홇배 이셔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홇배 이셔도

0 개 3,064 이동온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저 홇배 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홇 하니라
내 이랄 윙하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듧자랄 맹가노니 
사람마다 해여 수비니겨 날로 쑤메 뼌한키 하고져 할 따라미니라”
 
독자 분들 중, 위의 구절을 읽고 이해하시는 분은 몇 분이나 될까?  위는 훈민정음의 서문이다.  막상 읽으려니 어떻게 읽어야 할지도 모르겠고, 무슨 의미인지도 감이 안 온다.  현대 한국어로 변화해보면 아래와 같이 읽을 수 있다고 한다.
 
“나랏말(쓰임)이 중국과 달라 문자로 서로 맞지 아니하여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글자에) 실어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 쉬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우리가 지금 한글이라 부르는 훈민정음의 문자체계는 다들 알다시피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정립하였는데, 5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금은 쓰이지 않는 아래아와 여린히읗, 된이응을 포함하여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이민 오신지 오래된 교민들 중에는 글을 쓸 때 ‘습니다’를 ‘읍니다’로 적는 분들이 적지 않다. 이는 표준어 맞춤법이 1988년 개정 되었기 때문인데, 1988년 전에 의무교육을 마치신 분들은 아직도 ‘읍니다’를 표준어로 알고 쓰시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불과 2년 전만 하여도 우리는 중국집으로 자장면을 먹으러 갔지, 짜장면은 찾아볼 수가 없었지만, 2011년 표준어 개정 이후 짜장면과 자장면이 모두 표준어로 인정되었다고 한다.
 
영어는 한글보다 오랜 시간 사용되어 오며, 마찬가지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는데, 법률 문서를 보면 아직까지 고어가 종종 사용 된다. 
 
셰익스피어 문집에서나 볼법한 ‘witnesseth’, ‘doth’ 등의 고어는 웬만한 deed 형식의 문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deed 형식의 계약서는 먼저 계약을 체결 하기까지의 배경을 설명한 후, 도입부에서 ‘now in consideration of the premises this deed witnesseth as follows’라는 문장을 시작으로 계약 내용을 서술 하게 된다. 이를 현대 영어로 기술하면 ‘in acknowledgement of payment and receipt of the consideration as described in the recital, the parties agree’ 또는 간단하게 ‘the parties agree’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즉, ‘계약 당사자들이 (이렇게) 동의한다’라는 계약 본문의 도입부 역할을 한다.

비슷한 예로, deed 형식의 문서는 서명을 날인 하기 전, 문서의 말미에 ‘in witness whereof these presents have been executed the day and year first hereinbefore written’ 등의 구절로 문서를 끝맺게 되는데,‘in witness whereof’란 구절은 ‘in cujus rei testimonium’라는 라틴어에서 전래한 구절로, 이를 한글로 표현 하면 ‘이상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 문서의 제일 처음에 적힌 날짜에 서명함’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외에도 aforesaid, aforementioned, foregoing, forthwith, herein, hereinafter, hereto, hereby, heretofore, herewith, hitherto, whereas, whereby, wherefore 등 현대 영문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 법률 문서에는 아직도 흔히 사용된다.
 
몇 해 전, 부동산 매매계약서를 plain English, 즉 법률 용어가 아닌 쉬운 일반 영문체로 작성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부동산 중개인 협회의 지지를 받아, 쉬운 영어로 작성된 매매 계약서가 도입 되었지만, 판례의 부족, 단어와 절차의 불확실성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중화되는 데는 실패한 전철이 있다.  법률 용어 역시 언어의 변화에 발 맞추어 조금씩 진화 하겠지만, 아직까지는 현대 영어와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한 부분에 아쉬울 따름이다.
 

사색(Ⅱ)-우리나라

댓글 0 | 조회 1,756 | 2012.06.13
필자에게 한국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는 단어 중에 하나다. 이 칼럼에서도 뉴질랜드와 대한민국을 비교할 때면 서슴지 않고 대한민국을 한국이라고 말하곤 한다. 한국에서…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64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지금, 은행 융자를 갚지 못하여 강매되는 부동산의 숫자는 여전히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57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자들은 꼭 내 친구 여자친구이거나 우리 형 애인, 형 친구 애인 아니면 꼭 동성동본’ 요즘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09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898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urt)은 법원의 권위를 침해하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법원이 내리는 명령을 뜻한다. 영미법에서는 법원이 그 권위를 유지하…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598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고객께서는 자녀를 대동하고 나오셨다. 이런 저런 대화를 하며 식사를 하는 도중, 자녀분이 고객께 “아저씨는 왜 …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61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07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떠오를 때가 있다. 소위 말하는 대박이란 걸 칠 것 같은 아이템이 떠오르면 다른 사람이 비슷한 아이템을 내놓을까 싶어 재…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18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상대방이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이다. 법 … 더보기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00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있다. 아직 증명되지 않은 학설에 의하면 삼만삼천년 경 전에도 개는 이미 가축화 되어 있었다고 하니, 개는 아마도 인간의 가… 더보기

공동 소유 계약서 ( Co-ownership Agreement )

댓글 0 | 조회 4,021 | 2012.11.13
집이란 인간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세가지 중 한가지이고, 그 중 가장 물질적 가치가 높은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소유하게 되는 재산 중 가… 더보기

홍길동, Gil-Dong Hong, Geoff Hong

댓글 0 | 조회 1,550 | 2012.11.27
다문화 국가를 표방하는 뉴질랜드에는 많은 국가에서 이주해온 이민자들이 생활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는 세가지, 영어, 마오리어, 그리고 수화 (sign l… 더보기

‘갑’ 이 ‘을’ 보다 항상 유리하다고...?

댓글 0 | 조회 1,571 | 2012.12.11
이번호에서는 계약법과 관련하여 다소 전문적인 원칙에 관해 설명해볼까 한다. 불문법을 기반으로한 영미법에는 contra proferentem 이라는 원칙이 있다. … 더보기

2012년 마지막 사색 - 철새 방지법

댓글 0 | 조회 1,067 | 2012.12.24
선거철이다. 뉴질랜드가 아니고, 대한민국 선거철이다. 어느 선거이든지, 한 표를 행사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이 사람 또는 이 방안을 선택 했을 때… 더보기

품질보증

댓글 0 | 조회 1,346 | 2013.01.16
얼마 전 해외에서 쇼핑을 하다가 전기 면도기를 하나 구입해 볼까 하고 고민을 한 적이 있다. 여기저기 각 매장을 둘러 보다가 맘에 드는 제품을 발견한 후, 꼼꼼히… 더보기

분양 계약

댓글 0 | 조회 1,936 | 2013.01.31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혹자는 환율 때문이라고도 하고, 어떤 사람은 해외 이민자가 늘어나는 징조라고도 하며, 해외 체류 중이던 뉴질랜드 사람… 더보기

분양 계약(Ⅱ)

댓글 0 | 조회 1,653 | 2013.02.13
분양되는 유닛이나 건물을 구매할 때는 계약서를 작성할 당시에 settlement date라 불리는 잔금 날짜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Settlem… 더보기

비밀 엄수 - Confidentiality Agreement

댓글 0 | 조회 2,086 | 2013.02.27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가 있다.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대박’ 아이템을 발견하고서 자금이 없어서, 아니면 혼자서는 초기 아이디어를 더 … 더보기

Incorporated Society - 사단법인

댓글 0 | 조회 1,959 | 2013.03.12
교민 사회를 보면 여러 단체들이 존재한다. 단체명이 ‘협회’ 또는 ‘회’로 끝나는 대다수의 단체들은 incorporat… 더보기

‘동물후생법’(動物厚生法)?

댓글 0 | 조회 1,331 | 2013.03.27
뉴질랜드 현지 사회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교민으로 살아가는데에는 여러 가지 고충이 있을 것이다. 그 중 필자가 이 칼럼을 통해 여러 번 언급한 어려움이 있는데, 바… 더보기

주인이 없는 재산은 어떻게 될까? (Bona Vacantia)

댓글 0 | 조회 1,585 | 2013.04.10
많은 영어 단어들이 라틴어에서 파생 되었듯이 법률 용어 역시 라틴어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 소개해드릴 ‘bona vacantia&rs… 더보기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댓글 0 | 조회 1,685 | 2013.04.24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결혼식 말미에 주례, 또는 marriage celebrant라 불리는 혼인 집전인이 신랑에게 하는 말이다. 많은분들이 이미 알… 더보기

행복추구권

댓글 0 | 조회 1,402 | 2013.05.15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 더보기

CCCFA - 해약 권한

댓글 0 | 조회 2,703 | 2013.05.29
이번 칼럼에서는 Credit Contracts and Consumer Finance Act 2003의 한 부분을 소개해볼까 한다. 너무 길어서 보통 CCCFA로 … 더보기

현재 홇배 이셔도

댓글 0 | 조회 3,065 | 2013.06.12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저 홇배 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홇 하니라 내 이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