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낭비

0 개 1,203 수선재

장편, 중편, 단편이 있는데 장편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다 다루는 거예요. 그리고 중편은 어떤 시점, 예를 들어 대학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부터 어떤 시점까지 딱 자르는 것입니다. 단편은 더 자르는 거예요. 단편이 알차다는 것은 하이라이트만 딱 자르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의 인생을 대표하는 명 장면만 뽑아 내는 거예요.  

 

그러니까 장편을 쓰고 싶으시면 장편을 쓰시고 하이라이트만 뽑아서 하시려면 하십시오.

 

“내 인생은 지금부터다, 내 인생의 막은 지금부터 열렸다.”그렇게 하실 분들은 지금부터 시작하십시오.

 

“나는 2017년 0월 00일에 새로 태어났다.”이렇게 시작하시면 됩니다. 

 

아직 준비가 안 되셨으면 좀더 준비했다가 하셔도 되는데 그 대신 그 때부터의 시간은 전혀 낭비 없이 사셔야 합니다. 이 수련에 들어오신 분들은 하루도 낭비가 없어야 해요. 지나고 보면 너무 아깝습니다. 시간 낭비한 것이 너무 많아서 저도 막 가슴을 치고 울었어요. 

 

수련하기 전부터 상당히 알차게 살아왔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지나고 보니까 쓸데없는 일에 시간, 에너지 낭비 많이 했고 감정의 소비가 너무 많았어요. 쓸데없이 머리를 너무 많이 썼고 하여튼 낭비를 너무 많이 했더라고요.

 

그래서 아주 뼈저리게 후회했습니다. 

 

몰라서 그랬고 또 괴로워서도 그랬고 몸이 허약해서도 그랬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지구에서 한 생을 보내기 위해 벼르고 별러서 왔는데 이렇게 간다는 것이 아쉽죠. 이 공부하고 나서는 하루하루를 저도 아주 알차게 보냅니다. 그런데 그 전에 제가 너무 낭비를 많이 했더라고요. 그 점을 아주 후회했죠.

 

특히 전에 정(精)을 많이 소모하신 분들이 나중에 아주 후회를 하십니다. 정에너지는 72근을 가지고 태어나는 데 그것을 다 쓰면 죽습니다. 또 죽을 때 시체에 여섯 내지 일곱 근은 가지고 갑니다. 

 

예를 들어 72근 중에 50근을 소모했다면 20여 근을 가지고 살아가면서 수련과 공부를 해 내야 하는 거예요. 

 

수련이라는 것이 말할 수 없이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서 72근 에너지를 다 가지고 있다가 가동을 해도 갈까 말까 하거든요. 그런데 다 소진된 상태에서 천기를 받은들 천기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에너지를 자꾸 활성화시켜서 해야 되는 거예요. 

 

수련은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자체 내에 동력화시킬 에너지가 있어야 합니다. 나중에 가슴을 치고 후회한들 할 수 없는 거죠. 기운이 딸려서 더 못 갑니다. 그러니 앞으로는 많이 보존을 하시고 허비하는 일은 없도록 하십시오. 항상 “지금”이 제일 좋은 기회예요. 

 

후회를 해 본들 소용없고 “해야겠다”라고 마음먹었을 때부터 시작이거든요. 그 때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오늘도 안 하고 더 미루면 또 늦는 거죠. 수련의 기회가 닿았는데도 눈에 티가 하나 들어간 것같이 보이지가 않거든요. 눈에 조그만 티라도 하나 들어가면 눈 전체가 안 보이잖아요. 그래서 기회를 놓치곤 하는데 나중에 굉장히 통탄하죠. 그런데 그 때는 왜 안보였는지 모릅니다. 

 

왜 안 보이느냐? 

 

눈에 티가 들어갔으니까 안 보이는 거죠.  옥석을 구분하는 눈만 있어도 반은 가는 거예요. 지혜의 눈이 열린다는 거죠.

 

“이거다!”하고 붙들면 다시 재보고 망설일 것 없이 그냥 가야 합니다.

 

젊은 분들은 참 너무 축복이죠. 가다가 얼마나 많이 엎어질지, 또 엎어지면 혼자 일어나지 못하고 옆에서 세워 줘야 일어날지 모르지만 아무튼 무한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50461ce5ba7575de353e13bafc924c5b_1539208956_6437.jpg 

명상과 생활의 조화

댓글 0 | 조회 1,220 | 2018.06.17
생활과 명상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족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지혜가 있어야 수련을 오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열 가지 중 아… 더보기

밥의 소망

댓글 0 | 조회 1,344 | 2018.06.28
오늘은 음식을 드시는 자세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어떤 분이 밥만 보면 그냥 눈물이 막 나온다고 그래요.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너무 맛있어서 그렇대요. 그래… 더보기

영성이 높은 식물

댓글 0 | 조회 1,130 | 2018.07.14
그런데 왜 우리가 주식으로 하필이면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어떤 스님에게 천부경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쌀밥이 맛이 있지?”하시더랍니다. 천부경이 쌀… 더보기

먹어 치우기

댓글 0 | 조회 1,283 | 2018.07.26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계속 드시는 분이 있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있어요. 성격 차이죠.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어요… 더보기

밥상을 차리는 여자

댓글 0 | 조회 1,267 | 2018.08.09
저희 어머니가 옛날에 집에 귀한 손님이 오시면 며칠 전부터 쌀을 고르셨어 요. 겨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낟알을 고르면서 온전한 쌀하고 온전하지 못한 쌀을 골라내시… 더보기

정성

댓글 0 | 조회 1,129 | 2018.08.23
“온갖 정성을 다하여” 라는 말이 있죠?무슨 뜻이냐 하면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그 생각만 하는 것이 정성입니다.저는 맛있는 음식을 보면 굉장… 더보기

인생은 드라마

댓글 0 | 조회 1,554 | 2018.09.14
“인생은 드라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개운법은 스스로 자신의 운을 개척할 수 있는 명상법입니다. 오늘 개운법 명상을 하시면서 “이제부터는 내 인생을 … 더보기

뻔한 스토리

댓글 0 | 조회 1,106 | 2018.09.26
지금까지의 인생은 아무렇게나 살아왔을 수도 있고 실패했을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연출해서 첫 장면부터 철저하게 계산해서 가십시오. 좋은영화일수… 더보기
Now

현재 낭비

댓글 0 | 조회 1,204 | 2018.10.11
장편, 중편, 단편이 있는데 장편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다 다루는 거예요. 그리고 중편은 어떤 시점, 예를 들어 대학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부터 어떤 시점까지 … 더보기

인간 관계

댓글 0 | 조회 1,504 | 2018.10.26
수련생들의 인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는 시소를 타는 관계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시소 탈 때 유능한 사람은 항상 상대방에 맞춰 줍니다. 두 사람이 탈 경우 상대가… 더보기

공주병, 왕자병

댓글 0 | 조회 1,277 | 2018.11.14
공주병, 왕자병 걸린 사람들 있죠?그 얘기 들어 주기 굉장히 힘들죠. 참 인내가 필요한데 그냥 들어 주면 되거든요. 그렇게 공주이고 싶어서 그러는데 못 들어 줄 … 더보기

성. 명. 정

댓글 0 | 조회 1,143 | 2018.11.28
엊그제 어느 분이 성(性), 명(命), 정(情)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런 질문을 받을 때는 참 반가워요. 수련을 하시면서 스스로 터득이 되겠지만 근본… 더보기

사람의 인자(因子)

댓글 0 | 조회 921 | 2018.12.11
다 같은 사람인데 왜 이 사람은 이렇고 저 사람은 저런가, 어떻게 틀린가, 사람을 구분 짓는 기준은 무엇인가 궁금하시죠?그러나 인간의 창조 목적이 ‘진화’이기 때… 더보기

피라미드

댓글 0 | 조회 1,361 | 2018.12.24
전에 어떤 분이 피라미드에 관해서 강의를 한다고 해서 찾아갔었습니다. 정신세계원에서 했는데 처음 30분 정도는 굉장히 흥미진진했어요. 도입부에서 가설을 몇 가지 … 더보기

정(精) 72근

댓글 0 | 조회 979 | 2019.01.16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 더보기

깨달음

댓글 0 | 조회 1,021 | 2019.01.30
저도 수련하면서 꼭 깨달을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많이 가졌습니다. 대충 보통 사람으로 살면 되지 왜 깨달아야 하나 했다고요. 그런데 공부를 하고 나니까 깨달… 더보기

사랑이 영원할 수 있나요?

댓글 0 | 조회 1,348 | 2019.02.15
지나온 일들을 돌이켜 보라고 하면항상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부분이사랑에 관한 것이더군요.누구를 만나서 사랑을 했고, 배신을 당했고, 다시 사랑을 했고......이렇… 더보기

바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45 | 2019.02.26
오랜 옛날 옛적 높은 산 위에 큰 바위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 바위는 자신이 왜 여기에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단 한가지 자신의 위엄만은 대단하다고 생각하… 더보기

바위 이야기 2

댓글 0 | 조회 1,087 | 2019.03.13
많은 세월이 흘렀습니다. 바위는 자신의 모습이 하늘의 사랑인 비와 바람으로 인하여 많이 깎여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음… 더보기

바위 이야기 3

댓글 0 | 조회 1,043 | 2019.03.26
많은 세월이 지난 어느 날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사람들이 오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주위에 서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이 작은 바… 더보기

情 1

댓글 0 | 조회 1,245 | 2019.04.10
흰 눈이 펄펄 내리는 아침입니다. 길이 막힐까 봐 서둘러 나와 조금 일찍 출근을 했습니다. ‘하아 오늘은 녀석들이 얼마나 운동장을 나가자고 조를까?’ 이 눈을 옮… 더보기

情 2

댓글 0 | 조회 1,047 | 2019.04.23
학창시절에 절친한 친구 녀석이 “인생은 고해의 바다” 라는 말을 종종 했습니다. 그때는 뭐가 그렇게 재미있었는지 작은 일들로 배꼽을 잡고, 연신 깔깔거렸는데 다복… 더보기

무늬만 경찰 1

댓글 0 | 조회 1,303 | 2019.05.14
전날 당직을 마치고 퇴근하는 길, 8월 한낮의 태양은 아스팔트 위로 아지랑이를 피워 올리며 세상을 모두 녹여버릴 듯 뜨거운 열기를 뿜어대고 있었다.오늘따라 무슨 … 더보기

무늬만 경찰 2

댓글 0 | 조회 1,513 | 2019.05.28
모두들 안타까운 심정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을 바로 그 때, 옆에서 나와 함께 지켜보고 있던 한 아저씨가 멈칫 멈칫 하더니 이내 자석에 끌리듯 트럭 옆으로 다가… 더보기

작가 정을병의 마지막

댓글 0 | 조회 1,233 | 2019.06.11
“나는 외로움을 많이 탔다.좋을 때도 슬플 때도 그 원천적인 외로움은 마찬가지였다.나는 나의 영적인 고향에 친한 사람들을 모두 두고 혼자 지구에 온 게 분명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