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이 높은 식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영성이 높은 식물

0 개 1,135 수선재

그런데 왜 우리가 주식으로 하필이면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어떤 스님에게 천부경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쌀밥이 맛이 있지?”하시더랍니다. 천부경이 쌀밥이죠. 또 “그런데 쌀밥만 먹으면 질리지?”이러더래요. 

 

동이족 선인들께서 하필 쌀밥을 창조하셔서 우리 나라의 주식으로 하셨을까 늘 저도 궁금했어요. 밀도 있고 조도 있고 많잖아요? 물론 이 땅에서 많이 나니까 그렇기도 하겠죠.

 

저도 그냥 무심코 먹었는데 공부를 하고 보니까 쌀이라는 것이 상당히 영성이 높은 식물이더군요. 쌀이 영양분만이 아니라 영성도 제공해 주는 것이었어요. 식물 중에서 아마 쌀이 가장 영성이 높은 곡식일 거예요. 

 

어떤 식물이 영성이 높은가를 알려면 얼마나 까다로운가를 보면 됩니다.난같이 재배하기 까다로운 것들이 영성이 높아요. 쌀도 곡물 중에서 아마 제일 손이 많이 갈걸요? 쌀을 추수하기까지 60여 가지의 일을 한다고 하더군요. 농사를 안 지어봐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하여튼 그렇게 손이 많이 간대요. 

 

그렇게 손이 많이 가는 쌀을 주식으로 한 이유가 바로 영성이 높아서 인간에게 가장 맞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옛날부터 특히 한국쌀이 영양이 좋죠. 동남아 같은 데 쌀은 푸들푸들하고 맛이 안 좋아요. 밥도 우리처럼 하지 않고 솥에 증기로 쪄서 먹는데 영양가가 전혀 없어요. 

 

한국의 지형이 원래 간의 위치입니다. 지구 전체에서 간에 해당되는 부위가 한국 이거든요. 간은 영양분을 저장하는 장부예요. 

 

중국은 위장에 해당되는데 위장은 우리 몸의 제일 가운데 있죠? 이름에 가운데 중(中)자를 쓴 것도 그런 뜻입니다. 그래서 뭐든지 다 소화해 내고 다 받아들입니다. 땅도 넓지만 소수 민족만 해도 오십여 종류가 넘는다고 하는데 다 받아들이고 중화시킵니다. 소화력이 대단한 나라죠. 

 

반면 간이라는 위치는 영양분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엑기스를 뽑아내는 위치입니다. 그래서 우리 나라 음식이 다 맛있습니다. 한우도 맛있고 닭도 그렇고 식물도 뭐든지 국산이 좋아요. 깨 같은 것도 수입 깨는 정말 향기도 없고 고소하지도 않더군요. 그 이유가 우리 나라 땅의 위치가 지구에 있는 영양분들을 전부 저장했다가 생산해서 나오는 위치라서 그런 것입니다. 

 

독초도 다른 나라 것에 비해 우리 나라 것은 독성이 강해서 잘못 먹으면 즉사하죠. 뱀도 다른 나라에서는 물려도 그냥 적당히 살 수도 있는데 우리는 독사에게 물리면 아예 즉사하잖아요.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 사람들도 그렇게 강합니다. 또 지형상 간의 위치에 있을 뿐만 아니라 대륙의 끝에 위치해서 바다에 면해 있는데 끝에 있는 지형의 특징은 극단적이라는 것입니다. 뭔가가 대륙에서 전달되어 오다가 여기가 끝이라고요. 그래서 아주 강하 게 “죽기 아니면 살기”와 같은 절박한 강인함, 극단적인 것으로 화하는 위치입니다.

 

8087da512558264d651e56a7ab4e0d67_1531519362_0219.jpg
 

명상과 생활의 조화

댓글 0 | 조회 1,225 | 2018.06.17
생활과 명상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족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지혜가 있어야 수련을 오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열 가지 중 아… 더보기

밥의 소망

댓글 0 | 조회 1,352 | 2018.06.28
오늘은 음식을 드시는 자세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어떤 분이 밥만 보면 그냥 눈물이 막 나온다고 그래요.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너무 맛있어서 그렇대요. 그래… 더보기
Now

현재 영성이 높은 식물

댓글 0 | 조회 1,136 | 2018.07.14
그런데 왜 우리가 주식으로 하필이면 쌀을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어떤 스님에게 천부경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쌀밥이 맛이 있지?”하시더랍니다. 천부경이 쌀… 더보기

먹어 치우기

댓글 0 | 조회 1,289 | 2018.07.26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계속 드시는 분이 있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있어요. 성격 차이죠.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어요… 더보기

밥상을 차리는 여자

댓글 0 | 조회 1,272 | 2018.08.09
저희 어머니가 옛날에 집에 귀한 손님이 오시면 며칠 전부터 쌀을 고르셨어 요. 겨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낟알을 고르면서 온전한 쌀하고 온전하지 못한 쌀을 골라내시… 더보기

정성

댓글 0 | 조회 1,133 | 2018.08.23
“온갖 정성을 다하여” 라는 말이 있죠?무슨 뜻이냐 하면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그 생각만 하는 것이 정성입니다.저는 맛있는 음식을 보면 굉장… 더보기

인생은 드라마

댓글 0 | 조회 1,559 | 2018.09.14
“인생은 드라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개운법은 스스로 자신의 운을 개척할 수 있는 명상법입니다. 오늘 개운법 명상을 하시면서 “이제부터는 내 인생을 … 더보기

뻔한 스토리

댓글 0 | 조회 1,111 | 2018.09.26
지금까지의 인생은 아무렇게나 살아왔을 수도 있고 실패했을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연출해서 첫 장면부터 철저하게 계산해서 가십시오. 좋은영화일수… 더보기

낭비

댓글 0 | 조회 1,211 | 2018.10.11
장편, 중편, 단편이 있는데 장편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 다 다루는 거예요. 그리고 중편은 어떤 시점, 예를 들어 대학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부터 어떤 시점까지 … 더보기

인간 관계

댓글 0 | 조회 1,507 | 2018.10.26
수련생들의 인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는 시소를 타는 관계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시소 탈 때 유능한 사람은 항상 상대방에 맞춰 줍니다. 두 사람이 탈 경우 상대가… 더보기

공주병, 왕자병

댓글 0 | 조회 1,280 | 2018.11.14
공주병, 왕자병 걸린 사람들 있죠?그 얘기 들어 주기 굉장히 힘들죠. 참 인내가 필요한데 그냥 들어 주면 되거든요. 그렇게 공주이고 싶어서 그러는데 못 들어 줄 … 더보기

성. 명. 정

댓글 0 | 조회 1,154 | 2018.11.28
엊그제 어느 분이 성(性), 명(命), 정(情)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런 질문을 받을 때는 참 반가워요. 수련을 하시면서 스스로 터득이 되겠지만 근본… 더보기

사람의 인자(因子)

댓글 0 | 조회 925 | 2018.12.11
다 같은 사람인데 왜 이 사람은 이렇고 저 사람은 저런가, 어떻게 틀린가, 사람을 구분 짓는 기준은 무엇인가 궁금하시죠?그러나 인간의 창조 목적이 ‘진화’이기 때… 더보기

피라미드

댓글 0 | 조회 1,365 | 2018.12.24
전에 어떤 분이 피라미드에 관해서 강의를 한다고 해서 찾아갔었습니다. 정신세계원에서 했는데 처음 30분 정도는 굉장히 흥미진진했어요. 도입부에서 가설을 몇 가지 … 더보기

정(精) 72근

댓글 0 | 조회 981 | 2019.01.16
인간이 지구에 태어날 때는 원칙이 있습니다.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인간이 태어나서 깨달음으로 갈 수 있겠는가를 … 더보기

깨달음

댓글 0 | 조회 1,028 | 2019.01.30
저도 수련하면서 꼭 깨달을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많이 가졌습니다. 대충 보통 사람으로 살면 되지 왜 깨달아야 하나 했다고요. 그런데 공부를 하고 나니까 깨달… 더보기

사랑이 영원할 수 있나요?

댓글 0 | 조회 1,355 | 2019.02.15
지나온 일들을 돌이켜 보라고 하면항상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부분이사랑에 관한 것이더군요.누구를 만나서 사랑을 했고, 배신을 당했고, 다시 사랑을 했고......이렇… 더보기

바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50 | 2019.02.26
오랜 옛날 옛적 높은 산 위에 큰 바위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 바위는 자신이 왜 여기에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단 한가지 자신의 위엄만은 대단하다고 생각하… 더보기

바위 이야기 2

댓글 0 | 조회 1,092 | 2019.03.13
많은 세월이 흘렀습니다. 바위는 자신의 모습이 하늘의 사랑인 비와 바람으로 인하여 많이 깎여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음… 더보기

바위 이야기 3

댓글 0 | 조회 1,047 | 2019.03.26
많은 세월이 지난 어느 날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사람들이 오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주위에 서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이 작은 바… 더보기

情 1

댓글 0 | 조회 1,250 | 2019.04.10
흰 눈이 펄펄 내리는 아침입니다. 길이 막힐까 봐 서둘러 나와 조금 일찍 출근을 했습니다. ‘하아 오늘은 녀석들이 얼마나 운동장을 나가자고 조를까?’ 이 눈을 옮… 더보기

情 2

댓글 0 | 조회 1,051 | 2019.04.23
학창시절에 절친한 친구 녀석이 “인생은 고해의 바다” 라는 말을 종종 했습니다. 그때는 뭐가 그렇게 재미있었는지 작은 일들로 배꼽을 잡고, 연신 깔깔거렸는데 다복… 더보기

무늬만 경찰 1

댓글 0 | 조회 1,309 | 2019.05.14
전날 당직을 마치고 퇴근하는 길, 8월 한낮의 태양은 아스팔트 위로 아지랑이를 피워 올리며 세상을 모두 녹여버릴 듯 뜨거운 열기를 뿜어대고 있었다.오늘따라 무슨 … 더보기

무늬만 경찰 2

댓글 0 | 조회 1,519 | 2019.05.28
모두들 안타까운 심정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을 바로 그 때, 옆에서 나와 함께 지켜보고 있던 한 아저씨가 멈칫 멈칫 하더니 이내 자석에 끌리듯 트럭 옆으로 다가… 더보기

작가 정을병의 마지막

댓글 0 | 조회 1,237 | 2019.06.11
“나는 외로움을 많이 탔다.좋을 때도 슬플 때도 그 원천적인 외로움은 마찬가지였다.나는 나의 영적인 고향에 친한 사람들을 모두 두고 혼자 지구에 온 게 분명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