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영원한 벗, 한송이 빨간 장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소통하는 영원한 벗, 한송이 빨간 장미

0 개 2,844 오소영

 

f758cf8ae21f8aa0ece8187c48feb466_1456262120_4277.jpg

 

혼자 밥 먹는게 지루하고 따분할 때. 무심히 놓인 식탁 한켠에 빨간 장미 한 송이가 놓칠세라 내 시선을 붙잡는다.   

 

“어머님 식사 맛있게 하세요 그리고 힘내세요.”    

 

고른 치아를 자랑하듯 겹겹이 곱게 피어 웃는 그 꽃을 바라볼 때 마다 수 만리 밖에서 사는 나를 위하여 그 꽃을 준비 해 준 자상한 김서방의 목소리를 듣는다.

 

내게 백년 손님으로 가족이 되어준 사람. 어린 나이에 어머님을 여의고 긴 세월 모정(母情)을 그리다가 공휴일엔 가끔씩 내 무릎을 베고 오수(午睡)를 즐기기도 하던. 남자 없는 집에 든든한 새 아들로 언제나 믿업고 정스러운 사람이다.

 

손가락을 꼽아 헤아려보니 십 년이 다 되어가는 세월을 기특하게도 그 꽃은 늘 그렇게 변함없이 웃고있질 않은가 조화도 아닌 생화(?)가....

 

2007년으로 기억된다. 한국을 방문 했을 때. 오월 ‘어버이 날’을 맞이했다. 그 때 나는 사위로부터 카네이션이 아닌 장미꽃 한 송이를 받았다. 생화는 틀림없는데 투명한 유리병 안에 밀봉으로 담겨져 있는게 특이했다. 고운 자태를 유감없이 나타내며 웃고는 있지만 그 꽃이 ‘미라(mirra)’라는건 나중에야 알았다.

 

삼,사년 정도는 변함 없다니까, 이걸 받으셔야 한다며 내 손에 쥐어준 꽃. 자주 만날 수 없는 처지에 이런게 있다는게 너무나 다행스러워 ‘카네이션’이 아니어서 안된다는 아내의 말도 뿌리치고 사 들고 온 사위. 그 마음을 잊을 수가 없다.

 

그 고마움에 답이라도 하는걸까? 반가운 이변이다.

 

삼 사년을 따불로 넘기고 10년을 코 앞에 둔 지금도 변함이 없다. 아마도 영원히 시들지 않을 것처럼 깔끔한채 그대로다.

 

그걸 여기 가져올 때의 쉽지 않았던 과정이 지금도 생생하다.    

 

행여 깨질세라 여러겹의 종이로 말아 여행가방 옷 속에 깊숙이 묻었다. 귀한 보물처럼.... 뉴질랜드 땅에 내릴 때까지는 무사했다.

 

아무 생각없이 공항 짐 검색대에 가방을 놓았다. 그런데 남들이 무사히 다 빠져나가는데 나 혼자 옷 가방을 열어야 했다. 옷 속에서 그들이 찾아낸 것은 바로 그 꽃. 

 

“아차 그 생각을 못했구나. 하지만 생화가 아닌데?”    

 

내가 잘못 한 걸까? 라는 죄책감보다 그걸 버려야 한다는 생각이 우선으로 괜스레 화가났다.

 

세심한 배려와 정성으로 준비한 사위의 얼굴이 떠 오르면서 그 꽃을 포기 할 수 없다는 생각이 간절 해 졌다. 마음속으로 애원하듯이 빌고 또 빌었다. (돌려주세요.. 그 꽃은 이미 생명을 잃은. 오직 내게만 삶이 허용된 거짓 꽃입니다.)   

 

그들이 확인하기 전에는 아무 말도 소용이 없겠지만 말이 되면 그렇게 속 시원히 부르짖고 싶었다.

그 것을 들고 온 내 마음을 알았을까?   

 

하찮아 하지않고 조심스럽게 이 방 저 방 들고 다니며 검사를 하는 모습이 너무나 진지했다. 

 

어머니 손에 쥐어준 고국의 자식들 정성을 읽기라도 한듯 도와주려는 친절한 태도로 보여 조금씩 미안한 마음이 들기 시작했다.

 

작은 꽃 한송이 - 그냥 버릴 법도한데 최선을 다 하는 그 사람들이 너무나 인간적으로 따뜻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내가 이 나라에 살지)  

 

왠지 다시 내 손 안에 쥐어질 것이라는 희망이 생기고 슬슬 싱거운 웃음이 번져나왔다.

 

기다리기에 지칠만큼 오랜 시간이 걸렸다. 웃으면서 다시 돌려주며 미안하다고 했을 때 “땡큐 땡큐” 하면서 그 녀의 손을 덥석 잡았던 치기의 코리안 어머니. 마오리 아줌마인 그녀가 웃어주어 챙피를 모면했다.

 

투명한 유리병 안에서 살아있는 듯 화사하게 피어있는 새빨간 장미.

 

순결을 지키는 아가씨의 모습처럼 십년이 되어오는 오늘까지 변함없이 여전한게 그래서 좋다.

 

요즘 부쩍 그 꽃과 소통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어린애처럼 숟가락 들고 밥먹기 싫다는 투정을 자주 부린다.  

 

“그러시면 안됩니다. 맛있는 것 장만해서 많이 드시는게 보약입니다.” 꽃 속에서 자상한 목소리로 달래듯 소근거리는 소리. 그런 환청(幻聽)의 착각에도 큰 위로를 받으며 밥을 넘긴다.

 

“고국의 경제사정이 나아지지 않는다는데 사업 힘들지는 않은가?”   

 

가끔씩 어른스러운 대화도 한다.

 

비록 작은 꽃 한 송이지만 의미가 담기니 이렇게 대단한 위력이... 가치의 정의를 다시 배우며. 소통하는 가족이 있어 외로움을 견디며 살아간다.

 

주부(主婦) 실종시대

댓글 0 | 조회 2,900 | 2014.04.24
정신없이 흐려지는 시각을 거역이라도 하듯. 사물을 보고 느끼는 진정성은 더더욱 뚜렷해 지고 있으니 이것이 늙어가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리라. 늘상 보던 주변의 물… 더보기

추모사

댓글 0 | 조회 1,671 | 2014.05.13
그들은 이제 겨우 열 일곱살. 싱싱한 나무에 곱게 부풀은 꽃봉오리었습니다. 하지만 그 꽃봉오리들은 활짝 피워 보지도 못한채 차가운 바닷물에 잠겨버렸습니다. 즐거이… 더보기

노(老)제자와 여(女)스승

댓글 0 | 조회 1,662 | 2014.06.25
잔인한 달. 사 월은 갔지만 끝없이 어둡고 답답한 오월의 나날들도 속절없이 흘러 흘러가고 있다. 상큼하게 가슴 뻥 뚫리는 그 무슨일은 없을까? 고국은 물론이지만 … 더보기

오늘

댓글 0 | 조회 2,277 | 2014.07.22
‘오늘’이란 날은 당일을 말 함이지만 삶의 여생(餘生)중에 가장 젊은 날 이기도 하다. ‘오늘’은 내일을 바라보는 미래의 시발점으로 첫 걸음을 하는 날이기에 어제… 더보기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입니다

댓글 0 | 조회 1,537 | 2014.08.27
오늘은 예순 아홉번 째로 맞는 ‘광복절(光復節)’ 입니다. 여기는 지금 한겨울, 팔월의 칼바람속을 산뜻하게 때묻지 않은 새 ‘태극기’가 하늘을 향해 팔랑거리며 올… 더보기

추억속의 아버지 그리고 갈대와 나

댓글 0 | 조회 1,596 | 2014.09.23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집을 나설 때의 일탈감은 늘 새로워 설레이게 마련이다. 안 가겠다고 버티던 고집은 어디에다 숨겨 버렸을까?.. 그 곳을 지날 때는 항상 반겨… 더보기

라일락꽃 향기 속에서

댓글 0 | 조회 2,104 | 2014.10.30
아! 그렇지 ‘라일락꽃’ 향기. 너무 반갑다. 잊고 사는 동안에도 어김없이 제 철을 알리는 그 향기를 어찌 기억 못할까? 높다란 철제 휀스위에 탐스럽게 매달린 연… 더보기

(꽁트) 큰 소리로 노래하리라

댓글 0 | 조회 2,119 | 2014.11.25
태어나서 육십여년 긴 세월을 살았던 땅. 조상의 뼈가묻힌 조국을 뒤로하고 신천지 뉴질랜드에 온 것은. 사람들에게 부대끼지 않고 삶의 질을 높여 살고싶은. 그들 자… 더보기

감사합니다

댓글 0 | 조회 1,601 | 2014.12.23
12월. 한 해를 마무리하는 끝자락에 서서. 지나 온 나날들을 뒤돌아 봅니다. 내게 주어진 일년동안의 과제를 마치고, 추수를 끝낸 느긋한 농부의 마음으로 새해 맞… 더보기

겉모습이 달라도 마음은 하나

댓글 0 | 조회 1,885 | 2015.01.28
어떤 사진이든. 사진은 그 나름대로의 특별함을 담은 하나하나의 영상들이기에 모두가 지나간 추억이 묻어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더욱 특색있는 인상으로 자주 드려다… 더보기

‘오클랜드’ 구정 명절이 행복하다

댓글 0 | 조회 2,158 | 2015.02.25
고국에선 설 명절 연휴에 무려 78만명이 해외로 빠져나가 차례보다는 해외여행이 우선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그 어느 해 보다 많은 인파로 ‘인천공항’이 귀성길 못잖… 더보기

감동의 메아리

댓글 0 | 조회 2,056 | 2015.03.25
가끔씩 나른한 감성을 흔들어 깨우는 사람들을 만날 때가 있어 기쁘다. 아주 오래된 일임에도 그 찐한 감동은 조금도 변함없이 가슴을 파고들어 찌든 삶에 새로운 윤활… 더보기

‘세익스피어 파크’에서

댓글 0 | 조회 2,437 | 2015.04.30
이민 보따리를 풀고 한참 지나서 처음 나드리 가 본 곳이 ‘쉑스피어 팍’이었다. 벌써 십년도 더 지났지만 처음 느낀 인상 때문인지 갈 때마다 기분이 좋다. 내가 … 더보기

그 카페

댓글 0 | 조회 1,714 | 2015.05.26
예전에는 혼자서만 쓸 수 있는 호젓한 시간이 참 많이도 아쉬었다. 이젠 남는게 시간밖에 없는데도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할 수가 없으니 사람 살아가는 이치가 그런건가… 더보기

그녀가 떠났다

댓글 0 | 조회 1,715 | 2015.06.24
어느 날. 문득 그 집 쪽으로 시선이 멎었을 때다. 무언가 전과 다른 불안한 느낌이 들었다. 뭐지? 이 묘한 느낌은 .... 정적이 감돈다고나 할까. 창마다 얌전… 더보기

나의 7월, 생각이 머무는 그 곳에...

댓글 0 | 조회 1,976 | 2015.07.28
참 많은 세월이 지났음에도 잊혀지지가 않는 그 곳. 아니 점점 더 선명하게 떠 오르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정확하게 55년 전의 일을 마치 어제 일처럼 생각하고 … 더보기

강력한 no! no!.--그리고 sorry!

댓글 0 | 조회 2,240 | 2015.08.27
지금 내 처지에 ‘공’까지 잘 맞기를 바란다면 그건 분명히 지나친 과욕이다. ‘십팔 홀’을 거뜬히 걷기만 해도 그것으로 만족. 감사하면서 기분이 좋아진다. ‘골프… 더보기

혼자 걷는 밤길은 지금도 무섭다

댓글 0 | 조회 1,873 | 2015.09.23
아홉 살 어린 나이 때, 아버지께서 퇴근 해 집에 오시자마자 부르는 이름. “영아~ 저 아래 내려가서 남가네 막걸리 좀 받아오렴” 아버지는 저녁 반주를 늘 남가네… 더보기

‘무지개 시니어 중창단’ 시드니를 흔들다!(Ⅰ)

댓글 0 | 조회 2,114 | 2015.10.29
대체로 좋은 꿈은 빨리 깨어나서 아쉽다. 그리도 기다렸던 3박 4일간의 ‘시드니’ 일정이 어느새 하룻밤의 꿈처럼 아련하게 지나가 버렸다. 다행인 것은 만나는 사람… 더보기

‘무지개 시니어 중창단’ 시드니를 흔들다!(Ⅱ)

댓글 0 | 조회 4,170 | 2015.11.25
마치 죽음처럼 깊이 잠 들었던 호텔에서의 첫 밤이었다. 눈을 떠 보니 새벽 네 시. 옆 사람이 깰까봐 조심스럽게 일어나 욕조에 더운 물을 한가득. 그 안에서 며칠… 더보기

반갑잖은 손님이 저기 또 오시네

댓글 0 | 조회 2,487 | 2015.12.22
집 앞 길가에 나가서 빨간 신호등을 마냥 켜 둘까? 현관문을 지킬까? 아니면 방 문이라도 잠가 버리면 그 손님은 오지 않을는지?....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세월… 더보기

공항 그리고 크리스마스 데이

댓글 0 | 조회 1,941 | 2016.01.28
‘크리스마스 데이’에 밖을 나가보니 너무나 조용했다. ‘쇼핑 몰’까지 문을 닫으니 세상이 달라진듯 한산했다. 모두들 어디로 간 것 일까?. 그들에겐 일년을 기다려… 더보기
Now

현재 소통하는 영원한 벗, 한송이 빨간 장미

댓글 0 | 조회 2,845 | 2016.02.24
혼자 밥 먹는게 지루하고 따분할 때. 무심히 놓인 식탁 한켠에 빨간 장미 한 송이가 놓칠세라 내 시선을 붙잡는다. “어머님 식사 맛있게 하세요 그리고 힘내세요.”… 더보기

부녀 별곡 (父女 別曲)

댓글 0 | 조회 2,388 | 2016.03.24
이제 여기 여름도 한국처럼 덥다고 느끼며 무더위 속에서 한 여름을 보냈다.뙤약볕에 불화로처럼 달아오른 어느 일요일 오후. 서늘한 바람 그늘이 그리워 고목으로 울창… 더보기

프라하(Praha)에서 보내온 반가운 영상

댓글 0 | 조회 1,833 | 2016.04.28
예정된 하루의 일과를 별 탈 없이 마친 귀가 길은 늘 산뜻하게 마련이다. ‘하버 브릿지’를 건너는 버스 안에서 석양에 물든 고운빛 물 위에 뜬 ‘요트’들의 한가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