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不整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부정맥(不整脈)

0 개 1,745 박명윤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벤처기업(venture business) 창업이 활성화되고, 민간에서 주도하는 창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생전에 강조해 온 이민화(李珉和)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이 지난 8월 부정맥(不整脈)으로 인한 심장마비(心臟痲痺)로 향년 6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장례는 우리나라 최초의 ‘벤처기업인장’ 으로 진행됐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823e8b99da41fa39ead649ac2b6f650b_1567826256_1398.jpg
 

이민화 교수(KAIST 초빙교수)는 필자와 동향인 大邱에서 1953년 12월 8일에 출생하였다. 서울대학교 공대 전자공학과 졸업 후 KAIST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를 1978년에, 그리고 박사학위를 1986년에 취득했다. 고인은 마지막까지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서 후학들을 지도했다.  

 

고인은 기술집약형 중소기업(中小企業)인 ‘벤처기업’ 이란 말 자체가 생소하던 지난 1985년 ‘대한민국 1호’ 벤처기업인 초음파(超音波) 진단기 제조업체 메디슨(現 삼성메디슨)을 창업하고 ‘벤처기업협회’를 창립했다. 1985년부터 2001년까지 메디슨 대표이사, 그리고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벤처기업협회 초대회장을 역임하면서 실력과 리더십을 기반으로 벤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온몸을 바쳤다. 

 

이민화 교수는 공동체ㆍ지역ㆍ국가와 미래를 고민하면서 당시 벤처 기업이 융자받기도 어려운 환경에서 1996년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설립과 1997년 ‘벤처기업특별법’ 제정을 주도하며 벤처 생태계의 토양을 단단히 했다. 코스닥 지수(KOSDAQ Index)는 코스닥 시장 전체의 주가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투자분석지표이다. 

 

미국의 주식시장 중 하나인 나스닥(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은 1971년 2월에 창립되어 미국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었다. ‘나스닥’의 성공으로 말미암아 세계 각국에서도 나스닥과 유사한 벤처기업 위주의 주식시장을 만들게 되어 우리나라는 ‘코스닥’, 일본에서는 ‘자스닥’ 등이 창립되었다. 

 

미래를 내다보는 어젠다(agenda, 議題)를 끊임없이 던지면서 우리가 가야할 길을 찾도록 했던 이민화 교수는 별세하기 전날에도 카이스트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강의를 했다고 한다. 그는 4차 산업혁명 관련 포럼 및 세미나를 열고, 저서를 출간했다. 이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해선 기업가들의 혁신 정신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규제 개혁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으며, 최근 2년간 ‘데이터 쇄국주의 타파를 위한 서명운동’을 직접 펼치기도 했다.  

 

고인은 지난 7월 24일자 ‘서울경제’에 기고한 ‘아베(安倍晋三)의 의도를 보라’ 라는 칼럼에서 “한국의 숱한 대ㆍ중소기업 사장은 일본에서 사업을 배우고 기술을 도입해 산업을 성장시켰다”면서 “극일(克日)이란 경제적으로 일본을 앞서는 것” 이라며 일본에 대한 감정적 대응보다 ‘극일’을 강조했다. 

 

故 이민화 교수의 경우처럼 어느날 갑자기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부정맥(Arrhythmia)이란 심장박동이 정상 리듬에서 벗어나는 질환을 말한다. 심장 박동(心臟搏動, heart beat)은 동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일어난다. 안정 시 심장박동 수는 분당(分當) 60회에서 100회 정도이다. 부정맥은 1분당 박동수가 60 이하로 느려지는 서맥(徐脈)성 부정맥, 1분당 박동수가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빈맥(頻脈)성 부정맥, 그리고 심장박동이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때보다 더 빨리 나오는 조기 박동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심장(心臟)은 자기 주먹 정도의 크기이며, 좌우에 두 개의 심방(心房)과 심실(心室)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규칙적으로 펌프작용을 해서 전신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다.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심장은 전기 신호에 의해 움직인다. 심장박동(搏動)은 우(右)심방의 근육 속에 있는 동방결절(洞房結節)에서 형성된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일어난다.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발생해야 한다. 심장(心臟) 내에는 자발적으로 규칙적인 전기를 발생시키고 심장 전체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전달체계가 있다. 이런 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 등에 의해 초래되는 불규칙한 심박동(心博動)을 부정맥이라 한다. 부정맥은 발생기전에 따라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및 혼합형의 장애로 구분되며, 발생부위에 따라 심실상(上)성 부정맥과 심실성 부정맥으로 구분된다.  

 

부정맥이 흔하다고 해서 쉽게 생각하면 안 되는 이유는 부정맥은 가벼운 두근거림 같은 경미한 증상부터 현기증이나 실신, 심한 경우에는 바로 심장마비(心臟痲痺)나 급사(急死)로 이어지기도 한다. 부정맥은 갑자기 생겼다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는 허혈성 심질환(虛血性心疾患)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기에 수반되는 부정맥도 늘어나고 있다. 

 

부정맥은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 환경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한다. 즉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질환, 유전적 질환, 약물 등이 있다. 또한 스트레스, 카페인, 음주, 흡연, 부족한 수면 등도 전기 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친다. 

 

부정맥 증상은 환자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이상에 따라 차이가 많다. 어떤 사람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부정맥이 심하게 나타나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심정지가 발생할 경우 급사(急死)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 두근거림 

▲ 맥이 빠짐 

▲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 가슴통증, 흉부 불쾌감 

▲ 호흡곤란 등이다. 

 

‘서맥성(徐脈性) 부정맥’의 경우 힘이 빠지고, 거동 시 호흡곤란이 악화되며,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나면서 실신으로 이어진다. ‘빈맥성(頻脈性) 부정맥’은 심장이 빠르게 두근거리며, 두근거림과 함께 가슴에 답답함이 나타난다. 호흡곤란이나 흉통(가슴 통증)이 나타난다. ‘조기 박동’인 경우에는 심장이 울컥거리는 느낌이 나타난다.  

 

부정맥은 종류에 따라 부정맥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발작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났다가 1시간 이내에 사라지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병원에서 부정맥을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심전도(心電圖ㆍEKG) 검사만으로 진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특수검사를 필요로 한다. 즉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Holter monitoring), 심장전기생리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등을 실시한다.  

 

부정맥은 질환의 심각성에 비해 증상이 경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 치료는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호흡기질환, 스트레스 등이 부정맥의 원인이라면 먼저 원인 질환을 치료 및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정맥 증상이 나타나면 생명이 위험한가, 합병증(合倂症)이나 관련 증상을 유발하는가 등을 따져 전문의가 치료 방향을 결정한다. 

 

부정맥은 종류별로 정확한 진단에 따른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부정맥의 치료방법에는 항부정맥제(부정맥의 발생을 막는 역할을 하는 약물), 인공심박조율기(심장의 내부에 규칙적인 전기리듬을 발생시키는 심박 조율기(Pacemaker)를 심어서 치료), 전기적 심율동전환(심장부위의 체표면에 위치한 전극판을 통해 전기 쇼크를 가하는 방법), 도자절제술, 수술 등이 있다. 

 

도자절제술은 전극도자를 심장에 삽입하여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심장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기충격이나 고주파를 방출하여 조직을 절단하거나 파괴한다. 수술은 항부정맥제, 인공심박조율기, 도자절제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약물치료를 잘 견뎌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주로 시행한다. 즉 수술을 통해 외과적으로 부정맥의 원인부위를 제거한다.  

 

부정맥은 고혈압(高血壓), 관상동맥질환(冠狀動脈疾患)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방(脂肪)이 많은 육류, 튀긴 음식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커피, 술, 담배 등은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제해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은 부정맥 예방에 도움이 되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有酸素)운동이 좋으며, 요가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체조(體操)도 좋다. 그러나 무거운 역기 들기 등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므로 피하여야 한다. 

 

대한심장학회(Korean Society of Cardiology)는 부정맥에 대한 인식이 낮아 진단받지 않고 지내는 사람들을 감안하면 국내에 약 100만명의 잠재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소 심장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치명적인 부정맥은 대부분 심근경색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동맥경화(動脈硬化)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코피 아난 UN사무총장

댓글 0 | 조회 1,413 | 2018.09.22
아프리카계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사무총장(제7대, 재임 1997-2006)을 역임한 코피 아난(Kofi Atta Annan)이 지난 8월 18일 향년 80세를… 더보기

인생을 마무리하는 지혜

댓글 0 | 조회 1,481 | 2018.10.06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470?-399 B.C.)는 죽음을 준비하며, “삶에서 멀어질수록 진리(眞理)에 가까워진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더보기

쌀밥과 밥심

댓글 0 | 조회 1,300 | 2018.10.20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에는 쌀이 귀하여 명절, 제사, 생일 등 특별한 날에만 ‘쌀밥’을 먹을 수 있었다. 심지어 60년대에도 이른바 ‘보릿고개’, 즉 농촌에서 … 더보기

감기, 독감, 비염

댓글 0 | 조회 1,902 | 2018.11.10
독감 예방접종 시기가 돌아왔기에 필자는 몇 일전에 동내 내과의원에서 무료로 맞았다.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의하여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 더보기

김치 宗主國의 김장문화

댓글 0 | 조회 1,499 | 2018.11.24
최근 우리나라 사계절은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여름은 지나치게 빨리 와서 늦게 떠난다. 한편 가을은 너무 늦게 오고, 그리고 너무 빨리 떠나 우리를 아쉽게 한다… 더보기

먹거리 안전성 문제

댓글 0 | 조회 1,820 | 2018.12.08
청와대는 지난 5월 21만6886명이 참여한 ‘GMO 완전표시제 촉구 국민청원’과 관련하여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해 개선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개… 더보기

암(癌)을 손님처럼 대접하기

댓글 0 | 조회 1,349 | 2018.12.21
<나는 삶을 고치는 암 의사입니다> 최근 발간된 이병욱 박사의 저서 제목이다. 그는 외과 의사로 15년 그리고 보완통합의학 전문의로 15년, 총 30년… 더보기

황금돼지해 기해년(己亥年)

댓글 0 | 조회 1,400 | 2019.01.12
2019년 기해년(己亥年)은 60년 만의 ‘황금돼지해’라고 한다. 동양철학 중에서 역학(易學)에서 우주 만물을 이루는 5가지 요소(Five Elements)를 오… 더보기

비만(肥滿)의 사회경제적 비용

댓글 0 | 조회 1,312 | 2019.01.26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배가 불뚝 나온 것을 ‘사장님 배’ 라고 부르면서, 비만이 부(富)의 상징이기도 했다. 朴正熙(1917-1979) … 더보기

겨울철 굴

댓글 0 | 조회 1,658 | 2019.02.18
‘바다에서 나는 우유(牛乳)’, 돌에 붙은 꽃처럼 생긴 석화(石花) 등은 모두 굴(oyster)을 비유한 말이다. 전남 진도에서는 굴을 ‘꿀’이라고 부른다. 굴맛… 더보기

행복한 슬로 라이프(Slow Life)

댓글 0 | 조회 1,511 | 2019.02.23
“바람이 불면 낙엽이 떨어진다/ 낙엽이 떨어지면 땅이 비옥해진다/ 땅이 비옥해지면 열매가 열린다/ 차근차근, 천천히...”이 시(詩)구절 같은 글귀는 지난 주말 … 더보기

조용한 살인마(殺人魔) 미세먼지

댓글 0 | 조회 1,767 | 2019.03.09
세계보건기구(WHO)는 황산염, 질산염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추가 연구결과로 미세먼지의 위험성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제… 더보기

농축산물(農畜産物) 생산 타격

댓글 0 | 조회 1,844 | 2019.03.23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세계 건강 10대 위협(Ten threats to global helath in 2019) 중 대기오염과 기후변화(Air pol… 더보기

출산율 재앙

댓글 0 | 조회 1,804 | 2019.04.06
2018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한 ‘출산율 1명 미만’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인구동향조사 출생ㆍ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 더보기

노니(Noni)와 커피(Coffee)

댓글 0 | 조회 3,170 | 2019.04.19
베트남을 관광하는 한국인이 즐겨 구입하는 품목에는 노니(Noni)와 커피(Coffee)가 있다. 필자가 지난 3월 가족여행으로 택한 베트남 관광지 방문코스에도 노… 더보기

조현병(調絃病)

댓글 0 | 조회 1,934 | 2019.05.11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해 발생한 ‘묻지마 범죄’로 인하여 조현병에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지난 4월 17일 경남 진주시 가좌동 주공아파트의 방화ㆍ살인 사건으로 … 더보기

정신질환(精神疾患)

댓글 0 | 조회 1,392 | 2019.05.25
매년 신록의 계절 4월이 지나가면 우리가 흔히 ‘계절의 여왕’이라 부르는 5월이 온다. 5월이 되면 녹음이 짙어지고 벌과 나비가 날아들어 식물의 열매를 맺기위한 … 더보기

순 채소(눈경 채소)

댓글 0 | 조회 2,099 | 2019.06.08
채소(菜蔬, vegetable)를 북한에서는 ‘남새’, 중국에서는 ‘소채’, 일본에서는 ‘야채’ 라고 한다. 채소는 주로 신선한 상태로 부식(副食) 또는 간식(間… 더보기

치매친화 사회

댓글 0 | 조회 1,739 | 2019.06.22
지난 4월 초에 이순재와 정영숙 등이 주연한 로맨스 영화 <로망>이 개봉되었다. 이창근 감독의 이 영화는 결혼 45년차인 75세 조남봉(이순재 분)과 … 더보기

기생충(寄生蟲)

댓글 0 | 조회 1,848 | 2019.07.06
50여년 전 1965년 1월 필자가 UN공무원(official of the United Nations)으로 임용되어 UNICEF(국제연합아동기금)에 근무할 당시 … 더보기

변실금(便失禁)

댓글 0 | 조회 2,339 | 2019.07.20
“나도 모르게 찔끔찔끔 변이 새나요?” 소변이 찔끔찔끔 새는 요실금(尿失禁)처럼 대변이 새는 것을 변실금(便失禁)이라 한다. 우리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 더보기

연꽃이 피는 계절

댓글 0 | 조회 1,789 | 2019.08.10
연꽃(lotus)이 피는 계절이 오면 필자는 가족과 함께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西三陵) 인근에 위치한 오리요리 전문점 <너른마당>을 찾아 연못에… 더보기

근감소증(筋減少症)

댓글 0 | 조회 1,469 | 2019.08.24
근감소증이란 나이가 들면서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근육량이 줄어들지만, 근육 감소가 정상범위를 넘으면 신체활동이 떨어져 삶의 … 더보기
Now

현재 부정맥(不整脈)

댓글 0 | 조회 1,746 | 2019.09.07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벤처기업(venture business) 창업이 활성화되고, 민간에서 주도하는 창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생전에 강조… 더보기

냉면(冷麵)

댓글 0 | 조회 1,761 | 2019.09.21
요즘처럼 무더운 여름날에 가장 먼저 생각나는 음식이 냉면이다. 얼음 조각을 띄운 육수(肉水)에 담긴 면 위에 계란 반쪽과 편육을 얹고 식초와 겨자를 넣어 후루룩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