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 병든 강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삼천리 병든 강산

0 개 1,257 한일수

삼천리금수강산이 삼천리 병든 강산으로 변하고

있다. 강이 죽으니 그 안에 사는 생태계가 파괴

되고 결국 인간마저……

 

 

1473091ab65a880f04170de7be83492f_1491951172_2387.jpg

 

4월이 되니 한국의 봄이 그립다. 어찌 봄뿐이겠는가? 봄은 봄대로 여름은 여름대로 가을은 가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아름답지 않은 계절이 없다. 크리스마스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4월이 되었고 이제 부활절이 가까이 오고 있는 계절이 되었다. 황보근영의 문촌 수기에서「삼천리금수강산」이라는 시를 되새겨본다.

 

“개나리 지더니 벚꽃이요, 벚꽃 지더니 진달래, 목련입니다. 시샘바람 봄비에 한복 입은 여인네 꽃잎 떨어지듯 진달래, 목련 꽃잎 떨어지니 라일락입니다. 라일락 향내가 그윽하니 연초록, 민초록, 진초록 산산이 초록이요 들마다 사과 꽃, 복사꽃입니다. 오늘도 봄비는 수채화를 그리듯 푸르른 청춘이 물감을 온 세상에 적십니다.

 

창을 여니 비바람에 꽃향기가 실려 오고 초록의 염료가 눈을 적십니다. 하여, 농하듯 말 합니다.‘먼 산은 봄인데, 가까이는 가을이네요.’하니 벗이 웃으며 말하십니다.‘

 

원래가 그래!’본시자연(本是自然)인가 봅니다. 

 

본래가 그러한데 괜시리 의미를 부여했음이 부끄럽습니다. 비는 비요, 바람은 바람인걸, 꽃은 꽃이요, 초록은 초록인걸, 봄은 봄이요, 삼천리는 금수강산입니다.”

 

사계절의 구별이 뚜렷한 한국의 기후는 계절 따라 아름다운 풍경들을 자연 스스로 연출해낸다. 

 

뉴질랜드에 살면서 계절 감각도 무디어지고 달력에 의존해 세월의 흐름을 감지하게 된다. 

 

이민 온 후 북 섬의 여러 산들을 트램핑(Tramping)하였지만 산세가 아름답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아무래도 천변만화(千變萬化)의 모습을 보여주며 형형색색의 칼라를 연출해내는 한국의 산들하고는 비교할 수가 없었다. 

 

미국에 이민 간 친구의 말도 한국의 산 같이 아름다운 산은 미국에도 없다고 하였다. 

 

봄이 오면 진달래, 철쭉,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화(雪花), 기암괴석(奇巖怪石)과 소나무의 자태 등을 어디서 볼 수 있으랴!

 

삼천리금수강산(三千里錦繡江山)! 어렸을 적부터 입에 달고 다니던 말이다. 한반도의 구석구석이 비단으로 수를 놓은 듯 아름답다는 표현이리라. 

 

삼천리는 한반도를 나타내는 다분히 상징적인 표현일 수 있다. 

 

해남 땅 끝 마을에서 함경북도 온성까지가 2천리가 넘는데 정확히 삼천리가 되어서가 아니라 국토의 길이에 대해 느끼는 우리 겨레의 심정적 거리라고 본다. 

 

또는 한반도의 최대 길이가 2100 리이고 동서로 최대 넓은 데가 900 리임으로 3000 리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견해도 있고 제주도 끝에서 함경북도 끝까지가 3천리라는 데서 출발했다는 해설도 있다. 

 

하여간 수려한 산, 맑은 물이 굽이쳐 흐르는 강/하천, 무성한 숲의 아름다움은 세계 어느 국토와도 견줄 수 없을 만큼 독보적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아니 우리가 한국을 떠나 온 후로 조국의 강산은 너무도 변해버렸다. 

 

농로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실개천은 직선으로 쭉 뻗은 물길이 되고 산들은 아파트 숲으로 덥혀 버렸다. 

 

드디어 한반도 운하를 건설하겠다고 난리를 치더니 국민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물길 개선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둔갑하여 졸속 시행되었다. 2010년 한국에 갔을 때 4대강의 모래를 파 올려 산더미 같이 쌓아 놓은 모습을 보고 미래를 걱정했다. 

 

정부예산 22조2천억이라는 돈을 퍼붓고 돌아 온 것은 녹조 라떼 현상으로 강물이 죽어가고 있는 현실뿐이다. 

 

대대적인 준설 작업 후 16개의 댐을 건설했는데 강에 모래가 없으니 자연 생태계가 파괴되고 댐에 의해 물길이 막혔으니 강물은 썩어가게 된 것이다. 

 

식수원이 되고 있는 썩은 강물은 국민들의 건강에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수억 년 동안 내려오던 자연 생태계를 송두리째 교란시킨 환경 개악(改惡) 사업이 된 것이다. 9년 전 이명박 정부 때의 일이다.

 

삼천리금수강산이 삼천리 병(病)든 강산이 되어 전 국토가 시름시름 앓고 있다. 전국이 콘크리트로 포장되다시피 된데다 자동차 매연에 더하여

아오테아로아의 꿈 (68)중국 발 미세 먼지까지 몰려와 숨 쉬는 공기는 유효성의 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인문 환경, 사회 환경, 정치 환경 어느 것 하나 병들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이다. 

 

뭐라 해도 4대강 사업으로 파헤쳐진 물길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일은 요원의 험난한 길로 보인다. 파헤치는데 엄청난 돈이 이미 뿌려졌고 재앙으로 치닫는 현실을 그냥 두고 볼 수도 없는 실정이지만 원상회복하는 데에 65조원이라는 그야말로 천문학적인 자금이 필요하다고 하니 기가 찰 일이다. 4대강 사업의 부작용으로 강이 죽고 그 안에 사는 생명들이 죽고, 결국 인간마저 죽음의 행렬에 동참할 것인가?

 

자연은 자연에 맡겨라! 자연은 스스로의 복원 능력도 있고 정화 능력도 있다. 

 

길어 봤자 100년도 못살고 이 세상에서 살아질 인간 개체가 장구한 세월 동안 생명력을 지탱해 온 자연을 마음대로 바꿔보겠다는 발상이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가? 한국의 일은 남의 나라의 일이 아니다. 

 

자연 훼손을 최대로 억제하는 뉴질랜드의 정치 시회 구조가 돋보인다. 이명박 정부가 끝난 지도 5년에 접어드는데 한국의 정치권에서는 왜 아무 대책이 없는지, 다음 달에 구성되는 새로운 정부에 기대해 볼 일인가? 

Now

현재 삼천리 병든 강산

댓글 0 | 조회 1,258 | 2017.04.12
삼천리금수강산이 삼천리 병든 강산으로 변하고있다. 강이 죽으니 그 안에 사는 생태계가 파괴되고 결국 인간마저……4월이 되니 한국의 봄이 그립다. 어찌 봄뿐이겠는가… 더보기

서울에 온 마리 앙투아네트

댓글 0 | 조회 2,194 | 2017.03.21
1793년 파리에는 프랑스 대혁명의 제물로 바쳐진마리 앙투아네트가 있었고2017년 서울에는 대변혁의 와중에서……한국의 초대 대통령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를 한국인들… 더보기

자고 일어났더니 갑자기 부자가 된 사람들

댓글 0 | 조회 4,367 | 2017.03.08
마음의 평온과 안정을 가지고 재물 때문에 남을 헐뜯거나 돈만을 위해서 일하지 말고 행복을 위해서 노력해야……9900만원 재산을 가진 사람한테 100만원만 빌려달라… 더보기

이상향 理想鄕

댓글 0 | 조회 1,844 | 2017.02.22
공해 없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에 최고의 복지 국가,입시 지옥이 없고 교육비 걱정이 없다는 이 나라의모습이지만 이상향은 개인의 마음속에…신석정 시인은『그 먼 나라를… 더보기

무애의 정신으로 생명과 자유를……

댓글 0 | 조회 1,965 | 2017.02.08
“박물학자들이 벼룩을 보니 그 벼룩보다도 더 작은 벼룩이 붙어서 뜯어 먹고 있다. 그리고 이 벼룩에는 더 작은 벼룩이 붙어서 뜯어먹으니 그렇게 한 없이 계속된다.… 더보기

죄수의 딜레마

댓글 0 | 조회 2,033 | 2017.01.26
둘이서만 범죄 사실을 알고 있는 죄수가 있는데 서로 분리 심문을 해서 범죄 행위를 추궁한다고 가정하자. 두 죄수에게 각각 ‘상대방의 죄목을 얘기해주면 거기에 대한… 더보기

붉은 닭의 총명함이……

댓글 0 | 조회 2,286 | 2017.01.11
전 세계적으로 혼란스러웠던 병신년(丙申年)이 가고 이제 정유년(丁酉年, The year of rooster)을 맞이했다. 역법(曆法)에 따르면 ‘丁’은 ‘불의 기… 더보기

한국과 뉴질랜드 사이

댓글 0 | 조회 2,303 | 2016.12.21
지난 11월 하순 한국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외치는 몇 백만의 촛불 시위가 기승을 부릴 때 뉴질랜드에서는 현직 집권당 당수이며 정부 최고 행정수반인 죤 키 총… 더보기

퀸스트리트에 펼쳐진 홍익인간

댓글 0 | 조회 1,869 | 2016.12.07
민족사학자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2.8. - 1936.2.21.) 선생은 일찍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설파했다. 한국이 205… 더보기

아크로폴리스와 아골라

댓글 0 | 조회 2,388 | 2016.11.23
서울에서 강남 시대가 전개되기 전 까지 옛 서울대 본부가 자리하고 있던 문리대 정원은 한국이 현대화에 이르는 역사의 광장이었다. 종로 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 더보기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1,918 | 2016.11.08
벌써 30여 년 전에 들은 말이지만 지금도 새겨들을 만한 이야기가 있다. 어느 외국인 바이어(Buyer)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자기가 알기… 더보기

와이나무 시냇물을 걸으며

댓글 0 | 조회 2,915 | 2016.10.26
정지용 시인의 시 향수(鄕愁)에 나오는 ‘옛 이야기 지줄 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가는……’ 그 실개천은 오늘 날 흐르지 않고 있다. 첫 사랑의 클리세(Cliche)… 더보기

새벽을 찾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050 | 2016.10.12
10여 년 전 태권도 7단인 어느 교민을 만났을 때 무슨 운동을 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가끔 골프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더니 골프만 가지고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나이… 더보기

추석 대보름 달 감상

댓글 0 | 조회 2,934 | 2016.09.28
세월의 수레바퀴는 이곳 남국의 하늘 아래에서도 어김없이 추석이라는 명절을 맞이하게 해주고 있다. 한국에서 가을 수확 철을 맞아 조상을 기리고 한 해의 농사에 감사… 더보기

오클랜드 쓰나미

댓글 0 | 조회 3,276 | 2016.09.14
21세기에 접어들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재앙이 연달아 일어나고 있다. 2004년 12월 26일 1,200km 길이의 단층대가 인도 지각판과 버마 지각판 사이의 … 더보기

스토리가 있는 인생은 아름답다

댓글 0 | 조회 2,401 | 2016.08.25
오클랜드 전원일기 (마지막회)1960년대 초에 서울 중앙극장에서 개봉되었던 영화, ‘초원의 빛’을 떠올리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윌리엄 워즈워스(Willia… 더보기

세상에 공짜는 있는가?

댓글 0 | 조회 2,183 | 2016.08.11
▲ 퀸스타운 금광촌 당시 광부 중국인 집​오클랜드 전원일기 (7)​“어느 돈 있는 사람이 호기심에서 매일 아침 산책을 하며 같은 위치의 골목길에 100달러 지폐 … 더보기

유기농 식품에 눈을 뜨다

댓글 0 | 조회 3,275 | 2016.07.28
오클랜드 전원일기 (6)먼저 살던 키위도 비즈니스로 농사를 지은 것은 아니지만 마당 한 쪽에 온실도 마련해 놓았고 채소밭도 조성해두었다. 자급용 농장인 셈이다. … 더보기

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댓글 0 | 조회 3,344 | 2016.07.13
오클랜드 전원일기 (5)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도시 상수도가 건설되어 생활용수, 음료수, 분수용 등으로 물을 공급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이롭게 만든다. 그러나 로… 더보기

동물 농장에서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630 | 2016.06.23
오클랜드 전원일기 (4)“장원(莊園) 농장에서 평소 소홀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 가축들이 돼지의 지도 아래 반란을 일으켜 농장주 존스와 관리인들을 내쫓고 동… 더보기

타조는 왜 목이 길까?

댓글 0 | 조회 2,456 | 2016.06.09
오클랜드 전원일기 (3)타조는 현존하는 새 종류 중에서 가장 크나 날을 수는 없다. 물론 뉴질랜드 섬이 마오리 족에 의해 발견 되었을 때 키가 3미터나 되고 몸무… 더보기

147 식구를 거느리는 남자

댓글 0 | 조회 1,826 | 2016.05.25
오클랜드 전원일기 (2)짐승들도 자기 가족은 알아본다. 아주 사나운 셰퍼드(Shepherd)이지만 주인한테는 상냥함은 물론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다른 동물들을 헤… 더보기

운명은 전설처럼 찾아온다

댓글 0 | 조회 1,974 | 2016.05.12
오클랜드 전원일기 (1)뉴질랜드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겠다고 이민 준비를 할 때부터 운명은 바뀌기 시작했다. 배달겨레의 자손이 바다 밖으로 나가 살게 된 것은 극…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사들이기

댓글 0 | 조회 4,948 | 2016.04.29
금년 말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금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가 한창이다. 그런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미국 최고의 부동산 …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3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