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TV시청 습관 만들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올바른 TV시청 습관 만들기

0 개 1,948 코리아포스트
습관이 아닌 선택

가장 중요한 것은 TV 시청을 '습관'이 아닌 '선택'으로 만드는 것. 아침에 일어나서 맨처음 TV를 켜고 가족이 밥먹을 때나 얘기를 나눌 때도 TV를 보는 등 TV 시청을 습관적으로 하는 것이 바로 중독의 시초. 우선 부모스스로가 정해진 시간에 TV를 보고, 끄는 선택적인 TV 시청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아이들이 꼭 보고싶은 프로그램, 부모가 같이 봤으면 하는 프로그램 등을 상의해 아이들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지킬 수 있는 간단한 시청규칙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약속한 프로그램이 끝났을 경우엔 반드시 제손으로 끄는 연습을 시켜줘야 한다.

부모의 관심과 대화가 필수

매체와 프로그램 수준이 다양하고 아이들과 어른의 눈높이도 다르기 때문에 아이가 어떤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에 대한 프로그램을 한다는데 같이 볼까? 한번 보고 얘기해 줄래?" 하는 식으로 부모님이 좋은 프로그램을 미리 찾아보고 적절히 자극을 주도록 한다. 아이들이 아는 부분이나 관심이 있는 부분에선 딱딱한 다큐멘터리도 잘 본다. 자꾸 보면서 재미를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재미를 느끼게끔 해주는게 부모의 역할. "재미있니? 재미없니?"가 아니라 아이가 생각하며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

시간보다는 바른 시청습관

유치원생의 경우 하루 시청시간이 2시간을 넘기면 안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권고이지만 단순한 시간제한보다는 휴식이나 재미, 정보제공 등 다양한 텔레비전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찾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텔레비전 시청만의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아이가 관심있어 하는 부분에 텔레비전을 활용할 수도 있고 또한 텔레비전을 통해 알게된 지식을 책이나 다양한 전시회 등으로 확장해 볼 수도 있다. 텔레비전 시청과 독서사이의 균형을 어느정도는 강제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시각을 키워주기

정의의 이름으로 폭력을 행사해서 가치관의 혼란을 주는 경우나 상업성 등 TV의 건강하지 못한 부분을 가끔 지적해 준다. 한두번만 그런사례를 명확하게 제시하면 아이들은 흘려듣는 것 같아도 확실히 기억한다. 단, 너무 자주하면 오히려 무감각해지는 역효과를 부른다. "너도 그런적 있니?" 등 아이의 생활 습관을 물어보는 것도 좋다.

바른 자세도 중요

바른 자세란 소파나 방바닥에 앉아 허리를 꼿꼿하게 세운 자세를 말한다. TV와의 시청거리는 수상기 크기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소한 3m 이상은 떨어져서 보는 것이 좋고 조명도 어두운 곳보다는 밝은 곳에서 시청해야 한다. 또 TV 수상기는 올려다보는 것보다는 약간 아래로 내려보는 듯하게 보는 것이 목의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만화영화도 선별

현재 공중파에선 만화는 어린이시간대에 배치하는데 내용이나 소재가 천차만별이라는 점에서 어찌보면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 좋은 만화는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표현방법이 과장돼 창의력을 뺏기 쉽다. 그러므로 부모는 어떤 소재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아이들이 뭘 받아들이는지 파악해 지도해야 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81] 공부할려고 해도 다른 것만 생각이 난다

댓글 0 | 조회 1,639 | 2008.05.28
*원인 공부가 안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 몸이 안 좋거나 피곤하면 공부에 집중이 안되고 공부가 안될 수 있다. 둘째, 특별히 신경 쓰이는… 더보기

[382] 게임에 빠져있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79 | 2008.06.10
요즘 애들이 다 그러니까 하고 넘어가기에는 정도가 너무 지나칠 정도로 계임에만 빠져있고, 휴일이나 방학 때면 집에 있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인지, 잔소리를 하지 … 더보기

[383] 어른에게 버릇없이 구는 아이

댓글 0 | 조회 1,893 | 2008.06.25
예절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어릴 때부터 몸에 배여 있어야 어른이 되어서도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부모는 자녀에게 사람으로서 당연히 … 더보기

[384] 통제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1,661 | 2008.07.08
“아이가 매일 게임을 하게 해달라고 조르는데 하도록 해야 하나요? 못하게 해야 하나요?” “애가 다른 애들이랑 어울리는 걸 싫어하고 혼자 그림만 그리려고 해요. … 더보기

갑자기 바뀐 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700 | 2008.08.01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화의 시기입니다. 신체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태도와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 부적절감, 자기중심적 태도 그리고 가… 더보기

자녀들에게 “본데”를 보여줍시다

댓글 0 | 조회 1,924 | 2008.08.14
자녀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싶으십니까 ? 그러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여러분들 스스로가 행복하게 살아가시는 것입니다. 부모가 어떠한 상황에도… 더보기

늑장부리는 버릇을 고치려면?

댓글 0 | 조회 1,889 | 2008.08.27
아침이면 늑장 부리는 아이가 걱정스럽기도 하고 때로 그런 모습에 답답해지기도 하시고 아침부터 이것저것 챙기고 신경 써야 하니까 매일 아침이 전쟁터 일 것 같습니다…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5가지 방법

댓글 0 | 조회 2,043 | 2008.09.24
1. 자신의 십대 시절을 떠올려 보라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을 기억하는가? 그때 무엇을 생각하고 느꼈는가? 중요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어떤 점이 달랐더라면 좋았을 … 더보기

화를 잠재우는 생활수칙

댓글 0 | 조회 2,381 | 2008.10.15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난 다음, 많은 부모들은 후회한다. 아이가 입었을 ‘마음의 상처’와 깊어진 ‘감정의 골’을 걱정하고, 화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지 … 더보기

뭐든 쉽게 포기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112 | 2008.10.30
끈기가 없고,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쉽게 포기하고 쉬운 길만 찾으려하며, 공부뿐만 아니고 전반적인 생활에서 책임감이라곤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 아이, 자기 일을… 더보기

맞벌이 엄마가 알아두어야 할 교육 원칙 3가지

댓글 0 | 조회 1,871 | 2008.11.10
아이에게 엄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온종일 아이 곁에 붙어 있으면서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어떤 훌륭한… 더보기

육아에서 성공하는 여성들의 3가지 리더쉽 원칙

댓글 0 | 조회 1,913 | 2008.11.26
첫 번째 원칙. 아이에게 신뢰감을 심어주어라.=> 아이를 지배하려 하지 말고 내버려두라. 그러나 진짜 중요한 문제는 타협하지 말고 원칙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 더보기

아이가 부쩍 거짓말이 늘었습니다

댓글 0 | 조회 1,792 | 2008.12.10
청소년들이 거짓말 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자신의 행동을 사실대로 이야기 하면 부모님께 혼이 나거나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가 … 더보기

아이의 휴대폰 사용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댓글 0 | 조회 1,982 | 2008.12.24
요즘 청소년들 대부분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의 90%는 온종일 휴대폰을 손에서 내려놓지 않는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수업시간에… 더보기

아이를 변화시키고 싶다면 부모부터 달라지자

댓글 0 | 조회 1,828 | 2009.01.14
기회비용을 잘 따져서 부모가 선택하라. 우리나라 부모들을 보면 자녀 교육에 열성이다. 당장 아이를 학원을 보내야 하나 말아야 하나의 선택에서부터, 어떤 마인드로 … 더보기

책 읽었는데 기억이 안 난다?

댓글 0 | 조회 2,029 | 2009.01.29
원인첫째, 목표가 없는 '맹목적인 독서', 즉 책을 읽을 때 마구잡이로 읽으면 머리에 남는 게 없다. 전체적으로 급하게 읽어 내려가는 것에만 치중해 자신이 어떤 … 더보기

독해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2,155 | 2009.02.11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영어의 우리말화(化)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모두의 적(敵)초보자들은 영어, 특히 긴 문장을 읽으며 중간 중간 의미 단락별로 끊어… 더보기

계획성 있게 시간을 잘 활용 하려면?

댓글 0 | 조회 1,771 | 2009.02.25
여행을 위해서 가방을 쌀 경우 짐들을 그냥 쑤셔 넣을 때 보다는 차곡차곡 정리해서 넣었을 때 짐이 더 많이 들어갔던 경험을 누구나 해 봤을 것이다. 삶도 마찬가지… 더보기

현재 올바른 TV시청 습관 만들기

댓글 0 | 조회 1,949 | 2009.03.11
습관이 아닌 선택가장 중요한 것은 TV 시청을 '습관'이 아닌 '선택'으로 만드는 것. 아침에 일어나서 맨처음 TV를 켜고 가족이 밥먹을 때나 얘기를 나눌 때도 … 더보기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2,088 | 2009.03.25
읽기 실력(Reading skill) 개발을 위하여 부모님이 하실 수 있는 8가지 습관들을 관찰하시고 자녀들에게 좋은 읽기 습관을 들이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1… 더보기

책벌레가 되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980 | 2009.04.16
미국의 유명한 독서 전문가인 버니스 컬리넌은 “자녀에게 책 읽는 버릇을 길러 주는 일은 놀라운 마법을 물려주는 것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책을 통해서 얻게 … 더보기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933 | 2009.04.28
아이를 양육하는 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는 아마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는 게 잘 키우는 것일까? '잘 키우는 것'에 대해 만인이 수긍할 만한 정답은 아직 없… 더보기

우리아이 독서왕으로 만드는 7가지 비결

댓글 0 | 조회 2,136 | 2009.05.14
아이들은 놀이가 삶이다. 놀면서 호기심도 생기고 하고 싶은 것도 생긴다. 그러니 책도 놀면서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으면 된다. 아이들이 책과 친해지려면 책 읽기도… 더보기

미래에 촉망받는 인재

댓글 0 | 조회 2,344 | 2009.05.27
‘세계적 미래학자 3인이 말하는 앞으로 5~10년후 쯤 미래에는 어떤 인재가 촉망받을까?미래학자 다니엘 핑크는 ‘하이컨셉트(High-concept)를 중시하고 개… 더보기

저도 공부 잘하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2,153 | 2009.06.10
“어떻게 하면 공부 잘 할 수 있어요?” 일년에도 수없이 듣는 말 중의 하나이다. 누구나 잘하고 싶은 공부가 왜 그리 어렵단 말인가? 무엇 때문에 남들은 잘하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