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수수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회계수수료

0 개 3,030 NZ코리아포스트
일반적으로 사업체의 구매계약에 서명하고 난 후에 회계사에게 IRD사업자등록을 요청하면서 사업체 회계업무를 의뢰한다. 하지만, 사업상 바쁘다는 혹은 기타의 이유로 회계사 지정이 미루어짐에 따라, 신고 누락 및 잘못된 신고로 벌금이 부과되거나 심지어는 세무감사로 이어지는 경우를 보게된다. 또한, 세무업무를 하다보면, 조금 더 일찍 회계사를 찾아갔으면 IRD 세무업무 이외에도 사업주에게 도움이 되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경우도 종종 겪게된다.

회계사에게 서비스를 의뢰할때 소규모 업체를 운영하는 고객에 의해 가장 고려되는 부분중의 하나는 회계수임료라고 생각한다. 수수료가 많고 적음을 떠나서, 경비절감 차원에서 직접 세무신고를 시도하는 경우도 있으며, 비슷한 세무업무를 하더라도 세무대행업체간의 회계수수료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선뜻 회계사를 정하고 서비스를 의뢰하기가 부담스럽게 느끼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뉴질랜드 서비스업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계수수료의 고지기준 역시 ‘시간당수수료 X 소요시간’이다. 일반적으로 시간당 수수료가 높을수록, 소요시간이 길수록 전체적인 수수료가 높아진다.

그렇지만, 시간당 수수료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전체적인 수수료가 높다고 볼 수는 없고, 시간당 수수료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고지수수료가 낮다고 볼 수는 없다. 즉, 회계사의 세무업무 효율이 수수료고지 수준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수수료 고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요시간’의 장단은 회계사의 세무업무효율 이외에도 고객에 의해 결정 되어지기도 한다. 고객이 많은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세무신고 기초자료가 부실하여 회계사가 고객과 자주 연락을 해야만 하는 경우, 혹은 회계사와의 업무협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필요하게 신고업무가 지연되는 경우 등의 이유로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면, 회계사로써는 추가 소비 시간에 대한 수수료 고지를 하게 된다.

그렇지만, 영세업체의 세무를 담당하는 많은 세무대행업체에서는 고객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요시간업무일지 작성 자체를 하지 않고, 사업주의 세무업무 분담으로 회계사의 제공서비스를 제한함으로써 기본적인 특정세금신고에 대한 수수료 혹은 연 수수료를 결정하기도 한다. 물론, 간단한 전화문의 이외에 추가업무가 발생한다거나 업무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세무업무가 지연되어 추가 수수료가 고지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고객 스스로가 회계수수료를 어느정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메리트라고 볼 수 있다.

세무대행업체의 도움없이 세무신고의무를 다하면서 사업을 운영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또한, 회계사가 사업주가 느끼지 못하는 비정상적인 상거래에 대한 조언을 해 줄 수는 부분도 무시할 수 없다. 고객의 금전적손실에 대해 거슬러 올라가면 이런 손실에 대한 발단이 된 사건은 비정상적인 상거래와 관련이 있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적어도 회계/상담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이런 필수불가결한 서비스의 접근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판단된다.

▶상기의 연재글은 일반적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무에 대해서는 의뢰하는 세무/회계사의 조언을 받아 진행하기를 권장합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족수당 - 가족소득 외

댓글 0 | 조회 3,064 | 2014.11.25
이번호에는 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s 정산시 기준소득이 되는 가족소득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한다. 대부분 가정의 가족소득은 ‘부… 더보기

Paid Parental Leave

댓글 0 | 조회 3,058 | 2010.11.09
이번호에는 working mum이 출산시 정부로부터 받을수 있는 Paid Parental Leave(이하 PP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고용계약서에 명시되… 더보기

고용업무의 이해 - 2. 고용 및 독립계약

댓글 0 | 조회 3,043 | 2008.08.14
지난 호에는 직원고용(Employment)시 추가고용 부담에 대해 연재하였다. 이번 호에는 사업장에서 있을 수 있는 고용(Employment), 독립적 계약('I… 더보기

키위세이버(Ⅰ)

댓글 1 | 조회 3,041 | 2012.05.22
키위세이버는 지난 노동당집권시에 시작된 노후대책마련 연금정책으로 상당한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정책시작 초반부터 많은 호응을 받은 정책이었다. 국민당 집권 직후부터 … 더보기

[334] 조기(早期) 개인종합소득세 신고의 이점(利點)

댓글 0 | 조회 3,040 | 2006.06.12
회계사무소를 의뢰하지 않는 자가신고자의 경우 각종 소득세(법인, 파트너쉽, 개인종합소득세신고 등) 신고기한은 7월7일까지이다. 반면 회계사무소에 의뢰할 경우에는 … 더보기

현재 회계수수료

댓글 0 | 조회 3,031 | 2011.09.14
일반적으로 사업체의 구매계약에 서명하고 난 후에 회계사에게 IRD사업자등록을 요청하면서 사업체 회계업무를 의뢰한다. 하지만, 사업상 바쁘다는 혹은 기타의 이유로 … 더보기

세법상 거주자

댓글 0 | 조회 3,023 | 2014.09.23
이번호에는 뉴질랜드 세법상 거주자 (Tax Residen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여기서 Resident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영주권자를 뜻하지 않는다. … 더보기

Tax Working Group – (Ⅵ)

댓글 0 | 조회 3,010 | 2009.12.09
이번호에는 지난 10월 9일에 있었던 TWG 4번째 미팅에서 논의된 내용 중의 일부를 소개하도록 하겠다.IRD와 재무부의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뉴질랜드의 개인최… 더보기

[332] 학자금 대출이자 면제 및 복리후생세(FBT) 개정내용

댓글 0 | 조회 3,010 | 2006.05.09
이번호에는 2006년 4월 1일자로 시행되는 학자금 대출이자 면제 및 복리후생세 (FBT) 개정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학자금 대출이자 면제 ********… 더보기

GST율 인상

댓글 0 | 조회 2,994 | 2010.07.28
이번호에는 오는 10월 1일에 있을 GST율 인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금 이른감은 있지만, 이번호에 소비자차원에서 개략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사업자입장에… 더보기

ESCT(Employer’s Superannuation Contribution T…

댓글 0 | 조회 2,986 | 2012.04.12
지난 3월31일까지는 고용주가 키위세이버 가입자에게 지원하였던 KiwiSaver Employer Contribution 중 세전급여의 2%까지는 세금없이 직원의 … 더보기

회사차량 GST환급 및 FBT

댓글 0 | 조회 2,974 | 2019.11.27
사업주에게 오해의 소지가 많은 세법규정 중의 하나는 차량에 대한 내용들이다. 규정대로 알고 있는 사업주도 많지만, 지인으로부터의 정보에 선택적으로 의지하여 잘못 … 더보기

세금할부납부 & 우편발송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2,966 | 2012.05.08
소득세 및 부가세 할부납부 요청 지난 4월 10일은 회계사의뢰 납세자의 2011세무년도 최종소득세 납부기한이었고, 지난 5월 7일은 GST신고 납부기한이었다. 세… 더보기

Approved Issuers Levy

댓글 0 | 조회 2,953 | 2010.05.12
이번호에는 세법상 비거주자와 관련이 있는 Approved Issuers Levy (이하 'AI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뉴질랜드와 한국은 조세협약이 체결… 더보기

세금 할부 납부 신청

댓글 0 | 조회 2,952 | 2011.04.13
세무/회계사를 통해서 소득세신고를 한 납세자의 2010년 최종소득세 납세기한이 지난 4월 7일이었다(자진신고자의 납세기한은 2월 7일임). GST 및 2011차 … 더보기

Tax Working Group – (III)

댓글 0 | 조회 2,948 | 2009.10.27
지난 9월 16일에 3차 Tax Working Group 미팅이 있었다. 이 미팅에서는 Capital Gains Tax (이하 'CGT')와 세수를 증가시킬 수 … 더보기

고용주의 키위세이버 업무

댓글 0 | 조회 2,940 | 2017.05.24
고용주로부터 받는 가장 많은 질의중의 하나는 키위세이버 관련업무 이다.이번호에는 이제 막 고용을 시작한 고용주 그리고 키위세이버가입자를 처음 고용하는 고용주에게 … 더보기

키위세이버 혜택 - First Home Withdrawal

댓글 0 | 조회 2,924 | 2015.05.26
이번호에는 키위세이버가입자의 혜택 중의 하나인 First-home Withdrawa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지난 2015년4월1일부터 키위세이버를 3년이상… 더보기

[366] 부동산개발업자 & 신축업자(CB8&CB9)

댓글 0 | 조회 2,921 | 2007.10.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는 부동산관련 소득세 법 중 부동산개발 및 신축업자 관련조항인 CB 8과 CB 9의 "10년 Rule"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다. … 더보기

2021 중간예납 & Covid-19

댓글 0 | 조회 2,917 | 2020.05.12
이번호에는 2021년도 소득세 중간예납과 Covid19 관련한 세제변화에 대해 일부 소개하고지 한다.2021 소득세중간예납예전에는 소득세신고시 최종납부세액이 $2… 더보기

[337] ACC Levy (ACC 보험료)

댓글 0 | 조회 2,911 | 2006.07.25
뉴질랜드에서는 사고로 다쳤을 경우 ACC에서 의료비 및 재활경비를 부담하며, 상해 입은 자의 소득 정도에 따라 소득손실액을 보상한다.매년 이렇게 ACC에서 약 $… 더보기

국민당(National)정부의 세금정책

댓글 0 | 조회 2,907 | 2008.11.26
지난 11월 8일 선거의 결과에 따라 국민당이 소수정당(Act, 마오리, United Future)과의 연합정부를 구성 함으로써, 불가피하게 기존 노동당(Labo… 더보기

홈스테이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2,897 | 2011.08.10
이번 호에는 홈스테이 소득에 대한 신고의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홈스테이 소득의 계산 방법으로는 표준경비를 공제하는 방법과 실경비를 계산하여 경비를 차감하는 … 더보기

부동산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

댓글 0 | 조회 2,892 | 2014.04.23
“뉴질랜드에서는 부동산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양도소득세)가 없다”라는 얘기를 종종 듣는다.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자본소득… 더보기

KiwiSaver Mortgage Diversion 개요

댓글 0 | 조회 2,886 | 2008.10.14
KiwiSaver Mortgage Diversion는 키위세이버를 1년 이상 가입한 가입자가 본인이 불입하는 키위세이버 불입액의 50%까지 가족거주 주택의 대출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