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老)제자와 여(女)스승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노(老)제자와 여(女)스승

0 개 1,660 오소영
잔인한 달. 사 월은 갔지만 끝없이 어둡고 답답한 오월의 나날들도 속절없이 흘러 흘러가고 있다.  

상큼하게 가슴 뻥 뚫리는 그 무슨일은 없을까? 고국은 물론이지만 외국에 나와 사는 우리 한인들 모두도 너나없이 가슴속에 돌을 묻고사는 요즈음이다.  

오 월은 가정의 달. 십 오일은 스승의 날이기도하다. 어느 날인가 우연찮게 라디오 방송을 듣다가 마치 전기에 감전된듯 정신이 번쩍들게 하는 사람을 만났다. 

옛날 교직에 몸 담았던 노 스승의 제자 이야기였는데 너무도 인간적인 가슴 뭉클한 스토리에 마음이 따뜻해지기 시작했다. 파삭하게. 메말라가는 감성에 한모금 시원한 생수가 흘러 들어가는 듯 잠깐이지만 답답하던 가슴이 후련해 지고 나도 모르게 입가에 웃음이 절로 번졌다.

그 선생님은 지금 팔 십대. 

아득히 흘러간 옛날 옛적 이야기였지만 누렇게 빛바랜 추억만이 아니고. 반세기도 훨씬지난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현재진행 중이라는 사실이 더욱 찐한 감동이었다.

학교를 갓 졸업한. 꿈에 부풀은 열 아홉살. 처녀 선생님의 첫 부임지는 어느 지방도시의 산골 초등학교였다. 

희망찬 미래.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바라보는 아이들과의 만남에 가슴이 설레었다. 그런데 뜻밖에 복병이 있을줄이야. 늘 늦게 2교시가 지나서 등교하는 아이가 하나있어 ‘설마 오늘은 아니겠지’ 하면서 한껏 인내심으로 버텨내 보았지만 달라지지가 않았다. 왜 늦느냐고 물으면 대답은 없고 그냥 울기만 해서 왕초보 선생님을 너무 힘들게 했다. 부모님을 모시고 오라해도 소용없고 그 애의 대답은 언제나 울음으로 일관할뿐 안타까웠다. 무슨 특별한 사정이 있는게 틀림없구나. 어느 날 집으로 부모님을 만나뵈러 가야겠다는 생각이들어 아이에게 통고를 했을 때다. 애처로운 눈빛으로 바라보며 다시 울음보를 터트린 그 아이 옆에있던 어떤애가 다급하게 끼어들었다.  

“선생님, 안돼요.” 하면서 우는애의 눈치를 보는것 같더니 “저 애 엄마는 계모에요. 근데 장사하는 장터까지 짐을 날라놓고 와야 하거든요. 안하면 혼나요” 하는게 아닌가.   

결손가정의 자녀라는걸 숨기고 싶은 아이의 불편한 마음을 알지못하고 나약한 자존심을 건드려 늘 울게만했던 자신이 오히려 미안하고 부끄러웠다.     

그 다음 선생님께서 특별히 어찌했다는 이야기는 없었다. 그러나 엄마처럼 따뜻하게 다독여 주면서 아이에게 희망을 갖고 세상을 바라보게 했음이 오늘날의 그를 만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에 충분했다.

어느 날인가 그 애는 자기 생모가 있는 곳을 알았다며 꼭 찾아달라고 호소했다. 지금같지 않은 그 옛날에 사람 찾기가 어디 그리 쉬운 일인가? 고민을 하던차에 그리 멀지않은 도시 미용실에서 이야기끝에 그 애 엄마를 찾을 수가 있었다.   

너무도 쉬운 우연으로 엄마를 찾게된 것은 아이의 간절한 소망때문이었으리라. 한달음에 생모 곁으로 달려간 그 아이. 후에 계모로부터 아이를 빼돌렸다는 오해를 받고 시달림을 당한 것은 당연히 감수해야만 했다. 그것으로 아이와의 인연은 짧게 끝이났다.

하지만 아이가 바라던 따뜻한 행복은 거기에도 없었다. 생모 곁이지만 이미 재혼한 엄마의 입지가 불편한걸 눈치채고 오래 견디지 못했다. 

아이의 나이 열 세살. 결국은 가출을   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많은 시간이 지난뒤에야 알게되었다. 그 후 ‘삼 십년’이란 긴 세월이 지난. 어느 날부터일까? 생각도 가물가물한 옛 제자로부터 용돈이 날아들기 시작했다. 

열 아홉살 꽃띠 선생님이 팔 십대가 된 지금까지 ‘삼십 팔년’ 동안을 그렇게 한결같이 용돈을 보내고 스승의 날에는 선물을 잊지 않는다. 너무 고맙고 미안해서 이젠 정말로 그만 받자고 사양을 해도 선생님 덕분으로 큰 세상에서 제법 사람이 되었다고 고집을 꺾지 않는단다.
  
그도 이제 칠 십대가 되어 그 또레의 손주들을 주렁주렁 두었을 할아버지가 되었을텐데... 거친 세상이라고 서로를 불신하는 세태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이 충격이다.  

오랫만에 사람사는 진솔한 향기에 가벼운 현깃증을 느꼈다. 그런 훌륭한 사람이 있어 희뿌연 안개속에 한줄기 귀한 빛을 뿌리고 또다시 희망을 갖고 우리는 살아가게 되는 것이리라. 이렇게 멋지게 사는 분들이 더 많아지면 정말로 살기좋은 세상이 될텐데... 

가출한 열 세살 어린 소년은 무작정 상경을 했다. 아는사람 하나 없는 낯선 땅에서 어린 소년이 발붙여 살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련이 있었을까? 거친 세상과 부대끼며 살았을 삼 십년 세월은 밝히지 않아도 상상이 된다. 어엿한 성인이 되기까지 마음속에 간직한 선생님의 온기가 그에게 오늘을 있게 했을 것이다. 따지고보면 스승의 책임을 다한 선생님과 제자의 도리를  충실하게 실천 했을뿐인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건 교과서적인 훈시일뿐. 지켜지기 어려운 일이기에 큰 감동을 받는 것이다. 

어느 날 제자가 스승되고. 스승도 제자 시절이 있었기에 모두가 하나같은 마음이어야 하겠지만 어릴 때 어떤 스승을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항로가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은 너무도 중요한 메세지다.

겉모습이 달라도 마음은 하나

댓글 0 | 조회 1,882 | 2015.01.28
어떤 사진이든. 사진은 그 나름대로의 특별함을 담은 하나하나의 영상들이기에 모두가 지나간 추억이 묻어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더욱 특색있는 인상으로 자주 드려다… 더보기

혼자 걷는 밤길은 지금도 무섭다

댓글 0 | 조회 1,872 | 2015.09.23
아홉 살 어린 나이 때, 아버지께서 퇴근 해 집에 오시자마자 부르는 이름. “영아~ 저 아래 내려가서 남가네 막걸리 좀 받아오렴” 아버지는 저녁 반주를 늘 남가네… 더보기

삶의 축복

댓글 0 | 조회 1,829 | 2017.03.22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먼~길 떠나신 분.반평생 긴 세월을 그리움 가슴에 싸안고홀로 외로웠던 삶.눈 감으신 고요로움이 차라리 평화로울까?진심으로 명복을 빕니다.얼마… 더보기

프라하(Praha)에서 보내온 반가운 영상

댓글 0 | 조회 1,828 | 2016.04.28
예정된 하루의 일과를 별 탈 없이 마친 귀가 길은 늘 산뜻하게 마련이다. ‘하버 브릿지’를 건너는 버스 안에서 석양에 물든 고운빛 물 위에 뜬 ‘요트’들의 한가로… 더보기

숙모 시집오던 날

댓글 0 | 조회 1,805 | 2017.11.22
“어머님이 오늘 새벽에 선종하셨습니다.”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받은 전화. 사촌동생이 알려온 숙모 님의 부음이었다. 나와 몇 살 차이는 있지만 같은 팔십줄의 숙모 … 더보기

꿈을 불러다주는 이 겨울의 선물

댓글 0 | 조회 1,793 | 2016.06.22
한여름에도 발이 시린 친구가 있다. 그야말로 걸을때 말고는 발 모시는(?) 일이 눈물겹다.얼마전, 그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여기는 때아닌 복더위가 찾아와 지금… 더보기

5불 효도

댓글 0 | 조회 1,789 | 2019.05.28
이제 익숙해질만큼 살았것만. 지금이 5월 이란게 실감나질 않는다. 햇 밤도 먹었고 붉은 감도 풍성하니 가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내 느낌은 10월이 딱 맞다.바야… 더보기

코로나의 선물(?), 늦깎이 삼대(三代)의 소확행

댓글 0 | 조회 1,775 | 2022.02.22
대학 등록을 하고 다시 공부를 시작한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2년이 되어온다.나이 삼십을 바라보며 직장생활 잘하던 손녀의 새로운 결심이었다. 현장 경험에서 직접 깨… 더보기

할머니는 외출중

댓글 0 | 조회 1,768 | 2019.08.27
“바쁘다 바뻐...”아침 6시에 맞춰 놓은 알람이 감미로운 멜로디로 단잠을 깨운다. 발딱 일어나야 하는데 이불속이 따뜻해서 뭉그적대기가 일쑤다.자리를 털고 일어나… 더보기

북유럽 여행기 (덴마크) 편

댓글 0 | 조회 1,768 | 2013.02.27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네 나라가 서로 자신의 나라가 … 더보기

그녀가 떠났다

댓글 0 | 조회 1,713 | 2015.06.24
어느 날. 문득 그 집 쪽으로 시선이 멎었을 때다. 무언가 전과 다른 불안한 느낌이 들었다. 뭐지? 이 묘한 느낌은 .... 정적이 감돈다고나 할까. 창마다 얌전… 더보기

그 카페

댓글 0 | 조회 1,713 | 2015.05.26
예전에는 혼자서만 쓸 수 있는 호젓한 시간이 참 많이도 아쉬었다. 이젠 남는게 시간밖에 없는데도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할 수가 없으니 사람 살아가는 이치가 그런건가… 더보기

이만큼 나이 먹어보니 . . .

댓글 0 | 조회 1,710 | 2016.11.23
젊었을땐 남만큼 가진게 많지않다고 투정을 하며 살았다.이만큼 살다보니 이젠 내려다보는 혜안이 열려 지금 있는것만 가지고도 부자임을 감사한다.주제넘은 오만과 편견으… 더보기

발 동동 4시간....

댓글 0 | 조회 1,697 | 2023.08.23
맹_꽁이 멍_청이.내가 스스로에게 붙여 마땅한 조롱이고 별명이다.바로 며칠 전의 일이다. 날씨가 변덕스러워 망서리다가 햇볕이 반짝 보이길래 산책 나갈 채비를 서둘… 더보기

삶의 그림 속에 창 문 낮은 집

댓글 0 | 조회 1,691 | 2017.04.26
우리말에 노름하는 자식, 빚 보증 서는 자식은 낳지도 보지도 말라고 했다. 패가망신을 자초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1980년대 초반. 쉰을 바라보는 나이에 어렵게… 더보기

추모사

댓글 0 | 조회 1,666 | 2014.05.13
그들은 이제 겨우 열 일곱살. 싱싱한 나무에 곱게 부풀은 꽃봉오리었습니다. 하지만 그 꽃봉오리들은 활짝 피워 보지도 못한채 차가운 바닷물에 잠겨버렸습니다. 즐거이… 더보기

현재 노(老)제자와 여(女)스승

댓글 0 | 조회 1,661 | 2014.06.25
잔인한 달. 사 월은 갔지만 끝없이 어둡고 답답한 오월의 나날들도 속절없이 흘러 흘러가고 있다. 상큼하게 가슴 뻥 뚫리는 그 무슨일은 없을까? 고국은 물론이지만 … 더보기

포화(砲火) 속에서 찾은 즐거운 추억

댓글 0 | 조회 1,651 | 2013.06.25
6.25전쟁. 한창 봉오리진 내 아름다운 사춘기의 꿈을 몽땅 짓밟아 놓은 어둠의 세월. 피난민으로 정처없던 혼란속에서 사랑하는 동생의 죽음을 맞아야했던 처절한 슬… 더보기

그들의 행 불행을 사람들이...

댓글 0 | 조회 1,641 | 2013.09.25
편지함에 꽂힌 색다른 전단지를 뽑아들면서 어느분의 안타까운 마음에 공감했다. 고양이를 찾는다는 전단지였는데 새하얀 몸털에 얼굴 반쪽만 검정털로 특징도 유난스런 고… 더보기

낙엽 밟히는 그리움을 걷다

댓글 0 | 조회 1,637 | 2018.05.23
사계절이 뚜렷하진 않지만 언제 바꼈는지 바뀌는 건 틀림없다. 밤바람에 낙엽구르는 소리가 선잠을 깨운다. 아직도 여름인줄 알았는데 성큼 가을이 문턱에 와 있다. 하… 더보기

땡 할비 꽃밭

댓글 0 | 조회 1,619 | 2019.11.26
할아버지 집에 며칠째 인기척이 없다. 커튼도 젖혀진채 그대로인데...아침 7시면 어김없이 쇼핑가방을 들고 집 앞을 지나시는 분이다. 늦잠으로 게으름을 좀 떨다보면… 더보기

쉼표없는 낭만이정표

댓글 0 | 조회 1,617 | 2020.07.29
‘코리아 포스트’가 지난달 6월에 창간 28번째 돌을 맞았다고 한다.늦었지만 축하의 인사를 드리면서 아울러 21번째로 접어든 내 필력(筆歷)도 자축을 겸한다.‘생… 더보기

“텔미”야! 같이놀자, 우리가 뛰거든...

댓글 0 | 조회 1,612 | 2018.11.27
“너도 날 좋아 할 줄은 몰랐었어 어쩌면 좋아 너무나 좋아...”귀가 간지럽게 민망하고 깜찍한 노래다. 가사를 가려 듣기에도 번거로운 빠른 템포는 또 어떻고...… 더보기

감사합니다

댓글 0 | 조회 1,600 | 2014.12.23
12월. 한 해를 마무리하는 끝자락에 서서. 지나 온 나날들을 뒤돌아 봅니다. 내게 주어진 일년동안의 과제를 마치고, 추수를 끝낸 느긋한 농부의 마음으로 새해 맞… 더보기

잔인한 달, 나의 4월

댓글 0 | 조회 1,598 | 2017.05.23
4월 1일은 만우절(萬愚節)이다. 누군가 실없는 말로 내 웃음보를 자극해 올 것만 같은 기대로 첫날을 맞았다.고국은 지금 봄이 무르익는 좋은 계절이다. 울긋불긋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