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72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정(精) 72근

0 개 981 수선재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정합니다. 어느 정도의 적정 에너지면 되겠는가 하는 것을 선인들이 많이 연구를 해서 창조의 원칙으로 72근의 정을 줍니다. 

 

“72근 정도 주어서 내보내면 인간이 60평생, 또는 70평생 동안 지구에 태어나서 살아가면서 깨달음에 이를 수 있겠다.”라고 해서 정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은 출생할 때 주어진 72근을 잘 활용하면 살아 있는 동안에 깨달음까지 갈 수 있고 잘 못하면 그냥 살다가 죽습니다. 

 

정 72근을 아끼라는 말씀을 많이 드리는데 그것이 제일 많이 분출되는 것이 정자(精子)입니다. 그냥 나가는 거거든요. 72근이 어느 정도인지는 재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아무튼 정 72근을 많이 배출하면 명을 다하고 죽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수명을 90살을 타고났어도 살아갈 에너지, 정(精)이 없으면 못 사는 거죠. 그저 최소한의 에너지만 남긴 상태로 누워서 살아가거나 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습니다. 이미 너무 많이 썼는데 어떻게 하느냐는 분도 계실텐데 다시 주워 담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남아 있는 것만이라도 잘 보전하셔서 기화시켜서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여자도 마찬가지예요. 난자 안에 생명이 탄생될 수 있는 모든 에너지가 들어있는데 최대한 활용해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에너지를 많이 비축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안 쓰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의 정을 기화시켜서 살아가기보다는 우주기, 천기를 받아서 쓰십시오. 내 기운은 단전에 들어가면 다시는 안 나오는 것으로 생각하십시오. 

 

또 72근 중에 무덤 속에 일곱 근을 가지고 갑니다. 땅에 묻히고 나서 100년 정도 되면 기화가 되는데 시체가 다 기화될 때까지 일곱 근 정도가 남아 있게 됩니다. 시체 속에도 100년 동안 최소한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간다고요. 그러니까 결국 72근에서 일곱 근을 뺀 65근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인데 이 기운이면 충분히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까지 갈 수 있다고 판정해서 준 것입니다. 왜냐하면 에너지는 유한하기 때문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에너지를 줄 수는 없거든요. 

 

음식이나 보약, 혹은 기운이나 단전호흡을 통해서 정을 보충하거나 더 만들 수는 없는지를 문의하셨는데 기계 같은 것을 만들 때도 미리 수명을 정하고 쓰잖아요. 

 

기름칠을 아무리 한다고 해도 10년이면 10년 정해진 수명이 있듯이 원칙적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음식을 아무리 많이 먹고 기운을 많이 보충해도 한꺼번에 많이 분출해 버리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안 쓰는 것, 덜 먹고 덜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많이 먹으면 또 많이 써요. “식욕은 성욕” 이라는 말도 있듯이 많이 먹으면 자연히 분출하고 싶어집니다. 보충은 보충대로 많이 하시되 덜 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외 누기(漏氣)가 되는 통로는 갈등이나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많이 손기(損氣)가 됩니다. 갈등이라는 것은 기 싸움을 하는 것입니다. 

 

둘 중 하나가 지면 갈등이 안 생기는데 대립해 있을 때 갈등이 생기고, 또 한 사람의 몸 안에서도 두 가지 생각이 대립되어 있을 때 갈등이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 아주 강한 두 개의 요소가 대립되어 있을 때 기 싸움 하느라고 갈등이 생기고 에너지가 많이 소모됩니다. 

 

그러니 부부간에라도 갈등이 있을 때는 져주십시오. 자기 자신을 위해서 대립하지 말라는 겁니다. 왜냐하면 싸우면 우선 자기가 손해나거든요. 절대 못 진다는 것 하나만 남겨 놓고 다 져주시고 봐주십시오. 다 이기겠다고 하면 안 돼요. 가급적 불필요한 에너지는 쓰지 마시고 그냥 져주면서 하고자 하는 것만 하시면 됩니다. 

 

명상과 생활의 조화

댓글 0 | 조회 1,227 | 2018.06.17
생활과 명상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족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지혜가 있어야 수련을 오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열 가지 중 아… 더보기

밥의 소망

댓글 0 | 조회 1,352 | 2018.06.28
오늘은 음식을 드시는 자세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어떤 분이 밥만 보면 그냥 눈물이 막 나온다고 그래요.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너무 맛있어서 그렇대요. 그래… 더보기

영성이 높은 식물

댓글 0 | 조회 1,136 | 2018.07.14
그런데 왜 우리가 주식으로 하필이면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어떤 스님에게 천부경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쌀밥이 맛이 있지?”하시더랍니다. 천부경이 쌀… 더보기

먹어 치우기

댓글 0 | 조회 1,289 | 2018.07.26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계속 드시는 분이 있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있어요. 성격 차이죠.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어요… 더보기

밥상을 차리는 여자

댓글 0 | 조회 1,272 | 2018.08.09
저희 어머니가 옛날에 집에 귀한 손님이 오시면 며칠 전부터 쌀을 고르셨어 요. 겨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낟알을 고르면서 온전한 쌀하고 온전하지 못한 쌀을 골라내시… 더보기

정성

댓글 0 | 조회 1,133 | 2018.08.23
“온갖 정성을 다하여” 라는 말이 있죠?무슨 뜻이냐 하면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그 생각만 하는 것이 정성입니다.저는 맛있는 음식을 보면 굉장… 더보기

인생은 드라마

댓글 0 | 조회 1,559 | 2018.09.14
“인생은 드라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개운법은 스스로 자신의 운을 개척할 수 있는 명상법입니다. 오늘 개운법 명상을 하시면서 “이제부터는 내 인생을 … 더보기

뻔한 스토리

댓글 0 | 조회 1,111 | 2018.09.26
지금까지의 인생은 아무렇게나 살아왔을 수도 있고 실패했을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연출해서 첫 장면부터 철저하게 계산해서 가십시오. 좋은영화일수… 더보기

낭비

댓글 0 | 조회 1,212 | 2018.10.11
장편, 중편, 단편이 있는데 장편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다 다루는 거예요. 그리고 중편은 어떤 시점, 예를 들어 대학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부터 어떤 시점까지 … 더보기

인간 관계

댓글 0 | 조회 1,507 | 2018.10.26
수련생들의 인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는 시소를 타는 관계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시소 탈 때 유능한 사람은 항상 상대방에 맞춰 줍니다. 두 사람이 탈 경우 상대가… 더보기

공주병, 왕자병

댓글 0 | 조회 1,280 | 2018.11.14
공주병, 왕자병 걸린 사람들 있죠?그 얘기 들어 주기 굉장히 힘들죠. 참 인내가 필요한데 그냥 들어 주면 되거든요. 그렇게 공주이고 싶어서 그러는데 못 들어 줄 … 더보기

성. 명. 정

댓글 0 | 조회 1,154 | 2018.11.28
엊그제 어느 분이 성(性), 명(命), 정(情)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런 질문을 받을 때는 참 반가워요. 수련을 하시면서 스스로 터득이 되겠지만 근본… 더보기

사람의 인자(因子)

댓글 0 | 조회 926 | 2018.12.11
다 같은 사람인데 왜 이 사람은 이렇고 저 사람은 저런가, 어떻게 틀린가, 사람을 구분 짓는 기준은 무엇인가 궁금하시죠?그러나 인간의 창조 목적이 ‘진화’이기 때… 더보기

피라미드

댓글 0 | 조회 1,366 | 2018.12.24
전에 어떤 분이 피라미드에 관해서 강의를 한다고 해서 찾아갔었습니다. 정신세계원에서 했는데 처음 30분 정도는 굉장히 흥미진진했어요. 도입부에서 가설을 몇 가지 … 더보기

현재 정(精) 72근

댓글 0 | 조회 982 | 2019.01.16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 더보기

깨달음

댓글 0 | 조회 1,030 | 2019.01.30
저도 수련하면서 꼭 깨달을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많이 가졌습니다. 대충 보통 사람으로 살면 되지 왜 깨달아야 하나 했다고요. 그런데 공부를 하고 나니까 깨달… 더보기

사랑이 영원할 수 있나요?

댓글 0 | 조회 1,355 | 2019.02.15
지나온 일들을 돌이켜 보라고 하면항상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부분이사랑에 관한 것이더군요.누구를 만나서 사랑을 했고, 배신을 당했고, 다시 사랑을 했고......이렇… 더보기

바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50 | 2019.02.26
오랜 옛날 옛적 높은 산 위에 큰 바위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 바위는 자신이 왜 여기에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단 한가지 자신의 위엄만은 대단하다고 생각하… 더보기

바위 이야기 2

댓글 0 | 조회 1,093 | 2019.03.13
많은 세월이 흘렀습니다. 바위는 자신의 모습이 하늘의 사랑인 비와 바람으로 인하여 많이 깎여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음… 더보기

바위 이야기 3

댓글 0 | 조회 1,047 | 2019.03.26
많은 세월이 지난 어느 날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사람들이 오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주위에 서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이 작은 바… 더보기

情 1

댓글 0 | 조회 1,250 | 2019.04.10
흰 눈이 펄펄 내리는 아침입니다. 길이 막힐까 봐 서둘러 나와 조금 일찍 출근을 했습니다. ‘하아 오늘은 녀석들이 얼마나 운동장을 나가자고 조를까?’ 이 눈을 옮… 더보기

情 2

댓글 0 | 조회 1,051 | 2019.04.23
학창시절에 절친한 친구 녀석이 “인생은 고해의 바다” 라는 말을 종종 했습니다. 그때는 뭐가 그렇게 재미있었는지 작은 일들로 배꼽을 잡고, 연신 깔깔거렸는데 다복… 더보기

무늬만 경찰 1

댓글 0 | 조회 1,309 | 2019.05.14
전날 당직을 마치고 퇴근하는 길, 8월 한낮의 태양은 아스팔트 위로 아지랑이를 피워 올리며 세상을 모두 녹여버릴 듯 뜨거운 열기를 뿜어대고 있었다.오늘따라 무슨 … 더보기

무늬만 경찰 2

댓글 0 | 조회 1,519 | 2019.05.28
모두들 안타까운 심정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을 바로 그 때, 옆에서 나와 함께 지켜보고 있던 한 아저씨가 멈칫 멈칫 하더니 이내 자석에 끌리듯 트럭 옆으로 다가… 더보기

작가 정을병의 마지막

댓글 0 | 조회 1,237 | 2019.06.11
“나는 외로움을 많이 탔다.좋을 때도 슬플 때도 그 원천적인 외로움은 마찬가지였다.나는 나의 영적인 고향에 친한 사람들을 모두 두고 혼자 지구에 온 게 분명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