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0 개 5,003 한일수

 

ad10513f48bdc03df91a6ca6a1bf5401_1458691023_2283.jpg

 

조물주는 세상에 똑 같은 모습이나 개성을 지닌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아무리 예쁜 여자라도 좌우 대칭이 정확하지는 않다고 한다. 심지어 얼굴도 자세히 보면 좌우가 다르다. 이렇게 다른 것이 자연의 섭리인데 20세기 중에 범람했던 인간에 의한 대량생산 방식이 획일적이고 일사불란한 방식의 물품이나 건물을 마구 쏟아냈던 것이다.

 

오클랜드는 지형 자체가 신(神)이 창조해낸 걸 작품 같이 오묘하고 경관이 다양하다. 그 위에 세워진 건축물들은 실로 개성적이어서 주택을 구입할 때 어떤 집을 골라야 할지 혼란스럽기도 하다. 한국에 있을 때 아파트 문화에 익숙했던 사람은 적응하기 힘든 요소도 많이 내포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극성을 부리던 아파트 생활의 파급에 휩쓸리지 않고 단독주택을 고집하며 어리석은(?) 생활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연인지는 몰라도 더 이상 단독주택 생활을 계속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뉴질랜드 이민을 결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살았던 아차산 밑의 주택은 비교적 신개발 단지로 동네 분위기가 쾌적했고 덜 복잡해서 좋았었다. 그런데 입구에 지하철 공사가 시작되면서 하나 둘 씩 집들이 팔리고 다세대 주택들이 들어서고 있었다. 지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새집도 팔리더니 다세대로 둔갑하였다. 나는 계속 버티려니 하였지만 어느새 내 집은 다세대 주택에 의해 포위되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신기롭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70평(약 210제곱미터) 대지에 두 세대가 살 수 있는 2층 건물이 자리했고 마당에는 관상수 외에도 모과, 대추, 감나무가 있어 수확을 했다. 봄이면 자목련 꽃이 마당을 가득 채우기도 하였다. 뉴질랜드 단독주택 대지가 대개 250평에서 300평 내외인 것을 생각할 때 매우 좁은 대지였지만 사실은 서울에서 그 정도 대지의 집은 큰 편에 속했다. 대지 200평이 넘는 집은 재벌들이나 소유할 수 있는 규모이다. 결국 이민 올 때 나도 그 집을 다세대 건설업자에게 팔게 되었다. 우리 집이 헐리던 날 동네 사람들이 가을이면 붉게 익어가던 우리 집의 감나무를 회상하며 탄식을 했다고 한다. 

 

뉴질랜드가 개척되기 시작할 때 영국에서 뉴질랜드 이민자를 모집하면서 뉴질랜드는 기후가 환상적이고 누구나 정원이 딸린 단독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 영국도 한반도만한 땅덩어리에 인구가 조밀해 서민들이 정원 딸린 단독주택을 소유한다는 것은 꿈이었다. 기후도 못 말리게 음습해 햇볕 좋은 땅에 내 집을 짓고 정원을 가꾼다는 꿈을 안고 이 나라에 들어 온 것이다. 런던 주위에 수용소 같은 건물이 많이 있는데 정부에서 지어준 집단 연립 주택이다. 환기 불순으로 일 년 내내 습기와 싸워야했고 겨울에는 뼛속까지 파고드는 추위를 견디면서 생활해오던 그들이었으니 얼마나 신천지에 대해서 꿈에 부풀었을까? 

 

2011년 새로 이사 와서 살던 옆집이 옥션으로 팔리고 있었다.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오픈 홈 때부터 붐볐는데 옥션 당일에도 마찬가지였다. 800제곱미터 정도의 대지에 지은 지 오래된 집이지만 바이어들이 달려들었다. 결국 당시 시장 시세로는 비싼 값으로 체결된 거 같았지만 지금은 그때보다 두 배 정도 더 올라버린 상태이다. 젊은 부부가 어린 아들 하나를 데리고 이사를 왔는데 이사 와서 아들 하나를 더 낳았다. 집을 장만한 게 얼마나 행복했던지 시간 날 때마다 집안 손질을 멈추지 않았다. 애들을 위한 온갖 시설들을 갖추어 마당에서 마음껏 뛰어 놀도록 풀어 놓고 부모들도 같이 놀아줄뿐더러 동네 친구들을 초청해 같이 놀게 했다. 자기 이민 선조들의 꿈을 실천하고 있는 듯싶다. 한국의 아파트에서 한국적 자녀 교육방식에 길들여 자라나고 있는 어린이들과 비교되는 바가 크다. 

 

남한 인구 5천 만, 뉴질랜드 인구 450만. 남한 면적 10만 제곱킬로미터, 뉴질랜드 면적 27만 제곱킬로미터로 놓고 볼 때 인구밀도는 약 30배 차이가 난다. 그만큼 뉴질랜드에서는 넓은 땅을 소유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한국인 이민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던 1992년과 비교하면 24년이 지난 지금은 뉴질랜드 땅 값도 엄청 오른 상태이다. 특히 오클랜드 시내 땅 값은 서울 교외 대지 값과 비교될 정도로 올라 있다. 1000제곱미터 대지를 100만 달러로 볼 때 평당 3천 달러(250만원), 서울 근교 대지 값도 평당 500만 원 정도이니 두 배 차이가 난다. 그러나 1992년 당시로 돌아가 오클랜드 땅 값과 서울의 땅 값을 비교하고 현재 시세와 대비해보면 오클랜드 땅은 서울의 몇 십 배 올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환율 인상 폭 까지 대비해보면 더욱 격차가 발생한다. 지나간 얘기지만 이민 와서 교민들이 오클랜드 주변 농장주택이나 시내 주택이라도 땅 큰 부동산을 확보했더라면 현재 더욱 탄탄한 교민 경제 기반이 형성 되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중국인들이 무서울 정도로 돈이 될 만한 농장주택이나 풀 섹션 단독주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두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키위들은 팔고 중국인들은 사들이고, 집 팔아 거금을 손에 넣은 키위들은 시골로 가고 도시는 점점 중국인들로 채워지고……. 키위들은 그들의 조상들이 물려준 부동산을 잘 관리하고 있다가 시절이 좋아 그걸 처분하니 큰 부자가 되어 노후를 여유 있게 보내게 되었다. 우리 한인들도 기왕이면 넓은 대지의 집을 사서 집을 가꾸고 정원을 가꾸는 것을 취미로 삼아 재산을 키워나가야 하지 않을까? 세상은 땅을 확보한 자가 지배하기 마련인데 …….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6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
Now

현재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댓글 0 | 조회 5,004 | 2016.03.23
조물주는 세상에 똑 같은 모습이나 개성을 지닌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아무리 예쁜 여자라도 좌우 대칭이 정확하지는 않다고 한다. 심지어 얼굴도 자세히 보면 좌우가… 더보기

일곱 베일의 춤

댓글 0 | 조회 4,535 | 2016.03.10
‘모든 괴짜가 다 천재(天才)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천재는 다 괴짜이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는 19세기 말을 대표하는 아… 더보기

중국인들이 몰려온다

댓글 0 | 조회 5,315 | 2016.02.24
우리가 흔히 중국 사람이라고 말하는 중국인은 내용적으로 각각 성격이 다른 부류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영어로 표… 더보기

꿀벌이 지구를 떠난다면

댓글 0 | 조회 2,471 | 2016.02.11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박사는 ‘만일 지구상에서 어떤 이유로든 꿀벌이 사라지게 된다면 인류 또한 4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다’… 더보기

부자 3대는 못가도 먹는 것은 3대 간다

댓글 0 | 조회 2,358 | 2016.01.27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부자 3대’ 이야기는 오늘날에 와서 맞을 수도 있고 안 맞을 수도 있다. 한 번 부자의 반열에 오르면 계속 그 지위를 유지하기가 쉬운 오… 더보기

음악과 영혼과 사랑

댓글 0 | 조회 2,376 | 2016.01.13
누군가의 영혼에 잔잔한 파도라도 일으킬 수 있다면 그 인생은 보람 있는 일을 한 것이리라. 문학과 예술은 인간 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가장 원초적인 관계를 맺어 왔… 더보기

주례 없는 주례사

댓글 0 | 조회 6,130 | 2015.12.23
결혼을 준비하면서 제일 먼저 대두되는 고민거리 하나가 주례(主禮)를 누구로 모시느냐이다. 신랑 신부 측 부모님과 당사자들과의 의견 조율도 필요하고 주례자를 통해서… 더보기

옮겨심기

댓글 0 | 조회 2,945 | 2015.12.10
내가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살았던 집은 30평 정도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잡종 난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초가 나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침이면 보… 더보기

모자이크 사회

댓글 0 | 조회 5,311 | 2015.11.26
현대사회는 모자이크(Mosaic)와 같다. 하나의 모자이크가 훌륭한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참여한 각자의 조각들이 제 자리에서 제 몫을 해주… 더보기

하우스 쇼핑(Ⅱ)

댓글 0 | 조회 2,424 | 2015.11.11
일생일대의 중대한 선택은 배우자를 고르는 일일 것이다. 중요한 만큼 고려하는 사항도 많다. 흔히 ‘A’ 에서 ‘H’까지를 점검한다고 한다. 즉 Age(나이), B… 더보기

하우스 쇼핑(Ⅰ)

댓글 0 | 조회 2,701 | 2015.10.29
뉴질랜드 생활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경험하는 문화적 변화가 오픈 홈(Open home) 시스템일 것이다. 우선 렌트할 집은 마운트 로스킬(Mt Roskill) … 더보기

풍수 - 믿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댓글 0 | 조회 3,367 | 2015.10.14
부동산 광고를 보거나 부동산 옥셔니어(Auctioneer)의 외치는 소리를 들어보면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로케이션(Location) 이다. 부동산(不動産)은…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Ⅱ)

댓글 0 | 조회 2,907 | 2015.09.24
조선 시대의 어떤 부자 노인이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며느리들을 테스트해 보았다. 세 며느리들한테 쌀 한 가마니씩을 나눠주고 이 쌀 가지고 한 달 동안 살…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I)

댓글 0 | 조회 3,125 | 2015.09.09
‘씨 뷰 (Sea view)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서울에서 이민을 준비할 때부터 집을 살 때 바다가 보이는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수없이 들…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Ⅱ)

댓글 0 | 조회 2,573 | 2015.08.26
역사상 가장 대박 난 부동산 거래는 알래스카일 것이다.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이고 남한 땅의 16배 이상 되는 넓이로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크다. 174…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Ⅰ)

댓글 0 | 조회 2,292 | 2015.08.13
‘눈이 보배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눈이 우리 몸에 있어서 또는 삶에 있어서 소중하고 중요하여 마치 보물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 되겠다. 시력이 좋… 더보기

느림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865 | 2015.07.28
신입 사원 시절에 성질이 따발총 콩 튀기 듯 하던 과장 밑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다. 하루는 무슨 업무 처리 문제로 따발총이 콩 튀기 시작했는데 나한테 불호령이 떨… 더보기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댓글 0 | 조회 6,001 | 2015.07.15
“나는 바이칼 호의 가을 물결을 바라보면서 이 글을 쓰오. 나의 고국 조선은 아직도 처서(處署) 더위로 땀을 흘리리라고 생각하지마는 고국서 칠천 리, 이 바이칼 … 더보기

70% 행복론

댓글 0 | 조회 2,670 | 2015.06.23
며칠 전에 정원 일에 쓰일 외바퀴 손수레인 휠배로우(Wheelbarrow)를 구입한 일이 있다. 거름흙을 운반하느라 처음 사용해봤는데 적재량을 잘 조절해서 균형을… 더보기

남자는 나이 70에야 철이 든다

댓글 0 | 조회 7,148 | 2015.06.09
“어느 남자가 하느님한테 가서 하소연을 했다. ‘하느님, 왜 남편은 하루 종일 고생하며 돈 벌어서 집에 갖다 주는데 아내는 남편이 벌어 온 돈 가지고 흐늘거리며 … 더보기

김포공항에서 주저 앉아버린 애 엄마

댓글 0 | 조회 4,064 | 2015.05.26
뉴질랜드로의 한국인 이민 물결이 한창 상승세를 이룰 무렵 1995년 5월에는 하나은행에서 주관하는 이민자 영어교실 멤버들의 야유회가 열렸다. 남서울대공원에서 열린… 더보기

아들리느 결혼식에 가슴을 치는 남자

댓글 0 | 조회 2,863 | 2015.05.13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그리고 3일 후 왕도 죽었다.’라는 표현은 사실적인 기록이다. 그러나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3일 동안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애통… 더보기

울어버린 두꺼비

댓글 0 | 조회 2,517 | 2015.04.29
두꺼비는 예로부터 복(福)과 부(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의 민간 전설 ‘두꺼비와 지네’에서는 자기를 키워준 소녀를 위하여 침입한 지네와 싸워 함께 죽고… 더보기

흙에서 살리라

댓글 0 | 조회 2,591 | 2015.04.14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