성적표 6.5 소지자 제외)

Notwithstanding (b) above, an immigration officer may, on a case by case basis, consider the following as evidence of the principal applicant meeting the minimum standard of English if:

i. they provide evidence that their recognised qualification(s):
   o was gained as a result of a course or courses of study in which English was the only medium of instruction; and
   o (if that qualification was gained in New Zealand) the qualification had a minimum completion time of at least two years and is at least a bachelor degree or it is a post-graduate qualification and the applicant has an undergraduate qualification that qualifies for points; or

ii. they have current skilled employment in New Zealand for a period of at least 12 months that qualifies for points (see SM7); or

iii. They provide other evidence which satisfies an immigration officer that, taking account of that evidence and all the circumstances of the application, they are a competent user of English. These circumstance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 the country in which the applicant currently resides;
    o the country(ies) in which the applicant has previously resided;
    o the duration of residence in each country;
    o whether the applicant speaks any language other than English;
    o whether members of the applicant’s family speak English;
    o whether members of the applicant’s family speak any language other than English;
    o the nature of the applicant’s current or previous employment (if any) and whether that is or was likely to require skill in English language;
    o the nature of the applicant’s qualifications (if any) and whether the obtaining of those qualifications was likely to require skill in the English language.

위처럼, 면제요청자격요건은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첫 번째는 2년 이상의 영어로 진행되는 학사 또는 준석사, 석사 이상 등의 코스를 이수한 자를 뜻하고 있으며 두 번째 자격자는 기술 잡오퍼(Skilled employment/기술이민 신청할 경우 클레임하는 잡오퍼는 무조건 이것임)상태로 1년 이상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으로 근무한 자를 말합니다. “1년 이상 워크비자로 일하면 영어면제”라는 말이 바로 이 법에 근거한 이야기지요. 그러나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숨도 안 쉬고 그냥 영어면제”가 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영어면제요청을 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통한 심사를 거쳐서 면제가 되고 안되고 한다는 것이죠. 

마지막 조항에는 8가지가 소개되어 있으나, 한국인들의 경우 맨 마지막 것 외에는 실제로 하나하나 중요하게 고려되진 않습니다.

마지막이 중요합니다. 학사(Bachelor)코스가 아닌 소위 “유학후 이민과정”의 요리학과나 호스피텔러티, IT, 비즈니스 등의 레벨 1년/2년 과정을 졸업한 자는 이 조항을 걸어서 영어면제신청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잡오퍼든지 다 된다고?
기술이민의 잡오퍼는 Skilled여야만 인정이 되며 이것에 대한 관련법은 방대하기에 여기 다 싣지는 못하나 다음의 Key 부분들을 잘 연구 점검하여 대처하셔야 하겠습니다.

● 직책 : 기술 잡오퍼가 정의하는 카테고리에 속해야 하며 또한 ANZSCO 직업군 리스트와 이민법이 정한 직업 레벨 안에 포함되어야만 함

● ANZSCO 직업군 리스트 : 이민부가 성경처럼 여기는 리스트로서 직업뿐 아니라 직무에 대해 명시되어 있음

● 직무 : 위의 리스트에 명시된 직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어야만 하며 백업 자료도 때론 요구됨

● 근무시간과 기간 : 주당 30시간 이상 fulltime이라는 명시와 고용기간도 디테일까지 !!

경력이 필수라고?
Yes and No 입니다. ANZSCO와 이민법에 명시된 직책에 따라 경력 또는 학력, 아니면 경력과 학력이 다 필수요건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대부분의 기술 잡오퍼는 경력 또는 학력으로 해결되지요. 이 때 경력은 최소 3년 이상부터 시작되며 대부분의 매니저 직책은 관련 경력 5년이 필요합니다. 경력과 관련하여 명심해야 할 사항은 “기술 잡오퍼와의 연관성” 입니다. 

학력이 필수라고?
위의 경력과 유사한 시스템입니다. 경력이 없으면 (기술 잡오퍼와)연관성 있는 학력이라도 클레임되어야만 해요. 학력은 NZ학력뿐 아니라 해외 취득학위도 다 클레임이 가능하지만, 이민부가 규정한 학력인정 리스트에 따라 인정 여부가 결정됩니다. 리스트에 없는 학력 소지자는 NZQA 라는 기관을 통해 학위인증을 받으셔야 하며 몇 개월이 소요되기도 하오니 충분한 준비가 요구됩니다. 

한편, 기술 잡오퍼를 연관성 있는 경력으로 클레임 하는데 성공하였으나, 학력은 기술 잡오퍼와 무관한 경우 학력점수 클레임이 가능한지를 물어오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가능합니다. 클레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수가 충분하면 굳이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저의 사견이랍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유리하다고?
점수가 충분하면 학력을 굳이 클레임 하지 말자는 저의 말을 이어가겠습니다. 

점수에 집착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지요. 딸랑 100점보다는 150점, 200점이면 더 낫지 않은가 하시면서 이런 점수 저런 점수를 다 클레임해 달라고 하시는데요. 저의 경험과 법 지식으로 볼 때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점수가 높을수록 심사기간이 길어지더라구요. 생각해 보십시오. 여러 가지 분야에서 200점이나 클레임했다면 이민관은 그 10점, 5점 등등의 점수분야마다 다 심사를 한 후에 점수를 부여하게 됩니다. 그러자면 100점 낸 사람과 200점 낸 사람 중에 누구의 심사가 더 빠르겠습니까? 물론, 심사 우선순위라는 것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점수가 다다익선인 것은 유감스럽게도 순위엔 없습니다.   

그러므로, 클레임하는 점수는 간단명료하게, 그리고 핵심을 찌르는 점수로만 진군하시길.

新이민정책과 최신 이민뉴스

댓글 0 | 조회 3,416 | 2022.05.25
실로, 오랜만에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었습니다. 코로나(COVID-19) 이전의 시절처럼, 5월 2일부터는 한국인 국적자가 무비자 신분으로 뉴질랜드에 도착하고 있답… 더보기

변하지 않을 파트너쉽 비자 철칙

댓글 0 | 조회 3,442 | 2022.06.29
세월이 흐르면서 세상도 변하고 그에 따라 법도 변하기 마련입니다. 최근 한 고객께서 “인도주의 이민”과 “형제초청 이민”에 대한 문의를 해 온 적이 있습니다. 너… 더보기

어서와, 파트너쉽 비자는 처음이지

댓글 0 | 조회 3,454 | 2023.03.15
한국적인 정서상, “파트너-partner”라고 하면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부가 이해하는 파트너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합법적으로 결혼할… 더보기

유학후이민 학과 선택을 위한 2017 필독서

댓글 0 | 조회 3,463 | 2017.03.07
인생지사 새옹지마 라는 말, 개인적으로 저는 참 좋아합니다.꿈에도 그리던 영주권을 손에 쥐었으나 몇 년 가지 않아 이별하는 커플도 보았으며, 영주권 승인 2년 후… 더보기

이민법 변경에 따른 현.가.영

댓글 0 | 조회 3,478 | 2022.12.21
이렇게까지 따라잡기 어려웠던 적은 없었습니다. 올 2022년, 특히 최근 몇 개월간은 최고치였지요. 이민법무사의 엄중한 책무 중 하나는 이민과 관련된 각종 언론기… 더보기

2019년 3/4분기 HOT 이민뉴우스

댓글 0 | 조회 3,490 | 2019.10.23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사이트에도… 더보기

방문비자(Visitor visa)에 대한 이민부의 가이드

댓글 0 | 조회 3,493 | 2015.06.09
어느 나라든지 입국하기 위해서는 비자(visa)라는 입국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방문비자(visitor visa) 안내서… 더보기

내가 몰랐던 파트너쉽 관련 이민법

댓글 0 | 조회 3,496 | 2018.12.24
파트너쉽을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취득은 합법적인 부부, 혹은 사실혼 관계에 있는 커플들에게는 참으로 중요한 문제입니다. 21년차 이민컨설팅 전문가인 저의 201… 더보기

특별법 영주권 상황 리포트

댓글 0 | 조회 3,496 | 2022.01.26
2021년의 大尾는 특별법 영주권 신청과 승인소식으로 장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기존에 신청해 놓은 영주권의 심사소식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오던 분… 더보기

ETA를 받아야 하는 者와 받지 않는 者

댓글 0 | 조회 3,514 | 2019.04.10
뉴질랜드 이민컨설팅을 업으로 한지 20년이 지나던 시점에서 크게 인식하게 된 사실이 있다면 뉴질랜드 이민법이 해를 거듭하면서 복잡다단해지고 있으며 점차 해외의 이… 더보기

파트너쉽 비자를 쥐락펴락하는 3가지

댓글 0 | 조회 3,522 | 2020.08.11
아무리 뉴 노멀의 시대라 해도 기존 법은 그대로입니다. 달라진 이민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케이스들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법을 따라야 하며 각각의 개별적인 케이스에… 더보기

황금같은 2019년 마지막 이민 뉴우스

댓글 0 | 조회 3,525 | 2019.12.20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더보기

3월에 변경, 시행될 부족 인력군 리스트

댓글 0 | 조회 3,541 | 2016.01.27
2015년의 마지막 칼럼 직후에 이민부의 한-뉴 FTA 후속조처에 대한 이민법의 변경이 정식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16년도 쿼터부터 한국인 워킹홀리데… 더보기

이민부가 제공하는 일반워크 비자 종합 안내서

댓글 0 | 조회 3,559 | 2015.05.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w.immigration.govt.nz)를 통해 가능한 한 많고도 깊이 있는 정보와 가이딩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더보기

최근 비자 심사기간과 실제 사례

댓글 0 | 조회 3,580 | 2020.12.23
안녕하세요. 2009년부터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로 활동해 온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지난 한 달간 이민과 관련한 큰 이슈가 없는 관계로 칼럼을 쉬었답니다. … 더보기

가디언비자, 이만큼은 알고 살자!!

댓글 0 | 조회 3,606 | 2014.03.25
유학생 자녀와 함께 뉴질랜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당신. 귀하가 편하게 받으실 비자는 당연히 가디언 비자겠지요. 그러나, 이 비자의 성격과 진실을 잘 몰라서 후회할 … 더보기

현재 기술이민, 그건 오해야 오해(1탄)

댓글 0 | 조회 3,619 | 2014.09.24
세상사 살다 보면 오해도, 억울한 일도 많습니다. 특히나, 각종 비자 및 영주권 관련한 정보가 너무 넘치고 흘러 때론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 당황스러울 때가 많지요… 더보기

노동당이 생각해 온 이민정책이란?

댓글 0 | 조회 3,640 | 2017.11.07
9년만의 재집권에 기적적으로 성공한 노동당. 새 집권당의 새 이민부 장관은 Iain Lees-Galloway 라는 1978년생의 30대 정치인입니다. 그는 야당 … 더보기

“카더라”를 바로 잡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652 | 2019.07.24
20년 넘는 이민컨설팅 경력을 꿰뚫어 요즘처럼“카더라”통신이 차고 넘치는 시절은 참으로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카더라” 통신도 모자라 아예 가짜 뉴스조차 기정사… 더보기

2021년에 달라질 수 있는 것들

댓글 0 | 조회 3,680 | 2021.01.13
예기치 않던 일의 파도 속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모든 것이 혼돈의 시기였던 2020년보다는 조금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 더보기

아직도 요리학과란 말입니다

댓글 0 | 조회 3,682 | 2016.04.14
지겨울 때도 되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 유학 후 이민, 기술 이민 등을 말할 때 또는 이민 컨설팅을 받을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학과”. 무엇이 이…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엄선한 최신 이민 뉴스

댓글 0 | 조회 3,687 | 2018.06.12
뉴질랜드 정부 공인 이민법무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일 중에 이민과 유학에 대한 최신 정보와 소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들어… 더보기

칠칠 특별이민법 핵심만 착착착

댓글 0 | 조회 3,690 | 2020.07.15
12개월간의 한시적이지만 특별한 권한을 이민부 장관에게 주어 코로나19로 인하여 곤란하게 된 수많은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신청자 및 영주권 신청자/승인자에게 신속… 더보기

이래니 저래니 해도 학력이 Key!

댓글 0 | 조회 3,725 | 2017.10.10
지난 8월28일의 법 변경 이후로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 취득을 원한다면 이제는 학력이 이전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학력은 그 자체의 점수뿐만 아니라 … 더보기

人生을 바꿀 수도 있는 최신 이민 정보

댓글 0 | 조회 3,727 | 2020.08.26
희망차게 시작했던 2020년이 코로나 19의 예기치 않은 습격으로 인하여 어언 3분의 2가 휘이익 지나가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무섭다는 것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