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Ourselves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Understanding Ourselves

0 개 1,138 새움터
지금 일 하고 있는 이 곳, Mason Clinic에서 몇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Understanding Ourselves’라는 심리교육 인데 이 프로그램을 간략히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 교육에 근본 목적은 내 삶 속에 있는 악 순환 (Vicious Cycle)의 사슬을 선의 순환 (Victorious Cycle)으로 바꿀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다. 
 
사람이라면 조금한 것이든 큰 것이든 악 순환의 사슬이 있다. 예를 들어 꼭 이런 상황 일 때는 혹은 꼭 누군가가 이런 말을 했을 때는 내 안에 부정적인 감정들이 올라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런 감정들은 마치 나 자신이 거부 할 수 없는 마치 공식 같은 감정인 경우가 많다. 이 감정들은 곧 내 생각과 연결되고 그 부정적인 생각은 곧바로 내 몸 속으로 스며들어 신체적으로도 나쁜 현상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렇게 표현되는 현상 때문에 상대방은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을 예감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폭력과 살인 같은 극단적인 결과는 이런 반복 되어 지는 부정적인 사슬로 인해 나은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내가 태어나기 전과 그 후에 겪어지는 경험 그리고 보고 들은 그 모든 것들이 나를 형성하게 된다. 태어나기 전이라 함은 엄마의 배 안에 있으면서 엄마의 심리적인 상태 혹은 알코올이나 약물 같은 것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현상을 의미 한다. 그 후라 함은 내가 기억 할 수 없지만 잠재 되어 있는 그리고 기억 할 수 있는 그 모든 부정적인 영향을 의미하다. 이런 삶의 부정적인 사슬들은 결국 작게나 혹은 크게 악 순환을 형성하게 된다. 이 악 순환은 그리 어렵지 않게 발견 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상황을 설정해 놓고 내 생각(thought)/감정(feelings)/몸에 나타나는 현상(body sensations)/행동(action)을 주의 깊게 관찰, 어떻게 서로가 영향을 주고 받는지 알아 보는 것이다. 계속적인 나의 관찰을 (Self-assessment) 통해 결국 악 순환이 이루어 지고 있음을 발견 할 수 있다. 

이 악 순환은 선한 순환으로 쉽지 않지만 바꿀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다. 먼저 나의 관찰을 통해 나의 사슬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볼 수 없다면 아직은 control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나의 사슬을 볼 수 있을 때 그 다음에 할 일은 어떻게 이 부정적인 생각을 조금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을지 생각 해 본다. 쉽지는 않을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나를 신뢰 해 주는 내가 신뢰 할 수 있는 사람의 도움이 필요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정적인 말을 들었다. 하지만 이번엔 이 부정적인 말이 내 감정에 다가가기 전에 혹은 깊이 느끼기 전에 먼저 기회 (Opportunity)라고 내 자신에게 인지시킨다. 그리고 부정적인 말이 전부 사실이 아님을 혹은 만약 사실이라도 그것이 전부가 아님을 나의 감정에 전달 하여야 한다. 이 부분을 계속적으로 연습하게 되면 점점 받아들여지는 부정적인 생각/감정들이 무겁기 보다는 가벼워지고 이제는 아무렇지도 않아지는 현상을 발견 하게 되는데 이것이 선의 순환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다. 
 
태어날 때 나라는 존재는 무엇이 옳고/그릇되고 무엇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이 나라는 존재는 어떠한 경험과 교육, 보고 느끼는 삶의 시간들을 통해 내 안에 삶을 바라보는 시선/생각/감정들이 만들어지고 세상을 보는 마음의 눈이 형성하게 된다. 그것이 나를 병들게도 하지만 그것이 나를 소중하고 아름답게 만든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글쓴이:  전 성민 social worker (Forensic psychiatric Service, Mason Clinic) 

< 새움터 모임 >
새움터는 정신 건강에 대한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단체입니다. 정신 건강에 관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이메일로 연락 주십시요.
김 하균 (사회 복지사)     Hagyun.Kim@connectsr.org.nz
조 정임 (상담사)           jcho@pgfnz.org.nz
유 윤심 (정신과 간호사)   Martha.Kim@middlemore.co.nz
 

 
 

누군가에게 아주 특별한 사람으로 기억된다면...

댓글 0 | 조회 1,168 | 2013.05.14
토요일 오후 3시, 로버트할아버지댁에 도착할 때면, 그 분은 벌써 현관앞에 나와서 당신을 찾아 올 친구를 기다리신다. Nice to meet you…… 더보기

행복을 위한 발버둥

댓글 0 | 조회 1,152 | 2018.02.14
♥ 정 인화의 민낯 보이기​행복해지고 싶다.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행복하지 않다.무엇이 잘못되었나.꼬리를 물어가며 생각해도 이유가 없다.살을 빼야 하나.남들처럼 헬… 더보기

현재 Understanding Ourselves

댓글 0 | 조회 1,139 | 2012.11.28
지금 일 하고 있는 이 곳, Mason Clinic에서 몇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Understanding Ourselves… 더보기

감정 무죄 행동 유죄

댓글 0 | 조회 1,131 | 2018.01.31
“어머 지적이셔요”이런 말은 듣는 것을 상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어머 감정적이셔요”이런 말을 들었다면 어떨까? 기분이 묘하다. 지적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만큼… 더보기

끊임없이 변하는 사람의 뇌

댓글 0 | 조회 1,111 | 2017.09.27
정신 없이 하루를 보냈다.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게 이제 힘에 부친다. 무엇보다도 영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일하다 보면 신경은 항상 예민하게 서있고 같은 일을 하는… 더보기

평생에...

댓글 0 | 조회 1,100 | 2013.04.23
평생에, 나날의 삶이 즐겁기만 하고, 행복하기가 구름위를 나르는 것같은 삶은 아마도 없을 것입니다. 완벽히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고 살 수 있는 현대인은 거의 찾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