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조작은 사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승부조작은 사기?

0 개 2,225 이동온
또 한번 월드컵 시즌이 돌아왔다.  뉴질랜드에서 월드컵이라 하면 럭비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등과 혼동할 수 있으니 축구 월드컵이라 표기해야 하지만, 교민을 비롯한 한국인들에게 월드컵은 축구 월드컵이지 않은가.  비록 뉴질랜드가 참가하지 못 하였고 공중파 방송에서 많은 경기를 중계해주지 않아도 즐거운 축제 분위기는 여전한 것 같다.

주요 스포츠 경기에는 오심 논란과 함께 단골로 등장하는 논란거리가 있는데, 바로 승부조작이다.  승부조작이란 스포츠 경기에서 사전에 경기의 방향 또는 결과를 미리 결정한 후, 이를 시행하여 경기를 조작하는 행위를 뜻한다.  승부조작은 스포츠 경기 결과를 놓고 하는 도박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선수나 코치진 또는 심판을 매수하는 행위가 이뤄지기도 한다.  도박과 관련 없이 소속팀의 향후 일정 및 대진 이라던지 또는 리그에서의 혜택 등을 위하여 경기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율 하는 것 역시 승부조작의 일부분일 것이다.

월드컵도 승부조작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데,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예로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의 아르헨티나와 페루의 경기와,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 있었던 오스트리아와 서독의 경기가 있다.  1978년 월드컵에서는 2 라운드 역시 1 라운드처럼 조별리그로 진행되었는데, 당시 개최국인 아르헨티나는 브라질, 페루, 폴란드와 함께 B조에 속해있었고 마지막 경기인 브라질 폴란드 경기와 아르헨티나 페루 경기의 결과에 따라 아르헨티나 또는 브라질이 결승에 진출 할 수 있었다.  아르헨티나는 자국 경기의 일정을 늦춰 브라질과 폴란드의 경기가 끝난 후에 자국 경기를 진행 하였고, 따라서 페루와의 경기에서 4골 차이로 이겨야만 결승에 진출 할 수 있음을 알고 경기를 시작하였다.  이 경기에서 공격력이 빈약하던 아르헨티나가 수비가 좋았던 페루를 6대0으로 이기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당시 남미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아르헨티나와 페루가 담합한 결과라 회자되고 있다.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도 승부조작의 논란이 있었는데,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경기는 4년전 아르헨티나와 페루의 경기보다도 더 노골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우연인지 이번에도 조별리그 B조가 연루되었는데, 알제리, 오스트리아, 칠레, 서독이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마지막 경기인 오스트리아와 서독의 경기 결과에 따라, 3패를 기록한 칠레를 제외한 나머지 세 팀 중 두 팀이 12강에 진출할 수 있었는데, 서독이 오스트리아를 2골 이상의 차이로 이기면 서독과 알제리가 12강에 진출하고, 오스트리아가 서독을 이기거나 비기게 되면 오스트리아와 알제리가, 그리고 서독이 오스트리아를 1점차로 이기게 되면 오스트리아와 서독이 진출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이 경기에서 서독은 전반 10분에 선제골을 득점하였고, 그 때부터 두 나라는 남은 80여분동안 고의적인 공 돌리기에 전념하게 된다.  결과는 서독의 1대0 승리로 오스트리아와 서독이 12강에 진출하게 된다.  이 경기에 광분한 한 독일 팬은 자국 국기를 불사르기도 했고, 독일 방송 해설가는 후반전 중계거부를, 오스트리아 방송 해설가는 시청자에게 텔레비전을 끌 것을 권고 하였다고 한다.  연속된 두 월드컵에서 있었던 승부조작 논란 덕분인지 이후 월드컵에서는 각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를 동시에 진행하는 규정이 도입되었고, 이러한 규정은 이번 월드컵까지 계속되어오고 있다고 한다.

축구는 뉴질랜드에서 큰 인기가 없으니 승부조작의 여지가 현저히 낮겠지만, 인기 종목인 크리켓에서는 승부조작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뉴질랜드 자국리그보다는 해외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뉴질랜드인 선수가 승부조작에 연루되거나, 국가 대항전에 승부조작 의혹이 제기되는 식이다.  최근에도 두 명 이상의 뉴질랜드 출신 선수가 승부조작과 관련하여 크리켓협회의 조사를 받았고, 그 중 한 명은 3년간 선수자격을 박탈당하게 된다.  이번 논란은 뉴질랜드 스포츠계에도 충격이었던지 스포츠장관은(한국으로 비교하면 문화체육부장관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지난 5월 형법(Crimes Act 1961)의 개정 계획을 발표하게 된다.

예고된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에 있던 형법 240조의 사기행위의 적용범위를 넓혀서 스포츠 경기에도 적용될 예정인데, 사람이 참여하는 스포츠 경기와 경견(競犬 dog racing)의 내기 결과에 영향을 끼칠 목적으로 해당 경기의 결과를 조작하는 행위가 사기의 범위 안에 포함되게 된다.  다만 순수하게 해당 스포츠 경기의 전략적인 목적, 즉 예를 들어 대진편성이나 팀 또는 리그의 운용을 위해 전략적으로 경기 운영을 조율하는 행위는 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참고로 형법 240조에 해당하는 사기행위는 최고 7년 이하의 징역으로 처벌이 가능하다.

Mortgagee Sale (Ⅰ)

댓글 0 | 조회 2,466 | 2009.02.11
경제가 어려워 지면서 Mortgagee Sale이 부쩍이나 많아졌다.워낙 신문이나 텔레비젼 등 미디아에서 자주 언급이 되다 보니 다들 Mortgagee Sale이… 더보기

Provocation – 도발(挑發)의 항변

댓글 0 | 조회 2,458 | 2009.09.22
요근래 뉴질랜드 법조계에 새로운 화두가 제시되었다. 올해 들어 연이은 살인사건의 재판에 provocation(이하 '도발'이라 지칭한다)의 항변이 사용되었는데, … 더보기

Restraint of Trade (I) - 거래 제한

댓글 0 | 조회 2,453 | 2015.02.11
가게를 샀는데 얼마 후 전 주인이 바로 옆에 비슷한 가게를 차렸다. 전 주인은 잘못한 것일까? 예를 들어보자. 퀸 스트리트에서 치킨집을 하던 사람이 권리금을 받고… 더보기

거래 제한 - Restraint of Trade (Ⅱ)

댓글 0 | 조회 2,441 | 2015.02.24
거래의 제한은 비즈니스 매매시 구매자가 매도인에게 요구하는 것 외에도 고용관계에서도 빈번히 사용된다. 만약 한 기업의 차세대 핵심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소의 주요 … 더보기

[365] Personal Property Securities Register

댓글 0 | 조회 2,426 | 2007.09.26
Personal Property Securities Register (PPSR)이란- Personal Property Securities Act (PPSA)에 의… 더보기

사색(Ⅳ)-she’ll be alright

댓글 0 | 조회 2,419 | 2013.12.24
로펌은 매년 바쁜 시기가 두 번 돌아온다. 3월과 12월인데, 대다수 법인의 회계년도가 3월 말에 끝나기에 회계년도가 끝나기 전에 마무리 지어야할 급한 업무가 몰… 더보기

Family Trust

댓글 0 | 조회 2,418 | 2009.02.11
이 번호에서는 트러스트와 관련하여 증여 및 유언장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해 보겠다.<증 여>트러스트 설립 후 개인의 자산을 트러스트에 이전시킬 때에는 증… 더보기

[372] 정관 그리고 주주 협정서(Ⅰ)

댓글 0 | 조회 2,415 | 2008.01.15
비지니스를 운영 할 때 회사(법인)를 설립하여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유한 책임 (limited liability)… 더보기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비밀

댓글 0 | 조회 2,402 | 2011.11.10
변호사가 지켜야 할 근본적인 덕목과 윤리 중 수위를 다투는 항목이 의뢰인에 대한 비밀 엄수이다. 모든 변호사는 의뢰인과 변호사의 관계 안에서 알게 된 의뢰인의 모… 더보기

Family Trust의 개요 (Ⅱ)

댓글 0 | 조회 2,372 | 2009.02.11
불문법(common law등의)방식을 따르는 영연방 국가의 법제 아래서는 트러스트는 equity라는 형평법으로 보호받기에 등기상 소유주가 관리자로 되어 있어도 관… 더보기

[377] 지급불능/파산법 (Insolvency Act) -Ⅱ

댓글 0 | 조회 2,339 | 2008.03.26
지난 호에서 설명한 No Asset Procedure (NAP)가 해당이 안 된다면 채무자는 파산 신청을 하기 전에 Summary Instalment Order를… 더보기

Renewal of Lease (리즈의 연장)

댓글 0 | 조회 2,338 | 2009.02.10
렌트비의 조정과 마찬가지로 Lease의 연장권한과 연장기간 역시 애초 lease계약을 할 때 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리즈기간(term)이 6년이고 rights … 더보기

[358] Estates in Land - 2. Cross Lease

댓글 0 | 조회 2,312 | 2007.06.13
1950년대까지 뉴질랜드에서 집을 소유하려면 단독으로 분할된 사각 형태의 땅 위에 지어진 건물을 사는 방법 밖에 없었다. 1/4~1/5 에이 커로 분할 되어있는 … 더보기

‘페북’으로 법정서류를 받았다고?

댓글 0 | 조회 2,296 | 2014.02.26
대부분의 상거래 관련 계약서들에는 공통적으로 통지에 관한 조항이 들어가게 된다. 계약에 따른 어떠한 사항을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방법과 통지의 시점 등을 명시하게 … 더보기

[361] Ownership-공동소유

댓글 0 | 조회 2,289 | 2007.07.24
두명이상이 부동산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토지/부동산을 구입할 때 보통 공동 명의로 소유하는 경우가 많다. 부부가 공동으로 집을 소유하는… 더보기

[382] Family Trust (Ⅰ)

댓글 0 | 조회 2,289 | 2008.06.10
중장년층의 현지인들은 대부분 유언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집을 소유하고 있는 많은 가정은 family trust를 설립한다. 뉴질랜드에서 살면서 트러스트란 단어… 더보기

보증(Ⅰ)

댓글 0 | 조회 2,278 | 2012.04.12
보증을 잘못 서서 집이 넘어갔다, 빚더미에 앉았다 또는 망했다더라… 이런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 얘기다. 한국에서 청장년기를 보내고 이민…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61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364] Tenancy Tribunal

댓글 0 | 조회 2,260 | 2007.09.11
뉴질랜드에서의 주거형태에는 Rent가 상당히 많다. 한국에서의 월세처럼 다른 사람의 집을 임차하는 것을 Rent/Tenancy라 하는데 특이한 점은 임차료가 월 … 더보기

[379] Overseas Investment Act 2005 (해외투자법)

댓글 0 | 조회 2,245 | 2008.04.23
필자의 견해로는 뉴질랜드는 국민정서상 해외 자본에 대해 거부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 텔레콤을 비롯한 사회 기반 시설들의 상당수가 이미 다른 나라 국적의 회사들 소… 더보기

[367] Limited Driver's Licence (제한 면허)

댓글 0 | 조회 2,230 | 2007.10.24
뉴질랜드의 일반 자동차 면허 체계는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가지 면허 종류를 한글로 번역할 때 보편적으로: ⊙학습면허 (Learner Licenc… 더보기

현재 승부조작은 사기?

댓글 0 | 조회 2,226 | 2014.06.24
또 한번 월드컵 시즌이 돌아왔다. 뉴질랜드에서 월드컵이라 하면 럭비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등과 혼동할 수 있으니 축구 월드컵이라 표기해야 하지만, 교민을 비롯한 … 더보기

[384] Family Trust (Ⅲ)

댓글 0 | 조회 2,213 | 2008.07.08
정부 보조금의 극대화 뉴질랜드 정부에서 나오는 여러 보조금과 혜택들은 수혜자의 자산과 소득을 비교해 수혜 가능 여부와 금액이 달라지는데 이를 영어로 means t… 더보기

[373] 정관 그리고 주주 협정서(Ⅱ)

댓글 0 | 조회 2,211 | 2008.01.31
저번호에서 언급했듯이 회사 정관이 없다면 회사의 운영은 회사법(The Companies Act 1993)의 여러 조항들에 의해 통제 받게 된다. 이번 호에서는 회… 더보기

Land Information Memorandum(LIM)

댓글 0 | 조회 2,210 | 2012.05.08
얼마전 모 방송사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는 특별한 사전 조사 없이 집을 구입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사람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직접 시청한 방송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